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조선시대 영남 재지사족 연구

조선시대 영남 재지사족 연구

  • 장동표
  • |
  • 태학사
  • |
  • 2015-06-30 출간
  • |
  • 476페이지
  • |
  • 160 X 232 X 30 mm
  • |
  • ISBN 9788959667024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28,000원

즉시할인가

25,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5,2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 소개

在地士族은 성리학을 이념으로 향촌사회에서 중소 규모 지주로서의 경제적 기반을 가지고 16세기 중후반 이후 그들 중심의 지배체제를 구축하여 나간 존재이다. 이들은 향촌 民을 지배하기 위한 향촌지배기구를 설립하여 사족지배체제를 구축하였다. 재지사족 세력은 여말선초부터 등장하였으며, 조선중기 이래 본격적으로 세력화 하여 사족 중심 향촌지배질서를 구축하였고, 조선후기에 이르면서 점차 약화되어 가기는 하지만 재지사족의 향촌지배가 일정하게 이어져 갔다.
이 책은 이러한 인식 아래 조선시대 군현 단위의 향촌사회 재지사족의 존재를 영남의 남부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지난 십 수 년 동안 써온 글들을 일부 수정·보완하여 하나의 체계 아래 묶어 본 것이다. 연구의 주된 시기는 조선중기를 중심으로 하였지만, 조선초기와 조선후기의 사정도 포괄하였다. 조선중기는 과거 시험에서 양인의 합격자 비율이 가장 낮았던 시점으로, 향촌에서는 재지사족 중심의 지배 질서가 점차 공고해지던 때였다. 재지사족 세력은 향촌에서 향안 작성과 향약 실시, 서원 건립과 향교 운영, 사우연원 관계의 형성, 선현 추숭활동, 중화질서의 조선적 확립, 종법 도입, 향례 정립과 주도, 예학의 탐구, 도통 확립, 효행과 정절의 강조 등을 기본 매개로 하여 그들 중심의 지배 질서를 발전시켜 나갔다. 재지사족 중심의 사족지배체제는 당연히 지방의 향촌사회에만 국한되지 않는 조선시기 전체 통치체제 속의 한 부분이었다. 사림파 세력이 정치권력을 장악하면서 조선사회는 사림세력에 의한 중앙의 정치적 지배와 향촌사회에서는 재지사족 세력에 의한 향촌 지배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었다.
본서의 제1부에서는 영남의 남부 지역에 위치한 함안, 칠원, 고성과 창녕, 청도 등 다섯 개 지역의 재지사족의 형성과 발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 지역은 모두 상호 인접한 곳으로 지역 안과 밖의 재지사족 가문 사이의 중첩된 혼인과 학맥에 연관된 사승 관계의 망이 바로 사족지배체제의 존재 양태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제2부에서는 유교적 분위기가 상대적으로 강하였던 밀양 지역에 한정해서 재지사족 문제를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밀양의 재지사족은 자신들의 세력을 구축하기 위해 향안 중수와 서원 건립 활동과 선현 추숭, 재지사족 중심의 향약 실시와 향교의 중수, 도통 정립 노력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손기양 등의 개별 인물 연구를 통해 재지사족의 존재양상을 구체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보론에서는 조선과 명청대 향촌지배층으로 재지사족과 紳士의 존재와 그 성격을 상호 비교하면서 전근대 한중 양국의 향촌사회사의 공통성과 차별성을 간략하게나마 전망해 보았다.

목차

책을 내면서?5
서장

영남 재지사족 연구의 방향과 내용
1. 재지사족 연구의 방향?19
2. 재지사족 연구의 내용?24

제1부_재지사족 중심 향촌지배질서의 형성
제1장 함안지역 재지사족의 형성과 향촌지배
1. 머리말?35
2. 재지사족층의 형성?37
3. 향촌지배기구의 정비?46
4. 유력 재지사족의 가계와 동향?60
5. 맺음말?73

제2장 칠원현의 연혁 변천과 재지사족
1. 머리말?77
2. 칠원현의 연혁 변천?79
3. 칠원현의 재지사족과 향촌?93
4. 맺음말?103

제3장 고성지역의 의병활동과 재지사족
1. 머리말?105
2. 지역적 특성과 재지사족의 형성?107
3. 의병활동의 전개와 전후 재지사족의 발전?112
4. 유력 재지사족의 가계와 동향?117
5. 맺음말?131

제4장 창녕지역의 향안 중수와 재지사족 동향
1. 머리말?136
2. 창녕향안의 增註와 특성?138
3. 창녕향안의 작성과 중수 과정?146
4. 창녕 재지사족의 동향?155
5. 맺음말?165

제5장 청도지역 재지사족의 향촌지배와 그 성격
1. 머리말?169
2. 청도지역의 토성세력과 재지사족?171
3. 재지사족의 향촌지배기구?181
4. 재지사족의 의병활동과 향촌질서의 재편?191
5. 맺음말?203


제2부_밀양지역 재지사족의 동향과 향촌활동

제1장 임진왜란 전후 밀양 재지사족의 동향과 향촌지배
1. 머리말?211
2. 임진왜란 이전 재지사족의 형성과 성장?214
3. 향안 중수 및 입록 추세의 변화와 재지사족?222
4. 밀양 향약의 실시와 재지사족?238
5. 예림서원 이건과 향교 중수와 재지사족?245
6. 맺음말?250

제2장 밀양 재지사족의 金宗直 추숭과 예림서원 건립 및 활동
1. 머리말?255
2. 김종직 추숭 활동의 전개와 예림서원 제향인물?256
3. 예림서원의 건립과 배경?268
4. 예림서원의 이건과 중수?274
5. 예림서원의 사액화 노력과 재정비?282
6. 맺음말?289

제3장 17세기 초반 밀양 재지사족 孫起陽의 향촌활동
1. 머리말?292
2. 임진왜란 이후 밀양 재지사족과 손기양 가문?293
3. 손기양의 생애와 의병활동?299
4. 손기양의 향촌사회 활동?308
5. 맺음말?319

제4장 17세기 밀양 재지사족 朴壽春의 향촌활동과 도통인식
1. 머리말?323
2. 박수춘의 가계와 사우연원?325
3. 박수춘의 향촌활동과 의병운동?336
4. 박수춘의 도통인식?346
5. 맺음말?354

제5장 17세기 밀양 재지사족 李而楨의 향촌활동
1. 머리말?358
2. 전후 밀양 재지사족과 이이정 가문?360
3. 이이정의 생애와 도학 및 교유?367
4. 이이정의 향촌사회 활동?377
5. 맺음말?387

제6장 조선후기 밀양 表忠祠의 연혁과 祠宇 이건 분쟁
1. 머리말?390
2. 表忠祠의 연혁과 운영?392
3. 表忠祠의 해인사 이건 분쟁?401
4. 맺음말?412


보론
조선시기 在地士族과 명청대 紳士에 대한 비교 고찰
1. 머리말?419
2. 조선시기와 명청대 향촌지배층의 용어?420
3. 조선시기 士族支配體制와 명청대 紳士制度?427
4. 조선시기 在地士族과 명청대 紳士의 향촌활동?434
5. 맺음말?441


출전?443
참고문헌?445
찾아보기?459

저자소개

저자 장동표(張東杓)는 경남 창녕에서 태어나 부산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문학석사와 부산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역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중국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방문학자와 절강공상대학 동아연구원 객원교수를 지냈다. 주요 학술 활동으로 역사문화학회 회장, (사)부경역사연구소 소장과 편집위원장, 효원사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역사연구회와 한국사연구회 편집위원 등의 일을 맡았다.
주요 저서로는 『조선후기 지방재정연구』(1999), 『사명당 유정』(공저, 2000), 『조선은 지방을 어떻게 지배했는가』(공저, 2004), 『남명학파와 영남우도의 사림』(공저, 2004), 『산수 이종률 민족혁명론의 역사적 재조명』(공저, 2006), 『지방사연구입문』(공저, 2008) 등이 있다. 주된 연구 분야는 초기에는 조선후기 지방재정 문제였으나, 지금은 주로 조선시기 향촌사회사 연구 및 한중 양국의 향촌사회사 비교 연구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도서소개

재지사족은 성리학을 이념으로 향촌사횡서 중소 규모 지주로서의 경제적 기반을 가지고 16세기 중후반 이후 그들 중심의 지배체제를 구축하여 나간 존재들이다. 이들은 향촌민을 지배하기 위한 향촌지배기구를 설립하여 사족지배체제를 구축하였다. 재지사족 세력은 여말선초부터 등장하였으며, 조선중기 이래 본격적으로 세력화 하여 사족 중심 향촌지배질서를 구축하였고, 조선후기에 이르면서 점차 약화되어 가기는 하지만 재지사족의 향촌지배가 일정하게 이어져 갔다. 『조선시대 영남 재지사족 연구』는 조선시대 재지사족층의 성장과 역할 및 그 성격을 영남의 남부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 본 것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