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사랑은 잠들지 못한다

사랑은 잠들지 못한다

  • 함돈균
  • |
  • 창비
  • |
  • 2016-08-29 출간
  • |
  • 336페이지
  • |
  • 154 X 224 X 20 mm /491g
  • |
  • ISBN 9788936463458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궁핍한 시대에 씌어지는 불면의 문학
“시인은 세상의 죄를 대속하는 고전적 운명으로 회귀했다”


등단 이후 10년간 평단과 시민사회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쳐온 문학평론가 함돈균의 평론집 『사랑은 잠들지 못한다』가 출간되었다. 전작 『예외들』 이후로 4년 동안 집필해온 문학비평을 한데 엮었다. 이 시기 한가운데의 세월호사건이 상징하는 우리 사회의 결핍과 아픔을 끊임없이 사유해온 작가들의 고투가 비평의 시각으로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그는 잠 깨지 못한 존재가 아니라, 오히려 단 한번도 잠들지 못하는 존재라고 해야 한다. 그는 눈뜬 채 불면에 시달린다. 불면은 달뜬 상태처럼 보이기도 하고, 극도의 통증을 수반하기도 한다. 달콤한 유희처럼 보이기도 하며, 끔찍한 노동처럼 존재하기도 한다. ‘사회’를 아랑곳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는 이때 완강한 근본주의적 혁명가처럼 보이기도 한다. 대체 어디에, 어떤 시간에, 그리고 무엇에 사로잡힌 것일까. 은밀성을 수반하는 그의 행위는 전복적이고 열정적이며 고통스럽고 은밀하면서도 과감하며 격렬하고 불온한 존재 양상을 보인다. ‘사회’라는 이름의 한계를 돌파하는 그 불면의 에너지는 육체의 모든 것을 탕진해버리는 ‘사랑’이라는 이름의 무용한 사건과 다른 것이 아니다.(6면)

이러한 작가/시인의 고투는 특히 제1부에서 집중적으로 다뤄진다. 영화 「레미제라블」(2012)을 통해 문학의 새로운 상상력을 상기시키며 문을 여는 제1부는, 그러한 상상력을 작품으로 표현해내고 있는 오늘날의 작가들을 하나하나 호명하며 문학의 역할을 상기시킨다. 이때 문학적 상상력의 대척점에는 우리 사회의 부재와 결핍이 자리한다. 공감의 부재, 기억의 부재, 애도의 부재, 그리고 무엇보다 우리 모두가 공유하고 인용할 수 있는 사건의 ‘텍스트’가 부재한 이 시대를 구원하기 위해, 시인은 연옥의 죄인이 된 심정으로 불면의 기도를 올린다.

1964년 김수영은 “적을 형제로 만드는 실증”(「현대식 교량」)을 보여주는 사랑의 실험자로서 당대 시인의 임무를 규정했다. 1981년 최승자는 시인으로서 제 역할을 “죽음이 죽음을 따르는/이 시대의 무서운 사랑”(「이 시대의 사랑」)을 ‘풀어내는’ 일이라고 보았다. (…) 2016년 우리 시대의 사랑은 적을 형제로 만들지도 못한 채 오히려 형제를 적으로 만드는 세계에서 불행하게 흐느끼고 있다. (…) 이 평론집에 있는 글들이 씌어진 시기에 시인들은 세상의 죄를 대속(代贖)하는 존재라는 시인의 고전적 운명으로 회귀한 듯했다. 그들의 사랑은 불면의 형식을 취하고 있으나, 그들의 우주는 실낱같은 구원의 가능성도 보이지 않는 ‘연옥’에 갇힌 듯하다. 한국 현대문학의 새로운 기점이 된 1990년대 이후, 시인의 사랑이 이렇게 처절한 ‘기도’의 양상을 띠는 경우는 없었다.(6~7면)

특히 세월호사건은 1부를 관통하는 키워드다. 여기에는 저자가 지난 두해에 걸쳐 ‘세월호 이후의 문학’을 천착한 결과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한강, 이영광, 이원, 김행숙, 박진성, 황인찬, 송승언 등 최전선에서 우리 사회의 결핍과 맞서 싸우는 ‘세월호 이후’의 작가들을 맹렬한 관심으로 조명하면서, 사건의 기억과 애도를 위해 문학이 할 수 있는 것과 해야 할 것, 하고 있는 것 들을 침착하게 묻는다.
「불가능한 몸이 말하기: 세월호 시대의 ‘시적 기억’」은 한강과 이영광의 작품을 통해 세월호의 ‘증언 불가능성’을 문학의 목소리로 극복한 흔적을 발견한다. 추모와 담론의 근거가 되어야 할 텍스트가 실종된 상황에서 ‘고통받은 자들의 목소리’가 우리의 기억 속에 남기 위해서 문학이라는 ‘몸’을 입게 되는 ‘성육신’의 현장을 발견한다. 「연옥에서 기도하는 시인들」은 이원, 김행숙, 박진성의 시를 기도의 형식으로 읽어낸다. 우리가 살고 있는 오늘의 세상이야말로 속죄가 필요한 지옥의 공간임을 긍정하는 시인들의 “진정한 기도”는 그 자체로 가능성이다.
제2부는 저자의 다양한 관심사를 담아낸 평문들로 묶었다. 전작 『사물의 철학』을 통해 주변의 사물을 관계의 측면에서 읽어낸 바 있는 저자는 「은폐하는 사물, 발기하는 사물, 되돌아오는 사물」에서 문학을 매개로 주변의 사물을 관찰하며 특유의 시각을 내보인다. 또한 「놀이는 어떻게 거룩한 긍정이 되는가」에서는 문학과 놀이, 「공동체(共同體)인가 공동체(空同體)인가」에서는 문학과 민주주의의 관계를 사유한다. 한편 이창동의 영화 「시」를 문학의 시각으로 참신하게 재구성한 「만약에 미자 씨가 시 쓰기가 아니라 소설 쓰기를 배웠다면」에서는 문학작품에 한하지 않는 비평적 보폭이 느껴진다.
제3부는 주로 시집의 해설란에 수록된 글들이다. 김승일, 박상수, 김지녀, 김희업, 이영광, 이원 등 우리 시단의 주요 시인들의 작품집을 섬세한 시각으로 풀어내는 평론을 읽다보면 저자가 우리 시대 작가들로부터 신뢰받는 평론가임을 실감할 수 있다. ‘도롱뇽 공동체’ ‘굴욕 플레이어’ ‘흙이 묻지 않는 보법’ 등 작품에서 끌어낸 키워드를 자신만의 비평 언어로 전환하는 솜씨가 돋보인다.
제4부는 개별 작가들을 다룬 작품들을 모았다. 김남주, 김중일, 조말선, 정진규, 김행숙, 박판식의 시편들에 주목해 작가론으로 연결시켰다. 표제가 된 평문인 「사랑은 잠들지 못한다: 어떤 애인들의 존재 형식에 관하여」에서는 김중일의 시뿐 아니라 모든 시인들의 ‘쓰기’를 ‘잠들지 못하는 애인’의 고백이자 사랑을 위한 끝없는 싸움으로 바라본다.

그래서 다시 ‘사랑은 잠들지 못한다’. 문학은 오늘날 잠들지 못한 채 긴 기도를 올리고 있다. 작가 자신의 온전한 의지로 세상을 재구성해내는 것이 아니라 “무언가에 매달려 있고 붙잡혀 있다.” 마치 세월호사건의 희생자와 유가족들이 4월 16일의 그 시간에 갇혀 있는 것처럼, 오늘날의 작가들은 잠들지 못하는 ‘자정과 새벽의 시간’에 멈춰 있다. 어떤 문학은 그렇게 존재한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레미제라블’ 또는 시의 천사 세계문학과 한국문학
불가능한 몸이 말하기 세월호 시대의 ‘시적 기억
연옥에서 기도하는 시인들 이원 ㆍ 김행숙 ㆍ 박진성의 시
시는 누구에게 고개를 숙일까 김수영 ㆍ 황인찬 ㆍ 김행숙 ㆍ 이원 ㆍ 송승언 ㆍ 최문자의 시
‘최소-인간’, 전위인가 복고인가 이우성 ㆍ 성동혁 ㆍ 황인찬 ㆍ 송승언의 시

제2부
놀이는 어떻게 거룩한 긍정이 되는가 문학과 놀이에 대하여
은폐하는 사물, 발기하는 사물, 되돌아오는 사물 ‘사물’은 시에 무엇인가
공동체(共同體)인가 공동체(空同體)인가 아무것도 공유하지 않는 자들의 공동체와 현대 민주주의에 대하여
이상의 아해들 한국 현대시와 이상 시의 계보
만약에 미자 씨가 시 쓰기가 아니라 소설 쓰기를 배웠다면 영화 「시(詩)」는 시를 무엇이라고 말하는가

제3부
도롱뇽 공동체의 탄생 김승일 시집 『에듀케이션』
숙녀라는 이름의 굴욕 플레이어 박상수 시집 『숙녀의 기분』
감각사회학으로 그린 모딜리아니의 초상 김지녀 시집 『양들의 사회학』
흙이 묻지 않는 보법, 리얼리스트의 각도로 걷기 김희업 시집 『비의 목록』
어둠의 기도와 원한 없는 사랑의 몸 이영광 시집 『나무는 간다』
불가능의 고도, 절벽의 꽃나무 이원 시집 『불가능한 종이의 역사』

제4부
한 전위(前衛)의 시적 용기 김남주 20주기에 부쳐
사랑은 잠들지 못한다 어떤 애인들의 존재 형식에 관하여
백살나무의 부정신학(否定神學) 조말선의 시
종순(從順)의 시학, 미결(未決)의 윤리 정진규의 시
우리는 죽음의 무게를 뺏기고 싶지 않다 김행숙의 시
도시 주변부 소년의 형이상학 박판식의 시

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 함돈균 咸燉均은 2006년 『문예중앙』에 평론 「아이들, 가족 삼각형의 비밀을 폭로하다」를 발표하며 비평활동을 시작했다. 저서로 『얼굴 없는 노래』 『시는 아무것도 모른다』 『예외들』 『사물의 철학』 등이 있다. 김달진문학상 젊은비평가상을 수상했으며, 서울문화재단, 대산문화재단 문학창작기금을 수혜했다. 현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이며, 실천적 창의인문학교 시민행성 운영위원이다.

도서소개

함돈균 평론집 『사랑은 잠들지 못한다』. 전작 『예외들』 이후로 4년 동안 집필해온 문학비평을 한데 엮었다. 이 시기 한가운데의 세월호사건이 상징하는 우리 사회의 결핍과 아픔을 끊임없이 사유해온 작가들의 고투가 비평의 시각으로 기록되어 있다. 제1부는 세월호사건을 관통하는 내용으로, 제2부는 저자의 다양한 관심사를 담아낸 평문들로 엮었다. 제3부는 주로 시집의 해설란에 수록된 글들을 담았고, 제4부는 개별 작가들을 다룬 작품들을 모았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