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얘들아 연필시랑 놀자

얘들아 연필시랑 놀자

  • 연필시 동인
  • |
  • 푸른책들
  • |
  • 2012-01-10 출간
  • |
  • 70페이지
  • |
  • 134 X 186 X 15 mm /168g
  • |
  • ISBN 9788957983034
판매가

13,000원

즉시할인가

11,7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1,7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독서 편식 잡아 줄, 초등학교 교과서 수록 시인들이 다시 한번 뭉쳤다!
- <연필시> 동인 설립 20주년 기념 동시집 출간

편식을 하는 아이들에게 싫어하는 음식을 먹이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모든 재료를 잘게 다져 섞어 놓으면 뭐가 뭔지도 모를뿐더러 골라 낼 수도 없으니 그냥 먹을 수밖에. 하지만 책을 싫어하는 아이들에게 책을 읽히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한 문장, 한 단어, 한 글자씩 끊어 사진을 스캔하듯 아이들의 눈 속에 새겨 넣을 수도 없을뿐더러 줄거리라도 요약해 녹음하듯 억지로 아이들의 머릿속에 밀어 넣을 수도 없으니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책을 한 글자도 읽지 않으려고 하는 아이라 하더라도 책 읽는 재미를 느끼게 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독서량이 적은 아이들도 알 수밖에 없는 작품, 교과서 수록 작품을 먼저 읽혀 ‘독서’에 대한 친근감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그러기에 안성맞춤인 동시집 『얘들아, 연필시랑 놀자!』가 푸른책들에서 출간됐다. 이 동시집의 저자들은 다름 아닌 교과서에 수록된 동시인들이기 때문에 아이들의 독서량에 불문하고, 초등학교에서 의무교육을 받는 아이들이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시인들이니 아이들이 친근감을 느끼기에 충분하다. 게다가 『얘들아, 연필시랑 놀자!』에 수록된 시인들은 모두 <연필시> 동인인데, <연필시> 동인은 1970~80년대에 작품 활동을 시작한 시인들이 1992년 5월 5일 어린이날에 처음 결성하여, 동시의 불모지와 다름없는 우리나라 아동문학계에서 20년 동안 한결같은 마음으로 한길을 걸어왔다는 사실에 큰 의의가 있다.

‘동시=놀이’라는 공식을 체득하게 하는 즐거운 동시집

아무리 뛰어난 재능을 지니고 있다손 치더라도 그 일을 즐기는 사람을 이겨낼 수는 없다고 한다. 어떤 일이든 마찬가지이겠지만, 아이들에게 있어서 ‘즐긴다’는 건 매우 중요하다. 하기 싫은 공부, 읽기 싫은 책, 내키지 않는 심부름 등을 해내기 위해서는 ‘즐기는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공부를 놀이처럼, 독서를 놀이처럼 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럴 수만 있다면, 아이들뿐 아니라 부모들에게도 환영받을 만하다. 여기 이 동시집 『얘들아, 연필시랑 놀자!』가 바로 그런 책이다. 이 동시집만 있다면 어렵고 따분하게 여기기 쉬운 동시를 놀이처럼 즐길 수 있다.

매미가 딱 붙어 있는 나무를/ 쳐다보며/ 아이들이 묻는다// -살았니? 죽었니?/ -응, 나 살았어// 매미가 분수처럼 쏴아- 울어 댄다 (후략) -「살았니? 죽었니?」(이준관) 중에서

(전략) 꽃들도/ 방학을 하나 봐요.// 여름과/ 겨울엔/ 밖에 잘 안 나와요.// 컴퓨터에 빠진 아이들처럼요. -「꽃들도 아이들처럼」(손동연) 중에서

이처럼 이 동시집에서는 자연조차 아이들에게 말을 걸고 장난을 건다. 뭐든 장난치기 좋아하고, 작은 일에도 까르르까르르 웃음 터뜨리기 좋아하는 아이들의 내면이 직설적으로 묘사되어 있지 않아 오히려 따뜻하고 유쾌하게 다가온다.
뿐만 아니라 이 동시집은 ‘동시(童詩)집’이라는 이름답게 아이들의 든든한 백그라운드가 되어 주고 있다. 엉뚱하고 말썽꾸러기에 청개구리 저리 가라 할 만큼 말도 듣지 않는 아이들의 마음속은 어떨까? 어른들은 종종 ‘저 녀석 머릿속에 도대체 뭐가 들어 있나 몰라.’라는 한탄을 내뱉곤 한다. 그런 아이들의 마음속을 꿰뚫어 볼 기회가 생겼다.

엄마, 야단 좀 치지 마세요./ 집에 올 때까지/ 얼마나 마음이 조마조마했는데요./ 그까짓 시험 한 번 잘 못 봤다고/ 뭐가 달라진대요?/ 집에 오는 동안/ 가물가물/ 푸른 하늘도 안 보였어요./ 내내 땅바닥만 보고 오다가/ 담벼락에 이마도 부딪치고/ 그 예쁜 패랭이꽃도 못 봤어요./ 이런 날/ 하늘이 노랗다는 걸 이제야 알았어요./ 엄마,/ 나도 이제 3학년이잖아요. -「하늘이 노랗다」(노원호) 전문

아직 아기 같아 불안하기만 한 나이 열 살, 3학년. 그런데 아이들은 스스로 이제 다 컸다고 여기는 모양이다. 부모님 앞에서는 무서워 찍 소리도 못 내던 아이들도 이 동시를 읽고 난 뒤에는 왠지 모를 후원자가 생긴 기분일 것이다. 어른들 역시 열 살이었던 시절을 떠올리며 피식 웃음을 터뜨리기도 하고, 스스로 다 컸다고 생각하는 아이가 오히려 대견해 보이기도 할 것이다.
이처럼 동시집 『얘들아, 연필시랑 놀자!』에는 아이들이 책 한 권으로도 즐겁게 놀 수 있고, 신 나게 시간을 보낼 수 있는 동시들 40편이 수록되어 있다. 동시는 어려운 것, 동시는 지겨운 것이 아닌, ‘동시는 놀이’라는 공식을 아이들 스스로 체득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목차

제 1부 이준관·하청호 편/ 너 그 웃음 나한테 팔래?
살았니? 죽었니?|손가락을 입에 물고|모락모락|웃음 팔기|해바라기|아기 마중|맨발로 걷기|들깨 털기|노을과 군불|바늘귀는 귀가 참 밝다

제 2부 노원호·박두순 편/ 강아지풀이 손을 흔든다
하늘이 노랗다|혼자 노는 아이|마법의 열차를 탄 아이|돌아가는 길|강 마을에 가면|베끼기|열쇠|젖은 향기|어른과 아기|바다에 가면

제 3부 손동연·권영상 편/ 꽃들도 방학을 하나 봐요
꽃들도 아이들처럼|3·1절 아침|모두들 학원에|굽었겠다|반성문 대신 선행상을|나뭇잎 가을밤|김지오 새끼|식사 시간|새끼 하나 못 키우겠어

제 4부 이창건·정두리 편/ 나도 하느님 손에 든 작은 씨앗
눈|구부러진 나무|의자|설거지|씨앗 하나|엄마의 여덟 살|먼지의 자리|독버섯|북소리|사과 씨앗

동인의 말|동인 약력

저자소개

이준관
1949년 전북 정읍에서 태어났으며, 1971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동시가, 1974년 에 시가 각각 당선되어 시를 쓰기 시작했다. 초등학교 교과서에 「추운 날」, 「호랑나비」, 「내가 채송화꽃처럼 조그마했을 때」 등의 동시가 실렸으며, 대한민국문학상·소천아동문학상, 방정환문학상 · 한국아동문학작가상 · 어효선아동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동시집으로 『씀바귀꽃』, 『우리나라 아이들이 좋아서』, 『내가 채송화꽃처럼 조그마했을 때』, 『쑥쑥』 등이 있다.

하청호
1943년 경북 영천에서 태어났으며, 197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동시가 당선되어 시를 쓰기 시작했다. 초등학교 교과서에 동시 「여름날 숲속에서」가 실렸으며, 대한민국문학상 · 세종아동문학상 · 윤석중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동시집으로 『초록은 채워지는 빛깔이네』, 『의자를 보면 서고 싶다』, 『바늘귀는 귀가 참 밝다』 등이 있다.

노원호
1946년 경북 청도에서 태어났으며, 1972년 매일신문 신춘문예에 동시가 입선되고, 1975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동시가 당선되어 시를 쓰기 대한민국문학상 · 세종아동문학상·이주홍아동문학상 · 방정환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동시집으로 『아이가 그린 가을』, 『바다를 담은 일기장』, 『e메일이 콩닥콩닥』, 『꼬무락꼬무락』 등이 있다.

박두순
1949년 경북 봉화에서 태어났다. 1977년 과 에 동시가 추천되어 시를 쓰기 시작했으며, 소천아동문학상 · 대한민국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동시집으로 『들꽃과 우주통신』, 『누군가 나를 지우개로 지우고 있다』, 『망설이는 빗방울』 등이 있다.

손동연
1955년 전남 해남에서 태어났으며, 1978년 에 동시가 추천되고, 1980년 서울신문 신춘문예에 시가 당선되어 시를 쓰기 시작했다. 초등학교 교과서에 「기린」, 「구리 구리 구리」 등의 동시가 실렸고, 대한민국문학상 · 한국동시문학상 · 소천아동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동시집으로 『그림엽서』, 『뻐꾹리의 아이들』, 『참 좋은 짝』 등이 있다.

권영상
1953년 강원 강릉에서 태어났다. 1979년 에 동시가 추천되고, 1982년 문학상에 당선되어 시를 쓰기 시작했다. 한국동시문학상·새싹문학상 · 소천아동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동시집으로 『신발코 안에는 생쥐가 산다』, 『월화수목금토일 별요일』, 『구방아, 목욕 가자』 등이 있다.

이창건
1951년 강원 철원에서 태어났으며, 1982년 신인상에 동시가 당선되어 시를 쓰기 시작했다. 대한민국문학상 · 한국아동문학상 · 소천아동문학상 등을 수상했으며, 동시집으로 『풀씨를 위해』, 『소망』 등이 있다.

정두리
1947년 경남 마산에서 태어났으며, 1984년 신인상에 시가,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동시가 각각 당선되어 시를 쓰기 시작했다. 초등학교 교과서에 「은방울꽃」, 「운동화 말리는 날」 등의 동시가 실렸으며, 방정환문학상 · 가톨릭문학상 · 세종아동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동시집으로 『엄마 없는 날』, 『애기똥풀꽃이 자꾸자꾸 피네』, 『마중물 마중불』 등이 있다.

도서소개

'동시 = 놀이'야!

아이들의 마음에 아름다운 동시의 동심원을 그려 나가는 「동심원」 제22권 『얘들아, 연필시랑 놀자』. 1992년 5월 5일 어린이 날에 '어린이를 위한 좋은 동시를 쓰자.'라고 아홉 명의 시인이 뜻을 모아 만든 모임인 '연필시' 동인의 설립 20주년을 기념하여 출간된 동시집이다. 초등학교 교과서에도 수록된 동시를 써온 시인으로 이루어진 '연필시' 동인의 동시는, 아이들에게 '동시=놀이'라는 공식을 체득시켜주고 있다. 어렵고 따분하게 여기기 쉬운 동시를 놀이처럼 즐기면서 아이들의 마음을 따뜻하게 감싸안아주고 응원을 보낸다. 독서에 대한 친금까지 북돋고 있다.

상세이미지

얘들아 연필시랑 놀자(동심원 22)(양장본 HardCover) 도서 상세이미지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