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1. 커피에서 물이란? “물이 다르면, 커피 맛도 달라진다.”
커피 산업에서 물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다. 19
추출의 필수 요인들에 관해 알아보자. 23
* 6가지의 필수 요인 25
1) 정확한 커피와 물의 비율 25
2) 추출 시간에 어울리는 커피 입자 조절 27
3) 추출 기구의 적정한 사용법 28
4) 최적의 추출 방법 29
5) 수질(Good quality water) 33
6) 적절한 필터 재질 34
추출하기 위한 물의 기준은 존재한다. 37
* SCAA 에서 진행한 커피 테이스팅 결과 39
수질을 달리하였을 때 커피의 맛은 변할까? 41
* 물을 달리하였을 때 커피 맛의 변화(Case Study) 42
1) 실험 방법 43
2) 실험 결과: 물을 달리한 커피 맛의 변화 45
* Casual Talk! 50
* 시판되는 물의 미네랄 함량을 알아보자. 52
커피 추출 과정에서의 양이온의 역할이 있을까? (Case Study) 55
* Casual Talk! 61
추출에 영향을 미치는 이온 64
* 인간이 물을 제조하다: 이온 결합수 68
PART 2. 물이란? 물부터 알아야 한다
물은 모든 생물체에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72
물은 과연 어떤 물질인가? 74
* Casual Talk! 75
* 이것만은 알아 두자 ! 78
물은 끈적끈적하다: 물은 자신에게 강하게 달라붙는다. 80
물은 변화 무쌍하다. 83
물과 열: 얼음에서 수증기로 87
* 얼음은 세포를 손상시킨다. 87
* 액상의 물은 느리게 가열된다. 88
* 액상의 물은 증발할 때, 다량의 열을 흡수한다. 89
* 수증기는 응결될 때 많은 에너지를 내놓는다. 90
물은 존재하는 물질 중에서 가장 우수한 용매이다. 91
* 용해도 91
물과 산도: pH 수치 95
물의 역할은 매우 다양하고 필수적인 측면을 지니고 있다. 98
* 식품 속의 존재하는 물의 형태 (자유수 Vs 결합수) 98
* 수분 함유량 Vs 수분 활성도 100
물의 물성 102
* 용매로써의 물의 역할 및 중요성 102
* 물의 응집력 103
* 물의 결합력 105
* 물의 밀도 및 부피 105
* 물의 분자 운동 107
PART 3. 물은 그 자체로 충분히 빛나고 다른 이도 돋보이게 한다
물에도 맛이 있다. 112
좋은 물은 어떤 물을 말하는 것인가? 114
미네랄이 없는 물은 마치 앙꼬 없는 찐빵과 같다. 116
* 미네랄 이온: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116
* 칼슘(Calcium, Ca2+) 118
* 마그네슘(Magnesium, Mg2+) 119
* 나트륨 (Sodium, Na+) 120
* 칼륨(Potassium, K+) 121
미네랄은 다른 음식에서도 영향을 끼칠까? 122
* 요리 122
* 제빵 123
* 맥주(Beer) 125
* 와인(Wine) 128
* Casual Talk! 130
PART 4. 물은 다양하고 선택은 우리의 몫이다
결국 물은 선택이다? 물의 종류부터 알고 적용시키자. 134
* Tap water (수돗물) 134
* Distilled water (증류수) 135
* Bottled water (생수) 135
* Filtered water (정수된 물) 136
1) water treatment system(수질 관리 체계) 137
2) Alkalinity reduction (알칼리 감소) 138
* Casual Talk! 145
탄산수의 열풍? 진실과 허구 사이에서 147
* 역사 148
* 건강에 미치는 영향 149
* 제조 방법 150
1) 발효 (fermentation) 152
2) 연도 가스 충전 (fuel gas recovery) 153
3) 멤브레인 분리 시스템(membrane separation system) 154
새로운 물이 출시되었다: 수소수란? 156
* 정의 156
* 특징 157
PART 5. 그래도 정답이 있지 않을까? (Recent report)
과학적, 객관적, 분석적 161
* 경도 및 알칼리도의 허용 범위 161
* 물의 레시피화: ‘70/30 water’ 163
1) 준비물 163
2) 준비 과정 163
커피와 물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165
* 과거 (1958~2000년 초기) 165
* 현재 (2010년대 이후~) 167
* 미래 168
부록1. 해외 수질 분포도 (영국/미국/일본)
대륙별로 다르며 대표 음식마저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 172
* 영국 173
* 미국 174
* 일본 176
부록2. 우리나라 수질 항목 기준 및 측정 방법
우리나라 수질 항목 기준이 마련된 배경 182
* 우리나라 먹는 물 수질 기준의 항목별 측정 방법 185
1) pH 측정 방법 185
2) 전기전도도 측정 방법 186
3) 증발 잔류물 측정 방법 187
4) 경도 189
Q & A 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