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미드웨이 무용교육론

미드웨이 무용교육론

  • 재클린 스미스-오타드
  • |
  • 레인보우북스
  • |
  • 2017-01-31 출간
  • |
  • 312페이지
  • |
  • 179 X 248 X 16 mm /867g
  • |
  • ISBN 9788962063783
판매가

22,000원

즉시할인가

20,9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0,9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옮긴이 서문

무용교육의 한 가지 이상과 실천 모형

1

「미드웨이 무용교육론」은 영국의 무용교육가 재클린 스미스 오타드가 저술한 [The Art of Dance in Education]을 우리말로 옮긴 책입니다. 1994년 제1판이 아니라 2002년 발간된 제2판을 번역본으로 하였습니다. 오타드의 이 책은, 물론 동의하지 않으시는 독자도 있겠지만, 무용교육 분야에서 두 번째로 유명한 책일 것입니다. 첫 번째 책은 루돌프 라반의 [Modern Educational Dance]라는 데에 이견이 없을 것입니다. 1948년 초판이 나온 라반의 책은 이미 무용교육고전의 첫 번째 자리에 올려져있습니다. 오타드의 이 책도 조금의 시간이 지나면 무용교육의 새로운 고전으로 인정받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람들이 말하길, 고전이란 누구나 알고는 있지만 그다지 읽지는 않은 책이라고 합니다. 이런 의미에서라면 아마, 「미드웨이 무용교육론」도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고전의 지위에 올라가 있는 서적이라고 할 수도 있겠습니다. 국내 무용교육 분야에서는 이 책에 대해 많이들 알고 계십니다. 그런데 (제1판이 번역된 적이 있었다는 이야기는 들었습니다만 본적이 없는 관계로) 아직까지도 제대로 된 번역본이 나온 적도 없고, 더욱이 무용교육 연구자들이 활발히 인용하거나 연구하고 있지 않은 실정입니다. 제2판이 출판된 이후 정확히 15년이 지났고, 처음 나온 제1판으로부터는 벌써 23년이나 걸렸는데에도 말입니다. 국내에서는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는 빈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학술적으로나 실천적으로 그에 합당한 대우를 받지 못해온 것입니다.

2
한편으로는 출판된 지 너무 오래되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다지 관심의 대상도 되지 못한 서적인데도 불구하고 저희는 이 책을 우리말로 옮기기로 마음먹었습니다. 경제적으로나 물질적으로 그다지 얻어지는 것이 없는 작업임에도 불구하고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기로 한 이유는 오로지 한 가지입니다. 저희가 이 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실제적으로 보이지만 현실적으로는 결코 쉽지 않은, 무용교육의 한 가지 이상理想, 그리고 그를 위한 교육실천 모형의 아이디어에 동감하기 때문입니다. 나중에 판명될 일이겠지만, 오타드의 책이 무용교육의 고전에 올라서는 영광을 받게 되는 이유도 이 이상과 모형에 기인한 것이 될 것입니다.
그 이상은 “학교에서 가르치는 무용은 교육적인 것과 예술적인 것을 동시에, 하나로 얻어야 합니다”는 생각입니다. 초, 중, 고, 대학교 등 제도교육의 맥락에서 전문적 예술성의 본질을 유지하면서 무용을 교육적으로 지도하고자 하는 바램입니다. 사실, 이 바람은 영국 내에서 오래전부터 있어왔으며, 이 책이 발간된 1990년대에는 그 필요성이 더욱 강하게 요구되었습니다. 그런데, 아무도 그를 위한 개념적 근거와 실천적 방안에 대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해주지는 못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오타드는 이 두 가지 난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하나의 설득력있는 개념과 실천 방법을 제공해주었습니다.
무용교육자라면 학교라는 공공기관에서 교육의 목적으로 지도하는 경우에 모두 동일한 딜레마를 겪게 됩니다. 즉, 교육적인 목적을 더 쫓을 것이냐, 아니면 예술적인 목적을 더 쫓을 것이냐? 무용교육자는 이 책에서 “교육모형”(E모형)과 “전문모형”(P모형)이라고 지칭한 두 가지의 양 극단 중에서 어느 쪽을 따라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 휩싸이게 됩니다. 전자는 루돌프 라반이 제안한 교육무용 모형으로 대표되는 무용교육의 접근입니다. 학생들에게 자유롭고, 창의적인 움직임 체험을 강조합니다. 후자는 전통적인, 공연예술중심의 정형화된 장르적 무용교육의 접근입니다. 발레나 컨템퍼러리 댄스의 형식으로 높은 기량의 기술발휘를 중요시합니다.
20세기에 들어와 무용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접근이 발견되면서,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이 둘 가운데 어느 것에 초점을 맞출 것인지가 불분명해진 것입니다. 양자 모두 장점과 단점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어느 하나가 온전히 옳고 나머지는 옳지 않은 상황이 아니었습니다. 어떤 때에는 교육모형에, 또 다른 때에는 전문모형에 고개를 돌리고 우왕좌왕하는 형국이 되었습니다. 그러다가 일단, 초등학교나 이전단계에서는 교육모형을, 중등학교나 그 이후에는 전문모형을 강조하는 단계적 해결책을 선택하고, 일단의 합의가 형성되어가는 중이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학교무용교육에 어떤 접근이 보다 올바른 접근인지에 대해서는 이론적, 개념적 논의가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이럴 때 오타드는 이 양 극단의 중간지점처럼 보이는, 일종의 “절충적” 해결안을 내어놓았습니다. 자신이 제안한 모형의 이름도 “미드웨이 모형”midway model, M모형이라고 지었습니다. 오른쪽 극단도 아니고 왼쪽 극단도 아닌, 교육과 예술의 중간에 놓인 길을 걸어간다는 뜻에서였습니다. 그래서 한국에서는 “중도모형中道模型”(또는 중용모형)이라고 불렀습니다. 물론, 미드웨이라는 말은 어중간하다는 뜻이 아닙니다. 양쪽의 장점을 모두 수용하여 발전시키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천명입니다. 우리에게 친숙한 “절충모형”이라는 명칭은, 이런 점에서, 그다지 적절한 이름은 아닙니다. 절충이란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느낌을 주는 단어입니다. 미드웨이란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의도가 담긴 단어 선택입니다.
이 책에 제시된 오타드의 설명을 자세히 읽어보면, 우리는 곧바로 그 점을 깨닫게 됩니다. 오타드는 1부에서 E모형과 P모형에서 강조되는, 하지만 서로 상반되는 다양한 특징과 측면들에 대하여 소개합니다. 그리고 곧이어 이 두 모형에서 상반되어 보이는 중요한 특징과 측면들이 M모형에서 어떻게 서로 하나가 될 수 있는지를 설명해줍니다. 예를 들어, M모형은 학생들의 주관적 느낌을 지나치게 강조합니다. P모형은 배우는 이의 개인적 느낌보다는 전통과 객관성을 중요시합니다. 하지만, M모형에서는 주관성은 전통을 배경으로 하고 최소한의 객관성이 확보되는 한에서 의미있는 것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는 점이 중요시됩니다. 마찬가지로, 전통과 객관성은 수행자 본인의 주관적 느낌과 생각을 완전히 배제해서는 전통으로서 수용되지 못합니다.
이 점에서 이 책에 제시된 M모형은 첫 번째와 두 번째 모형을 반반씩 섞어놓은 2.5번째 모형이 아닙니다. M모형은 첫째와 둘째와는 원리를 달리하는 제3의 모형인 것입니다. 저자 스스로도 이러한 적극적 모형구성의 의도와 근거를 힘주어 말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M모형에 대한 이같은 적극적 입장에 서서 이 책의 내용을 이해하려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모형 이름의 번역도 절충모형이나 중도모형처럼 기존에 사용하던 명칭을 채택하지 않았습니다. 저희는 원문의 발음을 그대로 살려 “미드웨이 모형”(M모형)으로 사용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것이 E모형과 P모형과 구분되는 독립된 모형으로서 M모형의 취지를 올바로 살릴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3
이 책의 제1판은 1994년에 출간되었는데, 이때에는 아직 본격적인 무용교육 모형이라는 아이디어가 형성되기 전이었습니다. 특히,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교과 혹은 교과외활동으로서 무용을 교육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독자적인 교육모형이라는 생각이 널리 퍼지기 이전이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무용교육에서도 “모형”의 개념이 적극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중입니다. 교사 개인의 취향이나 경험에 의존한 주관적 교육 스타일에 따른 수업은 당연히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교사에게나 다른 상황에서도 충분히 객관성을 지니고 활용되기는 어려운 단점이 있습니다. “모형”의 개념은 이 결점을 해소해줍니다.
모형이란 목적, 내용, 방법, 평가 등 수업의 중요한 측면과 요소들에 대한 일정한 원리와 방식을 갖춘 하나의 체계를 의미합니다. 모형은 시작과 중간, 그리고 마침이 하나의 일관된 과정으로 되어있습니다. 누가 가르치고 어디서 가르치느냐에, 약간의 영향은 있을 수 있지만, 크게 좌우되지 않는 수업의 과정과 결과를 보장해줄 수 있습니다. 비유하자면, 표준화된 레시피를 가지고 음식을 만드는 유명 프랜차이즈처럼, 한국이나 미국이나 어디에서나 동일한 질과 맛을 확보해줄 수 있는 것입니다. 누가 만드냐에 따라 음식의 맛과 질이 완전히 달라지는 사태가 발생하는 일이 줄어드는 것입니다. 모형은 바로 이런 표준화된 레시피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이런 이유로, 무용과 가까운 분야인 체육에서는 이미, “모형기반수업”model-based teaching이라는 아이디어가 2000년대 들어 각광을 받으며 점차 하나의 트랜드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습니다. “스포츠교육,” “이해중심수업,” “하나로수업,” 또는 “책임감 모형” 등등 다양한 목적과 방법으로 체육을 가르치는 체계화된 모델들이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정의 개념적, 철학적 원리를 기반하여 마련된 모형이 있고, 각각의 모형에서 제공하는 규준화된 절차와 방법을 채택하여 그 모형이 활용되는 대상과 상황의 특성이 가미된 교육과 수업의 실천이 진행됩니다. 이를 통해서 전체적인 프레임워크 내에서 체력, 스포츠 또는 인성교육 등의 목적을 성취하고, 진행하는 체육교사의 개인적 선호나 특성이 지나치지 않게 반영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오타드의 “미드웨이 모형”은 무용교육의 영역에서 새로운 경향을 제공해줄 수 있는 가능성을 지녔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처음 제안된 이후, 지난 20년간 E모형이나 P모형, 그리고 M모형에 필적할 만한 널리 인정받는 모형들이 그다지 등장하지 않은 실정입니다. 다양한 무용수업의 방법과 기법들이 소개되고는 있으나, 온전한 모양을 구비한 모형으로서 제시되고, 또 당당히 인정받은 무용교육의 아이디어는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참으로 아쉬운 상황이 아닐 수 없습니다. M모형 이후에는, 이 모형만큼이나 널리 인구에 회자되고 적용되는, 체계적인 무용교육 모형의 제안이 활발하지 않습니다. 이것은 학교에서 무용을 가르치려고 할 때, 그만큼 미드웨이 모형의 장점을 뛰어넘는 새로운 특징을 지닌 교육적 아이디어가 나오기 쉽지 않음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무용교육 서적으로서 「미드웨이 무용교육론」의 주된 특징은 두 가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첫째는, 이론적 기초를 철저히 하고, 곧 이어 초등학교, 중등학교, 그리고 대학교에서 이 모형에 따라 실제 무용프로그램과 지도를 어떻게 진행시킬 수 있는가를 포괄적으로 예시해서 자세하게 나타내 보여준다는 점입니다. 바탕이 되는 이론적 원칙들을 먼저 상세하게 설명하고, 그 원리들이 초·중·고등교육의 다양한 장면에서 어떻게 구체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지를 체계적으로 구조화시켜놓습니다. 기본원리들에 근거하여 무용을 실제 지도하는 하나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그에 따라 초등학교급, 중등학교급, 그리고 대학교급에서의 미드웨이 무용교육 수업의 예시를 제시함으로써 이론과 실제의 통합을 도모하였습니다.
둘째는, “자료기반 무용지도”를 강조했다는 점입니다. 사실 이 책이 처음 등장한 199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무용 작품을 교육적 소프트웨어화시킨 학습자료가 거의 없었습니다. 제2판이 나온 2000년대 초반도 여전히 같은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2017년 현재는 인터넷과 전자학습 자료들이 무수히 개발되어 있습니다. 저자 본인이 제작에 참여한 상업적 프로그램의 예를 자세히 설명하면서, 무용교육 실행에 있어서 무용작품을 다양한 목적으로 수업지도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화시킨 디지털자료(CD 등)의 제작과 활용을 대단히 강조하고 있습니다. 무용을 지도할 때에 학습의 효과, 특히 이 책에서 강조하는 미드웨이적 학습이 충실히 실현되기 위해서는 디지털 학습자료가 필수적임은 올바른 지적입니다. 그런데, 2017년 현재로서는 이것이 매우 당연시되고 있으며, 학습자료들도 다양하게 제작되어 시판되고 있는 중입니다. 이 책에서는 대단히 강조되었지만, 현 시점에서는 그다지 유용하거나 의미가 큰 내용이라고는 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4
한편으로는 저자의 글쓰기 스타일로 인해서, 다른 한편으로는 역자들의 미흡함 때문에 번역이 완벽하지 못하고 읽는 맛이 제대로 살아나지 못하였습니다. 이점 독자들에게 송구스럽기 그지없습니다. 영국식으로 형식이 갖추어진 문장들, 또 정확히 옮겨지지 못하는 성격의 느낌이나 동작들을 우리말로 옮겨내야 했기 때문이었겠지만, 저자가 쓴 문장의 뜻을 깔끔하고 명료하게 표현해내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특히, 1장에서 미드웨이 모형에 관련된 다양한 이론과 개념을 설명하는 문장들을 명료하게 다듬는 것이 그랬습니다. 물론, 정확한 의미를 꿰뚫고 최적의 단어를 찾아내려는 분투의 과정에서 미드웨이 무용교육론에 대한 이해를 더 잘 할 수 있었지만 말입니다.
여러 모로 부족한 번역임에도 불구하고 저희는 이 책을 독자의 손 위에 놓아 주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언급만 많이 되었을 뿐, 실제 본격적으로 탐구되거나 활발히 적용된 적은 거의 없는 대표적 무용교육 모형의 실체를 다른 무용교육자분들과 함께 나누고 싶은 마음에서 시작한 일을 일단 마무리하였습니다. 이제부터라도 초·중·고등학교에서 진행되는 무용교육에 있어서 교육적 강조와 예술적 강조가 어떻게 조화롭게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하여 개념적으로 토의하고, 실천적으로 적용하고 검토해보는 시도가 좀더 본격적으로 이루어졌으면 합니다. 독자들의 진지하고 열의에 찬 건설적 비판을 기다리겠습니다.
여기 옮겨진 내용들이 현재의 모습을 갖추기까지에는 여러분들의 도움이 있었습니다. 특히 서울대학교 대학원의 스포츠교육연구실에서 무용교육을 공부하는 무용 모임인 [댄릿] 멤버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무용의 교육적 차원에 대한 관심으로 하나가 되어 「미드웨이 무용교육론」 스터디에 열성적으로 참가해주었습니다. 이들의 관심과 노력이 이 책의 번역이 필요하다는 확신을 행동으로 옮기도록 해주었습니다. 이들의 기대와 격려가 힘든 과정을 버틸 수 있는 큰 힘이 되어주었습니다. 서문, 개요, 1장, 결론의 책임 번역은 최의창이, 2, 3, 4장은 임수진, 박혜연, 홍애령, 김나이, 신주경, 김현정, 권선영, 박성혜가 함께 담당하였습니다. 이제 이 책은 우리의 손을 떠나 독자들에게로 갑니다. 독자들의 따뜻한 관심 속에 향후 개선의 기회를 가질 수 있기를 간절히 희망합니다.

옮긴이를 대표하여
최 의 창 드림
2017. 1. 31

목차

옮긴이 서문 · i
서 문 · ix
개 요 · xii

Ⅰ. 미드웨이 무용교육론 이론적 기초
1. 개요 3
2. 미드웨이 모형 6
가. 과정 대 결과 7
나. 창의력, 상상력, 개성 대 극장무용 지식의 습득 10
다. 감정과 주관성 대 훈련과 객관성 15
라. 움직임 원리 대 양식화된 테크닉 23
마. 문제 해결 대 직접 교수법 31
3. 미드웨이 모형의 특징 36
가. 세 과정: 창작, 수행, 감상 36
나. 예술적 교육 39
다. 심미적 교육 43
라. 문화적 교육 47
4. 자료기반 교수방법 52
가. 관람 과제 55
나. 수행 과제 57
다. 창작 과제 59
라. 문화적/역사적 과제 60
마. 자료 패키지 62
바. 결론 68

Ⅱ. 초등교육에서의 미드웨이 모형
1. 배경 - 초등교육과정에서의 무용 71
2. 초등학교를 위한 무용 수업계획안 75
3. 한 가지 결과 89
4. 수업계획 91
5. 학습과정에 대한 평가 및 기록 99
6. 미드웨이 모형의 실행 방법 102
가. 과정과 결과의 동등한 강조 102
나. 창의성, 상상력, 개성의 발달과 극장무용지식 습득의 동등한 강조 104
다. 감정과 훈련의 동등한 강조 105
라. 움직임 원리와 양식화된 테크닉의 동등한 강조 107
마. 문제 해결 접근방식과 직접 교수법의 동등한 강조 112
바. 예술적 교육 114
사. 심미적 교육 118
아. 문화적 교육 119
7. 자료 기반 교수/학습과 과목간 상호연계 121
가. 관람 과제 121
나. 수행 과제 123
다. 창작 과제 123
라. 문화적/역사적 과제 124
마. 과목간 상호연계 125
8. 결론 126

Ⅲ. 중등교육에서의 미드웨이 모형
1. 배경 - 무용예술에 대한 하나의 일치된 관점을 향해 129
2. 중등학교를 위한 무용 수업계획안 131
3. 한 가지 결과 145
4. 수업계획 147
5. 학습과정에 대한 평가 및 기록 154
가. 무용 창작 154
나. 무용 수행 155
다. 무용 감상 156
6. 미드웨이 모형의 실행 방법 158
가. 과정과 결과의 동등한 강조 159
나. 창의성, 상상력, 개성의 발달과 극장무용지식 습득의 동등한 강조 161
다. 감정과 훈련의 동등한 강조 163
라. 움직임 원리와 양식화된 테크닉의 동등한 강조 167
마. 문제 해결 접근방식과 직접 교수법의 동등한 강조 170
바. 예술적 교육 172
사. 심미적 교육 178
아. 문화적 교육 179
7. 자료기반 교수/학습 182
가. 관람 과제 183
나. 수행 과제 184
다. 창작 과제 185
라. 문화적/역사적 과제 187
8. 결론 189
9. GCSE, AS, A 레벨에서의 무용예술교육 190
가. 북부 지역 시험 평가 위원회- 2001년과 2002년 공연예술 중등교육수료시험 요강: 무용 190
나. 북부 지역 시험 평가 위원회- 2001년 상급 심화, 상급 시험 요강: 무용 191
다. GCSE, A 레벨, AS 레벨 시험 요강에 이론적 기초 적용하기 193
라. 자료기반 교수와 테크놀로지의 활용 198

Ⅳ. 대학교육에서의 미드웨이 모형
1. 배경, 그리고 접근방식의 차이 203
2. 이론과 실제의 균형 204
3. 대학교육에서 무용교육과정의 특징 205
4. 대학교육에서의 미드웨이 모형 209
5. 무용 교과목에 대한 개요 210
6. 미드웨이 모형에의 적용 214
가. 과정과 결과의 동등한 강조 215
나. 창의성, 상상력, 개성의 발달과 극장무용지식 습득의 동등한 강조 219
다. 감정과 훈련의 동등한 강조 222
라. 움직임 원리와 양식화된 테크닉의 동등한 강조 225
마. 문제 해결 접근방식과 직접 교수법의 동등한 강조 230
바. 예술적 교육 232
사. 심미적 교육 236
아. 문화적 교육 239
7. 자료기반 교수/학습 242
8. 결론 250

Ⅴ. 결론

부록 · 259
참고자료 · 277
참고문헌 · 279
찾기 · 284

도서소개

『미드웨이 무용교육론』은 영국의 무용교육가 재클린 스미스 오타드가 저술한 [The Art of Dance in Education]을 우리말로 옮긴 책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