ㆍ머리말
제1부│종교의 생존 원리
1. 다원사회 속에서의 그리스도교
- 종교의 생존원리와 관련하여
2. 가교(架橋)와 희망
- 변화에서 보완으로
3. 종교 간의 대화
- 대화 이외의 대안 모색
4. 종교와 종교는 서로 신뢰할 수 있는가?
- 종교 간의 갈등과 신뢰에 대한 이론적 접근
제2부│고백 공동체의 언어
1. 혼란의 시대
- 종교, 그 착각의 실상
2. 종교와 '힘'
- 절대에의 의존, 갈등, 그리고 반역
3. 종교와 평화
고백 공동체의 '언어'
4. 종교와 화합
- '통일'과 종교의 자의식
5. 종교도 악이 될 수 있다
환상, 착종, 작위의 비극
제3부│ 편의에 빙의된 의미
1. 성숙한 문화는 생명을 존중한다
- 자살, 어린 문화의 상처
2. 죽음에 관한 학문적 접근, 왜? 어떻게?
죽음학 서설
3. 현대인의 죽음 이해
- 우리의 전통적인 죽음이해와 오늘의 과제를 중심으로
4. 죽음의례, 이와 관련된 몇 가지 생각
- 편의에 빙의된 의미
제4부│물음과 해답의 에콜로지
1. 정직한 인식과 열린 상상력
- 물음과 해답의 에콜로지
2. 제의와 몸짓
- 몸짓 현상학 시론
3. 종교와 예술의 내명 읽기
- 삽화 두 개
4. 하늘과 순수와 상상
- 비종교적 종교 이야기
5. 시간을 벗어난 시간
- 회상과 희구의 미학을 위하여
제5부│종교학 담론의 공간
1. 서울이 그리워졌습니다
- 팻말 문화와 역사 만들기
2. 그저 이런 저런 생각들
- '인문학의 위기'라는 말을 들으면서
3. <함석헌 현상>의 논의에서 기대하는 것
- 종교학 담론의 공간
4. 멀치아 엘리아데: 기호인가, 상징인가
- 소(牛)의 자기반추
5. 경전번역과 한국문화형성
- 언어의 통과제의
제6부│신의 고향은 어디인가?
1. 종교 읽기와 종교 짓기
- 종교 연구의 미로
2. 종교 되생각하기
- 크레도와 코기토 사이에서
3. 신의 고향은 어디인가?
인지과학의 종교담론에 관하여
4. 생명과 종교
- 현대사회, 생명윤리, 그리고 종교
5. 종교와 행복
- 종교적 행복의 현상학
6. 종교 이야기
- 아이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ㆍ참고문헌
ㆍ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