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제4차 산업혁명의 신산업 플랫폼 스마트시티 기술개발 동향과 사업전망

제4차 산업혁명의 신산업 플랫폼 스마트시티 기술개발 동향과 사업전망

  • 편집부
  • |
  • 이슈퀘스트
  • |
  • 2017-06-14 출간
  • |
  • 639페이지
  • |
  • 211 X 298 X 35 mm /2106g
  • |
  • ISBN 9788998366377
판매가

350,000원

즉시할인가

315,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15,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4차 산업혁명 융합기술 플랫폼, 스마트시티 개황 33
1. 신성장산업으로 주목받는 스마트 시티 개요 33
1-1. 스마트시티 개념 및 특징 33
1) 개념 33
(1) 정의 33
(2) 등장 배경과 의미 35
(3) 스마트 시티 3단계 진화과정 42
(4) 스마트시티 성숙도 평가 모형 44
2) 특징 45
(1) 4차 산업의 플랫폼으로 진화하는 스마트시티 45
(2) ‘앱’ 등 응용서비스로 구현되는 스마트시티 46
(3) 기존도시, 유시티(u-city)와 스마트시티의 비교 47
(4) 스마트시티 구축 효과 50
1-2. 스마트시티 시장동향과 이슈 52
1) 스마트시티 시장 동향 52
(1) 글로벌 시장규모 52
(2) 글로벌 시장동향 53
(3) 글로벌 사업 참여자 동향 55
2) 글로벌 스마트시티 선도사례 58
(1) 2016 다보스포럼, 글로벌 스마트시티 선도 사례 소개 58
(2)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스마트시티 전략 58
(3) 오스트리아, 비엔나 스마트시티 전략 60
(4) 캐나다, 벤쿠버의 스마트시티 전략 62
(5) 싱가포르, 아태지역 스마트시티 선두 64
(6) 일본, 환경미래도시 키타큐슈시와 요코하마의 에너지 실증 66
(7) 중국 텐진, 에코시티 지향 스마트시티 69
(8) 미국, 보스턴시 교통혼잡 극복을 위한 스마트시티 69
(9)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재난대응형 스마트시티 71
1-3. 해외 스마트시티 투자동향과 정책동향 73
1) 해외 주요국 스마트시티 투자 동향 73
2) 해외 주요국 스마트시티 정책 동향 74
(1) 미국, 중앙정부 지원계획 수립 및 민간 투자 본격화 74
(2) 유럽(EU), 교통, 에너지절감, 도시 경쟁력 강화형 스마트시티 77
(3) 중국, 인터넷 플러스 전략으로 스마트시티 추진 78
(4) 일본, 스마트시티 포탈을 통해 해외 진출 강화 81
(5) 인도, 구 도시형, 신 도시형으로 스마트 시티 구축 추진 87
2. 9대 국가 전략 프로젝트로 스마트시티 선정 88
2-1. 9대 국가 전략 프로젝트 기술개발 개요 88
1) 개요 88
2) 9대 국가 전략 프로젝트 개요 88
(1) 인공지능(AI) 88
(2) 가상?증강현실 89
(3) 자율주행차 90
(4) 경량소재(타이타늄, Al, Mg) 92
(5) 스마트시티 96
(6) 정밀의료 96
(7) 바이오 신약 99
(8) 탄소자원화 99
(9) (초)미세먼지 100
3) 9대 국가 전략 프로젝트 분야별 세부 계획 100
(1) 자율주행자동차 핵심기술 개발 100
(2) 경량소재 개발 102
(3) 세계 선도형 스마트시티 구축 103
(4) 인공지능(AI) 105
(5) 가상증강현실 생태계 구축 106
(6) 바이오정보 기반 정밀의료 기술 108
(7) 중증질환 극복 차세대 바이오 신약 개발 109
(8) 탄소자원화 기술개발 110
(9) (초)미세먼지 해결 기술개발 112
2-2. 스마트시티 국가전략 프로젝트 추진전략 114
1) 개요와 추진 배경 114
2) 핵심 추진과제 115
(1) 개별 인프라 연계를 통한 요소기술 고도화 115
(2) 도시 빅데이터 통합 관리?공개를 통한 서비스 質 향상 116
(3) R&D; 국내 실증 및 해외진출 기반 강화 116
3) 기대효과 117
4) 향후 추진계획 117
3. 국내 스마트시티 정책동향과 전략 119
3-1. 국내 스마트시티 정책동향 119
1) 추진경과 119
(1) 추진경과 119
(2) 국토부 유시티 사업 122
(3) 미래부 스마트시티 실증단지 조성사업 125
(4) 지방 자치단체 스마트시티 동향 125
(5) 국내 스마트시티 성숙도 평가 126
2) 과제와 대응 방안 127
(1) 과제 127
(2) 대응방안 128
3-2. 한국형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동향과 전략 131
1) 한국형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확대 방안 131
(1) 추진배경 131
(2)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방안 131
(3) K-Smart City 수출추진단, 스마트시티추진단으로 확대개편 134
2) 스마트시티 수출 1호 ‘쿠웨이트 신도시’ 개발 착수 135
(1) 우선협상자 선정 완료 135
(2) 향후 계획 136
3) 캄보디아 시아누크빌에 스마트시티 수출 양해각서(MOU) 체결 137
(1) 개요 137
(2) 캄보디아 시아누크빌 항구도시 사업 개요 138
(3) 캄보디아 공공주택 사업화모델 연구 139
(4) 캄보디아 도시개발 법제 지원 139
4) 중남미 5개국과 스마트시티 등 주택도시분야 협력 강화 140
5) 스리랑카 신도시개발협력 양해각서(MOU) 체결 141
(1) 개요 141
(2) 스리랑카 수도권 스마트도시 개발 계획 개요 141
(3) (우선협력사업) 스리랑카 수도권 신도시 개발 사업 143
3-3. 2017년 주요 스마트시티 관련 사업 추진현황 144
1) 국토부, 2017년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기반구축사업 144
(1) 2017년 사업 현황 144
(2) 스마트시티(U-City) 통합플랫폼 기반구축사업 개요도 146
(3) 스마트도시 안전 5대 서비스 147
(4) 5대 연계서비스 구성 및 연계 방식 152
2) 미래부, 2017 스마트시티(부산?고양) 데이터 활용 서비스 공모 153
(1) 개요 153
(2) 부산 스마트시티 서비스 및 데이터 현황(예시) 154
(3) 고양 스마트시티 서비스 및 데이터 현황(예시) 157
4. 스마트시티 구성의 핵심 키워드 사물인터넷 159
4-1.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의 개념과 발전방향 159
1) 사물인터넷의 개념 159
2) 사물인터넷의 등장 및 발전방향 161
3) 사물인터넷의 생태계와 진화방향 162
(1) 사물인터넷 생태계(Value Chain) 162
(2) 사물인터넷 적용 서비스 유형 구분과 사례 165
4) 사물인터넷 대응을 위한 기업관점에서의 실행과제 168
(1) 1단계 : Paradigm change identification 168
(2) 2단계 : New biz/operation model development 169
(3) 3단계 : Core competency development 169
(4) 4단계 : Barrier/risk factor identification 170
(5) 5단계 : Infra/system development 170
4-2. AI와 빅데이터의 핵심으로 부상한 IOT 171
1) 빅데이터와 시장전망 171
(1) 빅데이터 개념 171
(2) 빅데이터 등장배경 174
(3) 빅데이터 최근 동향 175
(4) 빅데이터 시장 전망 178
2) AI기술과 시장전망 182
(1) 인공지능 정의 182
(2) 인공지능 기술 184
(3) 차세대 ICT의 Brain, 인공지능(AI) 185
(4) 세계 인공지능 관련 시장 전망 188
4-3. 사물인터넷 시대의 보안 이슈 195
1) 사물인터넷 보안 위험 195
(1) 사물인터넷 보안 취약성 195
(2) 개인 정보 및 프라이버시 침해 위협 198
(3) 보안 및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대응 201
2) 사물인터넷 보안 203
3) 사물인터넷 서비스 보안 205
4-4. 사물인터넷 글로벌 동향 및 시장전망 207
1) 해외 사물인터넷 주요 동향 및 이슈 207
(1) 개요 207
(2) 국가별 동향 209
2) 글로벌 사물인터넷 시장 전망 214
(1) 맥킨지의 9대 IOT 핵심산업 분야 전망 214
(2) 가트너의 hype 곡선과 시장전망 217
(3) 기타 시장조사업체의 시장전망 219
3) 주요 분야별 사물인터넷 시장 전망 220
4) 스마트시티에서 구현될 커넥티드 사물 전망 221

Ⅱ. 스마트시티 핵심 구성 요소별 시장 동향과 전망 227
1. 사물인터넷(IOT)기술기반 서비스 시장동향과 전망 227
1-1. 사물인터넷 서비스 확산과 ICT 기술의 융합 227
1) 개요 227
2) 사물인터넷 서비스 확산 방향 228
(1) 개인 편리를 위한 서비스 확산 228
(2) 산업 경쟁력 향상 및 효율화 서비스 229
(3) 공공부문 서비스 질 향상 229
1-2. 사물인터넷 서비스 핵심 기술 동향 231
1) 사물인터넷 기술에 대한 이해 231
2) 센서 디바이스 플랫폼 기술 232
3) 사물인터넷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233
(1) 근거리 무선 통신(NFC) 234
(2) 저전력 블루투스, 비콘(Bluetooth, Beacon) 235
(3) Z-Wave 236
(4) Vehicle to Vehicle(V2V) 237
(5) 빅데이터, 클라우드 238
4) 사물인터넷 통합 플랫폼 기술 239
5) 사물인터넷 표준화 241
1-3. 사물인터넷용 디바이스별 동향 243
1) IOT홈(스마트홈/가전)용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243
2) IOT의료, 헬스케어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243
3) IOT에너지(스마트 에너지)용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245
4) IOT 커넥티드카(스마트카) 디바이스 246
5) 생활밀착형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246
6) 산업 및 환경용 사물인터넷 디바이스 247
1-4. 사물인터넷 실현의 핵심기반 스마트센서 동향 248
1) 스마트 센서의 개념과 진화 동향 248
2) 스마트 센서 개발과 활용 249
(1) 틈새시장 공략 및 선점 249
(2) 융합센서와 센서 허브 활용 249
(3) 창의적인 IoT형 센서응용 제품 및 서비스 개발 250
3) 스마트센서 시장 전망 251
2. 스마트시티의 허브, IoT기반 스마트홈 시장동향과 전망 254
2-1. 스마트홈의 개념과 이슈 254
1) 스마트홈의 개념 254
2) 스마트홈 발전과정 256
3) 사물인터넷(IoT)의 접목으로 본격적인 성장이 기대되는 스마트홈 258
(1) IoT 기반 스마트홈 258
(2) IoT 기반 스마트홈 성공사례 259
4) 스마트홈 서비스 구축을 위한 최근의 기술 이슈 259
(1) 음성인식 기술 259
(2) 매시업(Mashup) 기술 260
(3) 머신러닝(Machine Learning)과 인공지능(AI) 기술 260
2-2. 스마트홈 생태계와 구성요소 261
1) 스마트홈 생태계의 6대 구성요소 261
(1) 유무선 네트워크 262
(2) 가정내 스마트 디바이스 268
(3) 스마트홈 표준화 270
(4) 스마트홈 플랫폼 270
(5) 스마트홈 컨트롤 디바이스 271
(6) 스마트홈 콘텐츠 272
2) 스마트홈 생태계별 시장성 전망 274
(1) 신성장 디바이스, 플랫폼, 컨텐츠에 기회 확대 274
(2) 스마트홈 시장 성장과 생태계 변화방향 275
3) 스마트홈 구현을 위한 3대 IoT 핵심 기술 275
2-3. 스마트홈 핵심 시장과 서비스 277
1) 스마트홈의 ‘허브’ 경쟁과 인공지능 개인비서 서비스 277
(1) 스마트홈의 ‘허브’ 경쟁 277
(2) 스마트홈의 핵심 허브 기술로 발전하는 인공지능 개인 비서 284
(3) 확대되는 AI가상개인비서 시장 295
(4) 향후 과제 298
2) 커넥티드 스마트가전(Smart Appliance) 확산 299
(1) 스마트가전(Smart Appliance)의 개념 299
(2) 스마트가전의 주요 특징 및 등장 배경 300
3) 홈 헬스케어 서비스 301
(1) 홈헬스케어 개념과 동향 301
(2) 홈헬스케어와 IOT의료 시장전망 302
(3) IoT 의료 국내 시장 동향과 전망 308
4) 에너지관리시스템과 서비스 310
(1) 스마트그리드의 개념 310
(2) 가정용 에너지 관리 시스템(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310
5) 홈 시큐리티 서비스 313
(1) 이동통신사의 신상품 출시 경쟁 313
(2) 스마트홈 허브로서의 가능성 314
2-4. 스마트홈 시장 전망 315
1) 스마트홈 서비스로 획득되는 데이터와 사업기회 315
2) 세계 스마트홈 시장 전망 316
3) 국내 스마트홈 시장 전망 322
3. ICT 기반 스마트 교통 시스템 관련 시장, 기술 동향과 전망 324
3-1. 스마트교통 시스템 개요와 시장동향 324
1) 스마트교통 시스템 개요 324
(1) 개념 및 정의 324
(2) 구성요소와 특성 325
2) 스마트교통 시스템 국내외 시장 현황 및 전망 325
(1) 국내 시장 현황 및 전망 325
(2) 국외 시장 현황 및 전망 327
3-2. 스마트교통 시스템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과 전망 332
1) 스마트교통 핵심기술별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332
(1) 차량-교통약자간 안전지원 모델 332
(2) V2Cloud 인터페이스 333
(3) 군집 및 자율주행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파일 및 메시지 정의 333
(4) 차량 스테이션 게이트웨이 시스템 적합성 시험 규격 335
(5) 차량과 외부 통신을 위한 인증/보안 프레임워크 335
(6) 건물, 시설물 및 인프라 3D 공간정보 교환 명세 337
(7) 실내공간 응용서비스를 위한 실내 네트워크 모델 337
(8) 실내공간정보 접근 및 공유 인터페이스 337
(9) BIM 기반 공간정보 추출을 위한 LoD 매핑규격 338
(10) 공간/위치정보 구축 및 활용을 위한 기준점 정보 교환명세 338
(11) 공간정보 기반 융합 및 연계를 위한 주소정보 명세 338
(12) 실내외 연속측위 서비스 연동규격 339
(13) 실내측위 성능향상을 위한 측위 프로토콜 규격 339
(14) 고정밀 위성항법 측위를 위한 차분정보 제공 프로토콜 규격 340
(15) 긴급구조용 측위 제공을 위한 연동 규격 340
(16) RTLS서비스 제공을 위한 실내/외 측위 프로토콜 규격 341
2) 스마트교통 주요 핵심특허 동향 342
(1) 특허분석 개요 342
(2) 주요 표준화 항목별 특허 동향 342
3-3. 스마트교통 주요 기술별 표준화 동향과 전망 349
1) 스마트교통 기술 표준화 논의 경과 349
(1) 연도별 기술 표준화 이슈 349
(2) 스마트교통 중점 표준화 항목 352
2) 스마트교통 핵심기술별 국내외 표준화동향과 전망 356
(1) 차량-교통약자간 안전지원 모델(V2VRU safety system) 356
(2) 군집 및 자율주행 서비스를 위한 통신 프로파일 및 메시지 정의 357
(3) V2Cloud 인터페이스 358
(4) 차량 스테이션 게이트웨이 시스템 적합성 시험 규격 359
(5) 차량과 외부통신을 위한 인증/보안 시스템 360
(6) 건물, 시설물 및 인프라 3D 공간정보 교환 명세 361
(7) 실내공간 응용서비스를 위한 실내 네트워크 모델 362
(8) 실내공간정보 접근 및 공유 인터페이스 363
(9) BIM 기반 공간정보 추출을 위한 LoD 매핑규격 363
(10) 공간/위치정보 구축 및 활용을 위한 기준점 정보 교환명세 364
(11) 공간정보 기반 융합 및 연계를 위한 주소정보 명세 364
(12) 실내외 연속측위 서비스 연동 규격 365
(13) 실내측위 성능향상을 위한 측위 프로토콜 규격 366
(14) 고정밀 위성항법 측위를 위한 차분정보 제공 프로토콜 규격 366
(15) 긴급구조용 측위 제공을 위한 연동 규격 367
(16) RTLS서비스 제공을 위한 실내/외 측위 프로토콜 규격 368
3) 스마트교통 중장기 표준화 계획 370
(1) 중기(2016∼2018) 표준화 계획 370
(2) 장기(∼2025) 표준화 계획 371
4. 스마트 그리드(에너지), 스마트 물관리 시장동향과 전망 372
4-1.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한 스마트 그리드(에너지) 동향과 전망 372
1) 지능형전력망 시행계획(2016-2017) 372
(1) 개요와 성과 372
(2) 시행 계획 375
(3) 향후 계획 379
2) 에너지절약형 건물(ZEB)분야 중장기 기술개발 목표 380
(1) 에너지절약형 건물(ZEB)분야 중장기 기술개발 목표 380
(2) 에너지절약형 건물 분야별 기술개발 목표 382
3) 에너지신산업 시장 동향과 전망 389
(1) 2030 에너지 신산업 확산 전략 389
(2) 에너지신산업 추진 계획 407
(3) 에너지신산업 성과확산과 에너지 빅데이터산업 활성화 413
(4) 전기차 표준화 추진 421
(5) 에너지신산업 관련 분야 2016년 제도개선 동향 427
4) 스마트시티와 전기차 충전사업 주요 프로젝트 438
(1) 민간 유료충전사업 및 배터리리스 서비스 438
(2) 전기차 발전전략(2016.7.7.) 후속 경과 440
4-2.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한 스마트 물산업 동향과 전망 446
1) 국내외 물시장 동향 446
(1) 세계 물시장규모와 특징 446
(2) 국내 물산업 동향과 특징 451
2) 스마트 물산업 육성전략 추진 455
(1) 개요 455
(2) 스마트 물산업 육성전략 459
(3) 기대효과 474
(4) 추진계획 475
(5) 주요 사업 내용 477
5. ICT 기반 스마트 재난안전관리 시장동향과 전망 480
5-1. 스마트 재난안전관리시스템 시장 현황 480
1) 개념 및 범위 480
2) 재난안전 분야 트렌드 변화 481
3) 재난안전 산업 시장 전망 482
4) 재난안전 분야 국내외 정책 현황 483
5) 국내 기업 동향 및 대응 484
6) 재난안전 산업의 국내 기술 수준과 경쟁력 485
5-2. 스마트 재난안전관리시스템 핵심기술 487
1) 스마트 재난안전관리시스템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487
2) 스마트 재난안전관리시스템 핵심기술 분야 488
(1) 스마트 재난상황관리 시스템 488
(2) 국토관측센서 기반 광역 및 지역 수재해 감시, 평가, 예측기술 개발 488
(3) 재난상황 조망시스템(재난현장 무선통신망 확보 및 긴급지원 기술) 488
(4) 도시 지하매설물 모니터링 및 관리 시스템 489
5-3. 스마트 재난안전관리 시스템 미래성장동력화 전략 490
1) 종합분석 490
2) 추진전략 491
(1) 개요 491
(2) 목표 및 단계별 추진전략 492
3) 전략별 추진내용 492
(1) 재난안전관리 스마트시스템 기반기술 구축 492
(2) 재난안전관리 스마트시스템 실용화 기술 구현 495
(3) 재난안전관리 스마트시스템 보급 및 고도화 497
4) 추진 로드맵 및 담당부처 500
(1) 추진로드맵 500
(2) 추진과제별 소요예산 501
5) 재난안전관리 스마트시스템 종합실천계획 2016년 실행계획 503
(1) 추진 계획 개요 503
(2) 그 간 추진실적 (’14~’15) 503
(3) 2016년도 주요 추진내용 503
(4) 2016년 투자계획 503
(5) 추진 로드맵(2020년) 504
5-4. 재난 대응 과학기술 역할 강화 3개년 실천전략과 추진현황 505
1) 중점 추진 과제 505
(1) 통합 재난정보 관리 고도화 505
(2) 재난 예방·감시 역량 제고 510
(3) 재난현장 대응기술 첨단화 515
(4) 인력양성 및 재난산업 육성 520
2) 추진성과와 향후 계획 526
(1) 재난 R&D; 주요성과 526
(2) 향후 계획 527
5-5. 빅데이터 기반 안전관리 대책 수립 529
1) 개요 529
2) 빅데이터 활용 신규과제 주요 내용 531

Ⅲ. 국내외 스마트시티 건설 및 추진동향 535
1. 국내 스마트시티 추진 동향 535
1-1. 스마트시티 발전방향 모색 535
1) 개요 535
(1) 스마트시티 추진체계 구축 536
(2) 국내도시 고도화 및 新산업 육성 537
(3) 스마트시티 기술 고도화 538
(4) 글로벌 네트워크 및 전략 홍보 강화 538
2) 글로벌 스마트시티 실증단지 조성사업 539
(1) 개요 539
(2) 사업내용 539
(3) 지원내용과 방법 543
(4) 부산 글로벌 스마트시티 실증단지 조성사업 추진 개요 544
3) 국내 주요 스마트시티 추진 핵심 키워드 552
(1) 세종특별자치시 - 지능형 스마트도시 552
(2) 인천광역시 - 원도시 U City 건설 민간투자사업 553
(3) 나주시(전라남도) - 스마트 에너지시티 추진 553
(4) 제주특별자치도 - Jeju, Green Big Bang 553
4) 서울시 스마트시티 추진 사례 554
5) 부산시 스마트시티 추진 사례 554
1-2. 국내외 스마트시티용 서비스 개발 사례와 동향 557
1) 스마트 파킹/ 주차장 557
2) 스마트 횡단보도/ 보행자 반응형 표지판 558
3) 교차로 알리미 559
4) 공용자전거, 오토바이 충전소 560
5) 지능형 버스서비스와 버스정류장 561
6) 스마트 가로등/ 조명 562
7) 스마트 빌딩 563
8) 스마트 에너지 관리 563
9) 지능형 물관리 565
10) 쓰레기 처리시스템/ 스마트 쓰레기통 566
11) 스마트 안전 서비스 567
2. 국내 스마트시티 유관산업 핵심기술 개발전략과 육성계획 569
2-1. 5G 이동통신산업 발전전략(‘17∼‘21) 569
1) 추진배경 및 개요 569
2) 주요 내용 570
(1) 비전과 목표 570
(2) 세부내용 571
3) 기대효과 572
2-2. 국가 사이버보안 R&D; 추진계획 573
1) 추진배경 및 개요 573
2) 주요 내용 574
(1) 비전 및 목표 574
(2) 세부내용 574
3) 기대효과 575
2-3. 스마트시티 관련분야 미래 성장동력산업 발전전략 추진 계획 576
1) 지능형 사물인터넷 576
(1) 추진 계획 개요 576
(2) 그 간 추진실적 (’14~’15) 576
(3) 2016년도 주요 추진내용 576
(4) 2016년 투자계획 576
(5) 추진 로드맵(2020년) 577
2) 5G 이동통신 578
(1) 추진 계획 개요 578
(2) 그 간 추진실적 (’14~’15) 578
(3) 2016년도 주요 추진내용 578
(4) 2016년 투자계획 578
(5) 추진 로드맵(2020년) 579
3) 지능형 반도체 580
(1) 추진 계획 개요 580
(2) 그 간 추진실적 (’14~’15) 580
(3) 2016년도 주요 추진내용 580
(4) 2016년 투자계획 580
(5) 추진 로드맵(2020년) 581
4) 스마트자동차 582
(1) 추진 계획 개요 582
(2) 그 간 추진실적 (’14~’15) 582
(3) 2016년도 주요 추진내용 582
(4) 투자계획 582
(5) 추진 로드맵(2020년) 583
5) 고기능 무인기 584
(1) 추진 계획 개요 584
(2) 그 간 추진실적 (’14~’15) 584
(3) 2016년도 주요 추진내용 584
(4) 투자계획 584
(5) 추진 로드맵(2020년) 585
6) 가상훈련시스템 586
(1) 추진 계획 개요 586
(2) 그 간 추진실적 (’14~’15) 586
(3) 2016년도 주요 추진내용 586
(4) 2016년 투자계획 586
(5) 추진 로드맵(2020년) 587
7) 실감형 콘텐츠 588
(1) 추진 계획 개요 588
(2) 그 간 추진실적 (’14~’15) 588
(3) 2016년도 주요 추진내용 588
(4) 2016년 투자계획 588
(5) 추진 로드맵(2020년) 589
8) 착용형 스마트기기 590
(1) 추진 계획 개요 590
(2) 그 간 추진실적 (’14~’15) 590
(3) 2016년도 주요 추진내용 590
(4) 2016년 투자계획 590
(5) 추진 로드맵(2020년) 591
9) 맞춤형 웰니스케어 592
(1) 추진 계획 개요 592
(2) 그 간 추진실적 (’14~’15) 592
(3) 2016년도 주요 추진내용 592
(4) 2016년 투자계획 592
(5) 추진 로드맵(2020년) 593
10) 빅데이터 594
(1) 추진 계획 개요 594
(2) 그 간 추진실적 (’14~’15) 594
(3) 2016년도 주요 추진내용 594
(4) 2016년 투자계획 594
(5) 추진 로드맵(2020년) 595
3. 해외 주요국 스마트 시티 개발 동향 596
3-1. 아시아 596
1) 중국 596
(1) 중국 스마트시티 개요 596
(2) 중국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597
(3) 국내 기업 진출 유망분야 602
2) 대만 603
(1) 대만 스마트시티 개요 603
(2) 대만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603
3) 인도 607
(1) 인도 스마트시티 개요 607
(2) 인도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608
(3) 국내 기업 진출 유망분야 613
4) 태국 614
(1) 태국 스마트시티 개요 614
(2) 태국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614
(3) 국내 기업 진출 유망분야 615
5) 말레이시아 616
(1) 말레이시아 스마트시티 개요 616
(2) 말레이시아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617
(3) 국내 기업 진출 유망분야 618
6) 인도네시아 619
(1) 인도네시아 스마트시티 개요 619
(2) 인도네시아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620
(3) 국내 기업 진출 유망분야 622
3-2. 유럽 623
1) 덴마크 623
(1) 덴마크 스마트시티 개요 623
(2) 덴마크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625
(3) 국내기업 진출 유망분야 627
2) 영국 627
(1) 영국 스마트시티 개요 627
(2) 영국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628
(3) 국내 기업 진출 유망분야 629
3) 이태리 630
(1) 이태리 스마트시티 개요 630
(2) 이태리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631
(3) 국내기업 진출 유망분야 633
3-3. 기타 635
1) UAE 635
(1) UAE 스마트시티 개요 635
(2) UAE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635
(3) 국내기업 진출 유망분야 636
2) 멕시코 636
(1) 멕시코 스마트시티 개요 636
(2) 멕시코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637
(3) 국내 기업 진출 유망분야 639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