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모빌리티

모빌리티

  • 존 어리
  • |
  • 아카넷
  • |
  • 2014-06-18 출간
  • |
  • 636페이지
  • |
  • 140 X 210 X 26 mm /975g
  • |
  • ISBN 9788957333297
판매가

37,000원

즉시할인가

33,3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3,3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사람뿐 아니라, 정보, 돈, 생각까지 온 세상의 것이 이동 중이다. 사회적 이동, 지리적 이동 등‘이동’은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모빌리티 패러다임 전환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존 어리는 『모빌리티』에서 사회를 보는 새로운 ‘렌즈’로서 모빌리티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사회과학의 새로운 이론과 방법론을 전개시킨다. 이를 위해 다양하고 구체적인 모빌리티 사례들을 제시하고 이동을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자동차, 이동 전화, 컴퓨터 등 다양한 ‘모빌리티 시스템’을 개관한다. 더 나아가 모빌리티의 증대와 가속화 그리고 사회공간적 네트워크의 확대에 따라 발생하는 사회 현상을 폭넓게 보여줌과 동시에 현상 뒤에 숨은 문제들을 비판적으로 드러낸다.

『모빌리티』는 3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 “모바일 세계”에서는 모빌리티 연구에 대한 이론적 및 방법론적 논의를 제시하는데, 현대의 사회적 변화와 현상을 포착하기 위하여 제시한 사회과학의 방법론적 전환, 즉 모빌리티 패러다임의 이론적 배경과 의미를 설명한다. 이를 위해 어리는 다양한 학문 분야의 이론들을 절충하고 종합하는데, 대표적인 이론으로 대도시에서 표준화되고 계량화된 삶의 방식과 인간 감각의 질적 변화에 관한 지멜의 도시사회학, 자기 조직화 과정을 통해 무질서 속에서 새로운 질서가 생성되는 복잡계에 관한 프리고진의 과학철학, 무거운 고체적 근대성에서 가벼운 액체적 근대성으로의 전화에 관한 바우만의 사회학, 인간의 생활과 정체성에 있어서 거주의 중요성과 근대 기술의 영향에 관한 하이데거의 실존주의 철학, 정주주의에 대한 대안과 대항으로서 유목주의에 관한 들뢰즈의 후기 구조주의 철학 등을 언급한다.

제2부에서는 역사적으로 발달해온 다양한 모빌리티 시스템인 걷기, 기차, 자동차, 항공, 통신에 대해 매우 심층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어리가 상이한 모빌리티 기술과 공간을 ‘시스템’의 관점에서 비교 설명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도보와 자동차 시스템을 그 구성 요소들이 상호 분리된, 다른 말로 그들이 필수적으로 상호 결합될 필요가 없는 연속(series) 시스템으로 설명한다. 즉 연속 시스템은 하나의 구성 요소가 나타나면 그 이후에 그것을 반영하는 다른 구성 요소가 나타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반면에 기차와 항공 시스템을 그 구성 요소들이 필수적으로 상호 결합되어 동시에 움직여야만 전체 시스템이 작동하는 연결(nexus) 시스템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연결 시스템은 하나의 작은 오류로 전체가 붕괴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그리고 철도 시스템을 마치 군사적 질서에 따라 움직이는 것과 같은 위계적 시스템으로, 자동차 시스템을 적응적·자기 조직적·자기생산적(autopoietic) 시스템으로 설명한다.

마지막 제3부 “이동 중인 사회와 시스템”에서는 모빌리티와 네트워크의 확대에 따른 사회 체계와 인간 생활의 특징적 변화와 문제를 설명한다. 특히 네트워크에 대한 사회적 포섭/배제, 사회적 네트워크의 확대와 네트워크 자본의 형성, 장소에 대한 모빌리티와 네트워크의 영향, 모빌리티의 확대에 따른 탄소 소비와 배출의 증가와 그에 따른 기후 변화 등 다양한 측면이 논의한다. 이처럼 『모빌리티』는 추상적인 것에서 구체적인 것으로, 이론적인 것에서 경험적인 것으로, 거시적인 것에서 미시적인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책의 구성은 모빌리티의 다층적인 측면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목차

옮긴이 서문 | 한국어판 지은이 서문 | 지은이 서문

제1부 모바일 세계

제1장 이동하는 사회생활
이동 중 | 다양한 ‘모빌리티’ | 시스템들

제2장 ‘모바일’ 이론과 방법
모빌리티 패러다임 | 지멜과 모빌리티 | 복잡성 | 기타 이론적 자원들 | 정주주의 |
유동성과 유목주의 | 움직이는 물질 | 이주와 해외집단이주자 | 즐거움 | 모틸리티 |
모바일 방법들 | 결론 |

제3장 모빌리티 패러다임
새로운 패러다임 | 거리 다루기 | 결론

제2부 이동과 통신

제4장 보도와 길
걷기와 사회 세계 | 거리 걷기 | 시골에서 여가 걷기 | 결론

제5장 ‘대중’ 기차
공공장소에서 이동하기 | 이동의 기계화 | 시간표 | 공간 | 사회적 교류 | 결론

제6장 자동차와 도로에 거주하기
간략한 역사 | 자동차 모빌리티와 자기 확장 | 자동차 모빌리티와 시공간 | 거주성 |
자동차의 정치 | 결론

제7장 날아다니기
간략한 시기 구분 | 위험과 시스템 | 공항 공간 | 세계적 비행의 탈주선 | 결론

제8장 연결하고 상상하기
가상 이동 | 상상 이동 | 이동통신 이동 | 결론

제3부 이동 중인 사회와 시스템

제9장 천당과 지옥으로 가는 문
시민권과 불평등 | ‘접근성’ | 네트워크 자본 | 결론: 모빌리티와 자유

제10장 네트워크
좁은 세상 | 이것이 좁은 세상이다 | 교제 | 사회적 네트워크들 | 결론

제11장 만남
왜 만나는가 | 대면 대화 | 업무에서의 만남 | 가족 및 친목 만남 | 이동 중의 만남 | 결론

제12장 장소
환자들을 위한 감정의 장소들 | 시각의 감정 | 장소와 국가 | 지구적 이동과 장소들 | 결론

제13장 시스템과 어두운 미래
모빌리티 | 미래 | 자동차, 기후, 대재앙 | 음침한 미래

참고문헌 | 옮긴이 해제: 존 어리의 모빌리티 패러다임
이 책의 이해를 돕는 국내 출간 참조 도서 | 주요 개념어 정리 | 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 존 어리(John Urry)는 1946년에 런던에서 태어났다. 케임브리지대학교에서 경제학 전공으로 학사 학위와 석사 학위를, 사회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70년에 랭커스터대학교 사회학과에서 강사로 일하기 시작했으며, 1985년부터 정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03년에는 랭커스터대학교 모빌리티 연구소(Centre for Mobilities Research, CeMoRe)를 설립하고 현재 연구소장으로 있으며, 2006년에는 국제 저널인 《모빌리티》를 창간하고 현재 편집장을 맡고 있다. 최근 어리는 관광 연구와 모빌리티 연구를 세계적 수준에서 이끌어 왔다. 모빌리티 연구에 본격적인 관심을 갖게 된 2000년대 이전 어리의 학문적 관심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그 하나는 ‘도시 및 지역 변화’에 관한 것이며, 다른 하나는 ‘서구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제 및 사회 변화’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번역된 『기호와 공간의 경제(Economies of Signs and Space)』(1994)는 후자의 관심이 반영된 것으로, 그의 또 다른 명저 『관광객의 시선(Tourist Gaze)』(1990, 2002, 2011)과 함께 모빌리티에 대한 어리의 관심을 어느 정도 엿볼 수 있는 저서이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 어리의 학문적 관심은 모빌리티 연구로 완전히 전환되었으며, 그 대표적인 저서로는 『사회를 넘어선 사회학(Sociology Beyond Societies)』(2000), 『지구적 복잡성(Global Complexity)』(2003), 『자동차 모빌리티(Automobilities)』(2004), 『도시의 모바일 기술(Mobile Technologies of the City)』(2006), 『모빌리티, 네트워크, 지리(Mobilities, Networks, Geographies)』(2006), 『모빌리티(Mobilities)』(2007), 『항공 모빌리티(Aeromobilities)』(2009), 『자동차 이후(After the Car)』(2009), 『모바일. 방법(Mobile Methods)』(2010), 『모바일 생활(Mobile Lives)』(2010) 등이 있다. 이 중 『모빌리티』는 모빌리티에 관한 어리의 생각이 가장 종합적으로 펼쳐진 저서이다.

도서소개

[모빌리티]는 사회를 보는 새로운 ‘렌즈’로서 모빌리티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사회과학의 새로운 이론과 방법론을 전개시킨 책이다. 모빌리티의 증대와 가속화 그리고 사회공간적 네트워크의 확대에 따라 발생하는 사회 현상을 폭넓게 보여줌과 동시에 현상 뒤에 숨은 문제들을 비판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