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지리산권 동학농민혁명

지리산권 동학농민혁명

  • 국립순천대학교 지리산권문화연구원 (엮음)
  • |
  • 선인
  • |
  • 2014-08-30 출간
  • |
  • 248페이지
  • |
  • 162 X 231 X 20 mm
  • |
  • ISBN 9788959337545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9,8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그동안 상대적으로 연구가 안 된 지리산권 동학농민운동을 집중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동학농민혁명의 연구기반을 넓히려는 데 이 책 출판의 의의가 있다. 지리산권과 전남동부지역은 김개남 장군과 김인배 장군 등이 활동했던 지역으로서 전체 동학농민운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영호대접주 김인배 장군은 순천에 영호대도소를 설치하여 순천, 광양, 여수, 하동, 사천, 진주 등 영호남을 아우르면서 큰 성과를 올리기도 했다. 10만 농민군을 동원하여 진주성을 점령하고, 여수 좌수영을 세 차례에 걸쳐 공격하고, 일본군과 직접 전투를 치루기도 하였다. 순천출신인 영호 수접주 유하덕, 영호도접주 정우형, 성찰 권병택 등이 김인배 장군을 도와 영도대도소에서 큰 역할을 했던 것은 우리 지역이 자랑할 만한 일이다.
이번 학술서 출판을 통해 순천을 비롯한 지리산권 남부지역 동학농민운동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첫째, 전남동부지역과 경남서부지역을 포함하는 지리산권 남부지역 연구심화는 전북중심으로 진행된 기존 동학농민운동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데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둘째, 김인배 장군을 중심으로 한 지리산권 남부 동학농민운동군은 진주성을 점령하고 부산 쪽으로 나아가려 했다고 추정된다. 이 부분에 대한 연구가 더 진척되면 동학농민운동군이 서울 쪽으로만 진격하려고 했던 기존 설과 다른 동학농민운동 전체구도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가능할 수 있다. 셋째, 지리산권 남부지역 동학농민운동의 중심지인 영호대도소가 설치되었던 순천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교육확산이 필요하다. 이는 우리 지역 시민과 청소년들의 지역에 대한 역사적 자부심을 키우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머리말 中)

목차

·지리산권 동학농민혁명의 실상과 동아시아적 의미 | 박맹수
Ⅰ. 서언
Ⅱ. ‘동학’ 성립의 땅, 지리산
Ⅲ. ‘지리산 선비’ 梅泉 黃玹과 東學
Ⅳ. 일본군의 農民軍 虐殺과 지리산
Ⅴ. 결언: 동학농민혁명이 지닌 동아시아적 의미

·지리산권 동남부지역 동학농민혁명의 전개와 특징 | 김양식
Ⅰ. 머리말
Ⅱ. 1894년 9월 이전 동학농민혁명의 전개
Ⅲ. 1894년 9월 이후 동학농민혁명의 전개
Ⅳ. 동학농민군의 조직과 참여층
Ⅴ. 맺음말

·남원지역 동학농민혁명과 士族의 대응 | 김봉곤
Ⅰ. 머리말
Ⅱ. 남원지역 동학의 확산과 사족의 동학배척
Ⅲ. 동학농민혁명에서의 남원지역의 역할
Ⅳ. 동학농민혁명기 남원지역 사족의 대응
Ⅴ. 맺음말

·지리산권 동학농민혁명의 상징성 연구-송기숙의 『녹두장군』을 중심으로 | 조은숙
Ⅰ. 서론
Ⅱ. 동학사상의 시원
Ⅲ. 도피와 저항운동의 중심지
Ⅳ. 절의와 주체 자각의 공간
Ⅴ. 결론

·지리산권의 서부지역 동학 포교와 조직화 과정 | 성주현
Ⅰ. 머리말
Ⅱ. 지리산권의 동학 포교와 조직화
Ⅲ. 동학농민혁명 전후 지리산권 동학의 동향
Ⅳ. 맺음말

·지리산권 남원지역의 동학과 동학농민혁명-‘이상적인 삶’을 위한 토대와 실천 | 문동규
Ⅰ. 시작하는 말
Ⅱ. 남원과 동학, 그리고 동학경전
Ⅲ. 남원지역의 동학농민혁명
Ⅳ. 맺는 말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한일 학계의 연구동향-홋카이도대학의 동학농민군 지도자 두개골 발견 이후 연구를 중심으로 | 강효숙
Ⅰ. 들어가는 글
Ⅱ. 일본학계의 연구 동향
Ⅲ. 한국학계의 연구 동향
Ⅳ. 향후 연구 과제
Ⅴ. 나가는 글

저자소개

저자 : 박맹수(朴孟洙)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과 일본 홋카이도대학 대학원에서 각각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 교수, 한살림 모심과살림연구소 이사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저역서로는 『1894년, 경복궁을 점령하라』, 『사료로 보는 동학과 동학농민혁명』, 『동경대전』, 『개벽의 꿈, 동아시아를 깨우다』, 『생명의 눈으로 보는 동학』, 『일본의 양심이 보는 현대일본의 역사인식』 등 다수가 있다.

저자 : 김양식(金洋植)
단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참여자조사위원이며 충북발전연구원 충북학연구소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저역서로는 『지리산에 가련다』, 『근대한국의 사회변동과 농민전쟁』, 『새야새야 파랑새야』, 『근현대 충북의 역사와 기억』 등과 그밖에 다수의 논문이 있다.

저자 : 김봉곤(金?坤)
전남대학교 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전남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전남대학교, 순천대학교 등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국사편찬위원회, 순천대학교 지리산권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역서로는 『지리산과 인문학』(공저), 『섬진강 누정산책』(공저) 등이 있으며, 「노사학파의 형성과 발전」, 「19世紀 畿湖學界의 學說分化와 論爭」, 「嶺南地域 蘆沙學派의 成長과 門人鄭載圭의 役割」, 「조선후기 호남지역 사족의 정치, 사회적 동향 - 17세기 광주 순천박씨가문의 성장과 노론으로서의 활동을 중심으로」, 「崔溥의 中國漂海와 儒學思想」, 「노사학파의 군정개혁책」, 「한말지리산권근대학교설립운동」, 「지리산권(남원, 함양)사족의 혼인관계와 정치 사회적 결속」, 「16세기 지리산권유학사상(1)」, 「서부경남지역의 동학농민혁명 확산과 향촌사회의대응」, 「19세기 후반 고창지역 유학사상과 동학농민혁명」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저자 : 조은숙(曺銀淑)
전남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전남대학교 기초교육원 강의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송기숙의 삶과 문학』, 『호남문학과 근대성1』(공저), 『호남문학과 근대성2』(공저) 등이 있으며, 「동학농민전쟁의 소설화 전략 비교 연구-송기숙의 『녹두장군』과 한승원의 『동학제』를 중심으로」, 「『녹두장군』과 설화의 상호텍스트성」, 「송기숙 소설의 토포필리아 연구」, 「문순태 소설 『타오르는 강』의 서사전략-광주학생독립운동의 역사성을 중심으로」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저자 : 성주현(成周鉉)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청암대학교 재일코리안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동학과 동혁혁명의 재인식』, 『일제강점기 종교와 민족운동』, 『일제하 민족운동 시선의 확대』, 『손병희』, 『광고, 시대를 읽다』(공저), 『여행과 관광으로 본 근대』(공저), 『조선총독부의 교통정책과 도로건설』(공저) 등이 있으며, 「1930년대 이후 한글신문의 구조적 변화와 기자들의 동향」, 「아나키스트 원심창과 육삼정의열투쟁」, 「동학농민혁명의 격문 분석」 등의 논문이 있다.

저자 : 문동규(文銅?)
건국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순천대학교 지리산권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역서로는 『지리산의 종교와 문화』(공저), 『사유의 사태로』(공역) 등이 있으며, 「깨달음과 초연함」, 「지리산신제 : 신과 인간의 이상적인 만남」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저자 : 강효숙(姜孝叔)
일본 메이지(明治)대학 대학원 석사, 지바(千葉)대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진실화해위원회, 한양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원광대학교 사학과 시간강사로 근무하고 있다. 저역서로는 『동학농민혁명의 기억과 역사적 의의』(공저), 『관동대지진과 조선인학살』(공저), 『청일전쟁기 한·중·일 삼국의 상호전략』(공저), 『일본신문 안중근기사집Ⅱ』(번역 자료집), 「동학농민전쟁에 있어 고부봉기의 위상 -사발통문과 일본 측 자료를 중심으로-」, 「제2차 동학농민전쟁 시기 일본군의 농민군 진압 -서울 이남 지역을 중심으로-」, 「청일전쟁기 일본군의 조선병참부」, 「제2차 동학농민전쟁과 일본군 -일본군의 생포농민군 처리를 중심으로-」, 「일본인의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인식 -오사카마이니치신문(大阪每日新聞), 모지신보(門司新報)를 중심으로-」, 「간도영유권에 대한 재 고찰」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도서소개

순천을 비롯한 지리산권 남부지역 동학농민운동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한 [지리산권 동학농민혁명].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