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재일코리안의 생활 문화와 변용

재일코리안의 생활 문화와 변용

  • 청암대학교 재일코리안연구소
  • |
  • 선인
  • |
  • 2014-10-31 출간
  • |
  • 388페이지
  • |
  • 152 X 225 X 30 mm
  • |
  • ISBN 9788959337750
판매가

30,000원

즉시할인가

29,1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9,1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본 연구 성과는 한국학 특정분야 기획연구인 한인디아스포라 연구사업 내 “재일코리안 디아스포라 100년”의 제2차년도 주제인 ‘재일코리안의 생활·문화 및 변동’에 관한 연구의 결과입니다.
재일코리안의 역사가 100년을 넘어 다양한 변화를 겪으면서 재일코리안들의 생활과 문화도 많은 변용을 겪었다고 생각합니다. 제1차년도에는 ‘이주와 정주’를 중심으로 재일코리안 디아스포라가 형성된 과정을 보았고, 제2차년도에는 그 성과에 기초하여 재일코리안의 구체적인 삶의 모습에 초점을 맞추어 보고자 했습니다.
제2차년도의 주제인 ‘생활과 문화’는 5년에 걸친 본 연구사업 중에서 일상사적 접근이 필요한 주제입니다. 사회과학과 역사학에서도 일상사적 접근에 대해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국가권력에 의해 생산된 자료에는 드러나지 않는 사람들의 모습이 존재했고, 그 모습에 주목해야 하는 시점이 되었습니다.
이번에 간행되는 연구성과는 제1부는 ‘전전(戰前)과 전후(戰後) 달라진 삶의 모습’, 제2부는 ‘재일코리안과 문화·예술’, 제3부는 ‘재일코리안 역사 속의 개인(들)의 삶’입니다.
본 연구팀은 제2차년도의 경우 연구 계획 과정에서 ‘재일코리안의 생활·문화 및 변동’이라는 주제와 같이 재일코리안의 일상의 대부분을 망라하는 연구를 기획했습니다. 잘 알려져 있듯이 생활, 문화는 인간 삶의 넓은 범위에 걸쳐 있는데, 특히 재일코리안 100년의 역사는 다른 지역의 한민족사와 달리 한국과 일본을 넘어 동아시아를 포괄하기도 합니다. 이에 따라 재일코리안의 일상에 대한 연구는 끝없이 펼쳐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책을 내며 中)

목차

제1부전전(戰前)과 전후(戰後) 달라진 삶의 모습
1939년 하반기의 재일조선인 : 關門日日新聞에서 보는 시모노세키 지역의 동향 | 기무라 겐지
1. 머리말
2. 신문 기사 목록과 조선인 관계 정책
3. 『간몬니치니치신문(關門日日新聞)』을 통해 본 시모노세키의 재일조선인
4. 맺음말

일본 패전 직후의 재일조선인 : 암시장을 통해 본 일상 | 박미아
1. 머리말
2. 전후 암시장의 양상
3. 재일조선인과 암시장
4. 암시장 단속과 정치적 선전ㆍ선동
5. 맺음말

재일의 정신사로 본 ‘민족 축제’의 전사(前史) | 재일 2세 이후 세대의 각종 운동과 이쿠노 민족문화제
1. 머리말 - 민족 축제 연구의 영역 확장
2. 민족 축제의 전사(前史) - 재일의 상황과 운동사
3. 민족 축제 준비
4. 맺음말

現代 日本의 民族關係 中의 韓國ㆍ朝鮮人 : 多樣化 中의 小數化를 克復하기 위한 提言 | 김광열
1. 머리말
2. 전후 일본거주 외국인과 재일한인 법적지위 변화
3. 1990년대 이후 재일외국인의 분포 변화와 재일한인
4. 맺음말에 대신하여 - 마이너리티 중의 마이너리티가 된 상황에서의 과제

제2부‘재일’의 장기화와 분단 극복 노력
재일코리안의 생활과 문화에 대한 남북 분단의 영향 : 단체, 민족교육, 축제를 통해 | 정희선
1. 머리말
2. 재일본조선인거류민단과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3. 재일코리안의 초기 민족교육
4. 재일코리안의 축제문화
5. 맺음말

조선학교의 최근의 ‘변화’를 둘러싼 제문제 | 마쓰다 도시히코
1. 머리말
2. 1990년대 이후 조선학교의 ‘변화’ 요인
3. 조선학교의 ‘변화’
4. 맺음말

계간 『삼천리』(1975~1987)의 ‘재일문제’ 논의 : ‘재일’의 정주화를 중심으로 | 동선희
1. 머리말
2. 삼천리를 주도한 사람들
3. 시기별로 본 ‘재일’ 관련 기사의 추이
4. ‘재일문제’에 대한 삼천리의 입장
5. 맺음말

이념 갈등 극복을 위한 재일조선인의 문화 활동 | 이신철
1. 머리말
2. 세대 갈등의 반항, 계간 『잔소리』
3. 풀뿌리 민중운동에서 동아시아 공생의 축제로, 원코리아 페스티벌
4. 한일 융합과 민족의식의 공동화, ‘시텐노지 왓소’, ‘오미 도래인 구락부’
5. 맺음말

제3부문화ㆍ예술 속 재일코리안
전전기(戰前期) 재일코리안을 묘사한 미술 작품 | 미즈노 나오키
1. 머리말
2. 신카이 다케타로 ‘전력(全力)’
3. 미쓰이 반리 ‘해 저무는 트럭길(トロ路)’
4. 아키노 후쿠 ‘들판을 돌아오다’
5. 가지와라 히사코 ‘베짜기’
6. 나카타 교이치 ‘오사카축항(築港)’
7. 유가미 로쿠 ‘오후(午後)의 햇살’
8. 맺음말

일본의 프롤레타리아 문화운동과 재일조선인 | 도노무라 마사루
1. 연구 상황과 과제 설정
2. 일본 프롤레타리아 문화운동의 전개와 두 민족의 접점
3. 재일조선인을 묘사한 일본인의 작품과 그 특징
4. 운동을 통한 민족적인 교류의 창출
5. 정리와 전망

미술 세계 속 재일 디아스포라의 상징적 의미 | 주혜정
1. 머리말
2. 재일 디아스포라와 하정웅
3. 하정웅 작품 수집 속의 주제의식
4. 맺음말

제4부역사와 개인의 삶
재일동포 1세의 경험과 서사(敍事) 탐구 : 구술 자료 분석과 방법론 모색 | 정혜경
1. 머리말
2. 재일동포 1세의 경험과 발화
3. 재일동포 1세의 경험과 내러티브 탐구
4. 맺음말

제주도민의 도일ㆍ재일 체험과 혈연ㆍ지연 네트워크 : 동회천마을의 사례에서 | 후지나가 다케시
1. 머리말
2. 조사 지역과 가족 개황
3. X씨 일가 차녀의 일본 도항
4. 삼녀의 밀항 실패
5. 장녀의 장남ㆍ차남ㆍ사위의 밀항 체험
6. 친족들의 연이은 오사카 도착
7. 사할린으로의 노무 동원
8. 맺음말

재일코리안 여성의 이주경험 : 김동일 구술을 중심으로 | 성주현
1. 머리말
2. 독립운동가 유족 : 아버지 김순탁
3. 밀항 : 자유를 찾아서
4. 이주와 정착 : 오사카에서 도쿄로
5. 사회적 성찰 : 도피와 디아스포라
6. 맺음말

재일코리안의 민속ㆍ생활문화의 변용 : 高權三과 『大阪と半島人』을 통한 猪飼野의 일상 | 김인덕
1. 머리말
2. 고권삼과 텍스트 『大阪と半島人』
3. 일제강점기 이카이노의 일상 보기
4. 역사에서 현실로 : 이쿠노의 재일조선인
5. 맺음말

저자소개

저자 청암대학교 재일코리안연구소는

저자 : 기무라 겐지(木村健二)
ㆍ시모노세키시립대학 교수
ㆍ근현대한일관계사, 경제사 전공
ㆍ『在朝日本人の社會史』(未來社), 『在日コリアンの經濟活動 移住勞動者, 起業家の過去ㆍ現在ㆍ未來』(不二出版)

저자 : 박미아(朴美娥)
ㆍ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ㆍ전후 재일조선인사 전공
ㆍ?근대일본에서의 성공이데올로기의 창조와 소비?

저자 : 현선윤(玄善允)
ㆍ전 오사카경제법과대학 교수
ㆍ재일조선인사 전공
ㆍ『在日の言葉』(同時代社)

저자 : 김광열(金廣烈)
ㆍ광운대학교 교수
ㆍ근현대한일관계사, 일본사회론 전공
ㆍ『한인의 일본이주사 연구(1910~1940년대)』(논형), 『帝國日本の再編と二つの?在日?』(明石書店)

저자 : 정희선(鄭熙鐥)
ㆍ청암대학교 문화관광과 교수, 재일코리안연구소 소장
ㆍ근현대한일관계사, 재일코리안사 전공
ㆍ『재일조선인의 민족교육운동(1945~1955)』(서울기획), 『(湖山)姜桂重』(湖山姜桂重刊行發 起人會)

저자 : 마스다 도시히코(松田利彦)
ㆍ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 준교수
ㆍ근대한일관계사 전공
ㆍ『일제시기 참정권문제와 조선인』(국학자료원), 『日本の朝鮮植民地支配と警察-1905~1945年』(校倉書房)

저자 : 동선희(董宣熺)
ㆍ청암대학교 재일코리안연구소 연구교수
ㆍ일제식민지배정책사, 근현대한일관계사 전공
ㆍ『식민권력과 조선인 지역유력자』(선인), 『디아스포라를 사는 시인 김시종』(역서, 어문학사)

저자 : 이신철(李信澈)
ㆍ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연구교수
ㆍ남북현대사, 한일관계 전공
ㆍ『북한 민족주의운동 연구』(역사비평), 『한일 근현대역사논쟁』(선인)

저자 : 미즈노 나오키(水野直樹)
ㆍ교토대학 교수
ㆍ조선근대사, 동아시아관계사 전공
ㆍ『창씨개명』(산처럼), 『생활 속의 식민지주의』(산처럼)

저자 : 도노무라 마사루(外村大)
ㆍ도쿄대 대학원 종합문화연구과 교수
ㆍ일본근현대사, 지역문화연구 전공
ㆍ『재일조선인 사회의 역사학적 연구』(논형), 『朝鮮人?制連行』(岩波新書)

저자 : 주혜정(朱蕙貞)
ㆍ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ㆍ일본문학 전공
ㆍ『1948년 한신교육투쟁』(공역, 경인출판사)

저자 : 정혜경(鄭惠瓊)
ㆍ대일항쟁기강제동원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희생자등 지원위원회 조사2과장
ㆍ한국근현대사 전공
ㆍ『일제시대 재일조선인민족운동연구 : 오사카(大阪)을 중심으로』(국학자료원), 『조선 청년이여 황국 신민이 되어라』(서해문집)

저자 : 후지나가 다케시(藤永壯)
ㆍ오사카산업대학 교수
ㆍ동양사, 조선근현대사 전공
ㆍ『??ㆍ暴力と女性3 植民地と??責任』(吉川弘文館), 『第二次大?後における?州島民の日本への密航について(東アジアの間地方交流の過去と現在-?州と沖?ㆍ奄美を中心にして-)』(彩流社)

저자 : 성주현(成周鉉)
ㆍ청암대학교 재일코리안연구소 연구교수
ㆍ근대민족운동사, 동학 및 천도교사 전공
ㆍ『동학과 동학혁명의 재인식』(국학자료원), 『식민지시기 종교활동과 민족운동』(선인)

저자 : 김인덕(金仁德)
ㆍ청암대학교 재일코리안연구소 실장
ㆍ재일코리안사, 근현대한일관계사 전공
ㆍ『재일본조선인연맹 전체대회 연구』(선인), 『재일본조선인연맹 전체대회연구』(선인)

도서소개

『재일코리안의 생활 문화와 변용』은 한국학 특정분야 기획연구인 한인디아스포라 연구사업 내 “재일코리안 디아스포라 100년”의 제2차년도 주제인 ‘재일코리안의 생활·문화 및 변동’에 관한 연구의 결과입니다. 이번에 간행되는 연구성과는 제1부는 ‘전전(戰前)과 전후(戰後) 달라진 삶의 모습’, 제2부는 ‘재일코리안과 문화·예술’, 제3부는 ‘재일코리안 역사 속의 개인(들)의 삶’입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