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한일 관계, 우리 안 들여다보기
피해자의 대일 과거청산운동과 한국 정부의 대응(1947~2004)
Ⅰ. 연구 현황
Ⅱ. 유보와 기피의 시기
Ⅲ. 한일협정과 민간인 보상
Ⅳ.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대응 시기
Ⅴ. 전환의 시기
Ⅵ. 대일 과거청산운동의 시기별 맥락
일본의 역사교과서 문제에 대한 한국 사회의 대응(1965~2001)
Ⅰ. 일본 역사교과서에서 한국사 이해의 현주소
Ⅱ. 각국의 한국사 왜곡과 한국관 시정 사업(1965~1981)
Ⅲ. 1982년의 역사교과서 파동과 한국 사회
Ⅳ. 시정되지 않는 일본의 역사왜곡과 한국 사회(1984~1990년대 중반)
Ⅴ. 2001년도 역사교과서 파동과 한국 사회
Ⅵ. 자화상, 1982년과 2001년의 압축 비교
소송과 교과서협력운동을 통해 본 대일 과거청산운동의 역사(1965~2005)
Ⅰ. 연구 현황
Ⅱ. 대일 과거청산운동의 태동
Ⅲ. 대일 과거청산운동의 본격화·세분화(1990-2000)
Ⅳ. 대일 과거청산소소의 현황과 쟁점
Ⅴ. 과거사 문제의 종합판, 역사교과서를 둘러싼 국제 교과서협력운동
Ⅵ. 대일 과거청산운동의 방향
제2부 역사교과서대화의 역사, 현재, 미래
역사와 현재: 동아시아 역사교과서대화의 역사와 동아시아형 역사 만들기
Ⅰ. 역사교과서대화의 역사를 보아야 하는 이유
Ⅱ. 1982년도 교과서 파동, 상대방의 역사인식 의식하기
Ⅲ. 다름을 확인하며 형성된 네트워크
Ⅳ. 동아시아형 역사교과서대화의 다양한 시도
Ⅴ. 동아시아형 역사교과서대화의 현주소
보고서: 한국에서 기억하는 '미래를 여는 역사' 편찬 과정
Ⅰ. 다자간 공동역사교재를 만든 이유
Ⅱ. 한국 측의 '부교재' 개발 준비와 목차 확정 과정
Ⅲ. '부교재'의 내용을 둘러싼 소통 과정
Ⅳ. '부교재'에 대한 한국 내 반응과 활용
Ⅴ. 역사대화의 또 다른 의미, 일상의 격차 보듬기
현재와 미래: 동아시아에서 역사교과서대화의 방향
Ⅰ. 동아시아 역사 문제에서 역사교과서대화의 위상
Ⅱ. 동아시아형 역사대화와 지역 만들기
제3부 대안적 인식: 지역사로서 동아시아사 인식과 방법
『한국사』교과서에서 동아시아의 역사와 역사교육
Ⅰ. 2009개정교육과정의 억지 적용
Ⅱ. 동아시아의 공간 범주와 한국사 교육
Ⅲ. 『한국사』교과서에서 동아시아의 역사와 역사교육
Ⅳ. 관계사와 지역사를 고려한 자국사 교육
한국에서 동아시아사 인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
Ⅰ. 동아시아 담론의 현주소
Ⅱ. '동아시아'의 경계와 구성에 관한 관념의 확장
Ⅲ. 동아시아 담론과 역사에 동남아를 포함해야 하는 이유
Ⅳ. 동아시아사를 내재적으로 보는 기복적인 관점
Ⅴ. 우리가 자각해야 할 동아시아는?
제4부 전략적 사고와 동아시아 공론
냉전 해체 후 동아시아 정세와 영유권 갈등
Ⅰ. 역사 문제, 주도적 갈등 요인의 변화
Ⅱ. 동북아 질서 속의 한반도
Ⅲ. 21세기 동아시아 정세의 세 가지 특징
Ⅳ. 역사 문제로서 동아시아 영토 문제
Ⅴ. 전략적 사고의 방향, 종합적·입체적·자자적
동아시아 역사 문제, 시민사회의 공론장(公論場)과 공공성
Ⅰ. 21세기 동아시아 역사갈등의 특징
Ⅱ. 동북아에서 시민사회의 노력- 두 가지 사례
Ⅲ. 역사 문제와 영토주권- 한 한국인의 시선에서
Ⅳ. 공론장 만들기와 전략적 프로세스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