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러시아문서 번역집 16

러시아문서 번역집 16

  • 이재훈 (역자)
  • |
  • 선인
  • |
  • 2014-08-30 출간
  • |
  • 658페이지
  • |
  • 152 X 225 X 35 mm
  • |
  • ISBN 9788959337491
판매가

46,000원

즉시할인가

44,62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4,62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이 책은 동국대학교 대외교류연구원에서 2009년에서 2013년까지 4년간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한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근대 한국사회 관련 자료번역·요약·주해 및 DB구축》사업의 성과 중 2차년도의 결과물을 간행한 것이다.
근대 한국사회 연구의 기초가 되는 동아시아 각국의 자료 중에서도 특히 러시아 자료는 한국학자들이 접근하기 힘들었다. 냉전기의 시대적 제한성은 러시아의 기초적 자료에 대한 접근 자체를 어렵게 했고, 그 결과 근대 한러관계의 경우 외국의 연구 성과에 의존하는 학문적 종속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물론 러시아 자료는 한러관계만이 아니라 동아시아의 국제정세, 근대 한국의 정치 경제와 문화, 한인 이주민 문제, 한국민족운동 등 근대 한국사회의 이해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다양하고도 풍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하지만 1990년 수교 이후에도 언어적 제약, 러시아 문서보관소의 폐쇄성, 자료 수집을 위한 인적?물적 부족 등은 러시아 자료의 활발한 이용을 어렵게 하고 학문적 발전을 저애했다. 각국 자료의 비판적 교차 검토를 통한 역사적 사실의 정확성과 보편성의 획득은 역사연구의 기초가 되어야 하나 러시아자료에 관한 한 여전히 현실적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 자료의 적극적 수집 정리와 국역화를 거쳐 자료에 대한 접근성 제고 및 언어적 한계의 극복은 한국학의 발전을 위해서 긴급히 요구되는 과제이다.
이를 위해 우리 연구팀은 러시아 18개 문서보관소의 한국관계 자료를 수집 정리했다. 연구팀이 러시아 현지에서 수집한 자료, 국내기관이나 개인 소장 자료 등 현재 한국에서 구할 수 있는 자료는 거의 모두 수집했다. 정리된 모든 자료를 대상으로 일일이 한국과 러시아 전공 교수들이 토론을 거친 후 한국관련 주요자료를 선별했다. 선별된 자료는 탈초 과정을 거쳐 오탈자를 정리하고 텍스트화했다.
그리고 텍스트화된 자료를 각자 분담하여 맡은 분량을 번역했다. 자료의 성격상 개인적 성과에 맡길 수 없어 번역 자료는 다시 팀 내부에서 원문을 재검토하는 교차검토의 과정을 거치면서 번역상의 오류를 최소화하려고 했다. 정확하고 엄밀한 번역이 요구되는 역사자료인 만큼 개인적 역량을 넘어 공동연구의 성과물로 만들려고 노력한 것이다.
교차검토의 결과물을 요약하고 주해하는 작업은 한국사 전공교수를 중심으로 전체가 참여했다. 러시아 자료의 객관적이고 심도 깊은 이해를 위해서 한국, 러시아, 중국, 일본 등 각국 자료와 그 동안의 국내외 연구 성과를 최대한 참고해 요약 주해 작업을 진행했다. 이를 다시 교열, 감수하고 윤문의 과정을 통해 최대한 러시아 원문의 의미를 살리면서 한국어로 읽기 편하게 만들도록 노력했다. (머리말 中)

목차

제1부 문서 번역본
1. 《1912년 12월 31일 동청철도국에서 동청철도협회 운영국으로 보내는 티혼 김 관련 보고서》
2. 《1912년 12월 10일 독립헌병대 헌병대위 쿠프리야노프가 동청철도 철도경찰국장 L. Ya. 고르고프에게 보내는 티혼 김 관련 청원서》
3. 《1912년 12월 8일 이르쿠츠크 군관구 참모장이 자아무르 관구 독립국경경비군단장 E. I. 마르띠노프에게 보내는 티혼 김 관련 청원서》
4. 《1913년 1월 8일 티혼 이바노비치 김이 재무상에게 보내는 청원서》
5. 《1913년 2월 6일 외무상이 재무상 B. N. 코콥쪼프에게 보내는 티혼 김 관련 서한》 35
6. 《1913년 2월 5일 육군상이 재무상 B. N. 코콥쪼프에게 보내는 티혼 김 관련 서한》 37
7. 《1913년 2월 12일 동청철도국장에게 발송된 티혼 김의 청원 관련 통보》
8. 《1913년 2월 13일 재무상이 V. A. 수호클리노프에게 보내는 티혼 김 관련 서한》
9. 《1913년 2월 13일 재무상이 S. D. 사조노프에게 보내는 티혼 김 관련 서한》
10. 《1916년 1월 30일 하얼빈 주재 러시아제국 총영사관에서 드미트리 레오니도비치에게 보내는 동청철도 지역에서의 반일활동 방지 관련 서한》
11. 《하얼빈 동청철도국장에게 보내는 지시서한》
12. 《1916년 3월 22일 동청철도협회 운영국장이 그리고리 알렉산드로비치 코자코프에게 보내는 조선인 선동가들의 침투 문제 관련 서한
13. 《1916년 3월 26일 외무성 제4정치국(극동)에서 알렉산드르 니콜라예비치 벤트?에게 보내는 서한》
14. 《1916년 5월 12일 외무상 사조노프가 재무상 P. L. 바르크에게 보내는 반일활동 조선인 관련 서한》
15. 《동청철도국장에게 보내는 동청철도 지역 내 반일활동 조선인 관련 지시문》
16. 《1916년 5월 17일 외무상이 재무상에게 보내는 동청철도 내 조선인 선동가 관련 서한》
17. 1916년 4월 29일자 하얼빈 주재 총영사의 보고서 No.78 발췌문
18. 《1916년 5월 20일 재무상이 S. D. 사조노프에게 보내는 반일활동 조선인들의 추방 관련 서한》
19. 《동청철도국장에게 보내는 동청철도 지역 내 반일활동 조선인 처리 관련 전문》
20. 《1916년 5월 [판독불가]일 재무상이 B. V. 슈튜르메르에게 보내는 동청철도 지역 내 반일활동 조선인 관련 서한》
21. 《1916년 6월 [판독불가]일 재무상이 S. D. 사조노프에게 보내는 반일활동 조선인들의 추방 관련 서한》
22. 1916년 6월 22일 하얼빈에서 동청철도국장이 동청철도협회 운영국 앞으로 보내는 전문 No.153 사본
23. 《1916년 7월 8일 외무성에서 재무상 A. I. 니콜라옌코에게 보내는 동청철도 지역 내 반일활동 조선인 처리 관련 서한》
24. 《1916년 7월 14일 동청철도 운영국에서 동청철도국장에게 보내는 동청철도 지역 내 반일활동 조선인 처리 관련 전문》
25. 《1916년 7월 15일 재무성에서 B. V. 슈튜르메르에게 보내는 동청철도 지역 내 반일활동 조선인 처리 관련 서한》
26. 《1916년 7월 [판독불가]일 재무상이 B. V. 슈튜르메르에게 보내는 동청철도 지역 내 반일활동 조선인 처리 관련 서한》
27. 《1916년 8월 [판독불가]일 재무상이 B. V. 슈튜르메르에게 보내는 동청철도 지역 내 반일활동 조선인 처리 관련 서한》
28. 1916년 8월 12일 동청철도국장 산하 특별협의회 회의 의사록 No.9
29. 《1916년 9월 12일 총참모장 직무대행이 재무상 A. I. 니콜라옌코에게 보내는 조선인들의 반러시아 음모 관련 서한》
30. 《1916년 9월 17일 동청철도협회 운영국 행정실장이 동청철도국장에게 보내는 조선인들의 음모 관련 서한》
31. 《1916년 9월 19일 내무상이 P. L. 바르크에게 보내는 티혼 김 관련 서한》
32. 《티혼 이바노프 김의 동청철도 지역으로부터의 추방 결정 취소 청원서》
33. 《티혼 이바노프 김의 동청철도지역으로부터의 추방 결정 관련 소견서》
34. 《1916년 9월 18일 병참총국 총참모장 직무대행이 재무상 V. V. 쿠즈민스키에게 보내는 조선인들의 반러시아 음모 관련 보고서》
35. 경찰국으로부터 입수한 정보보고서 사본
36. 《1916년 9월 27일 재무상 P. 바르크가 A. D. 프로토포포프에게 보내는 티혼 김 관련 서한》
37. 《1916년 9월 28일 행정실장이 동청철도국장에게 보내는 서한》
38. 1912년 10월 11일 동청철도국장 산하 특별협의회 회의 의사록 No.54
39. 《1913년 1월 22일자 티혼 김의 추방 문제 관련 통첩》
40. 《1913년 1월 30일 재무상이 S. D. 사조노프에게 보내는 티혼 김의 추방 관련 서한》
41. 《1913년 1월 30일 동청철도국장에게 보내는 티혼 김 추방 관련 전문》
42. 《1914년 10월 15일 국내교역과에서 보내는 조선 주재 러시아제국 총영사관장 8등 문관 게르틀료르가 도쿄 주재 러시아제국 대사에게 보낸 1914년 9월 15일자 보고서 No.53 사본》
43. 《1913년 3월 통상산업성에서 외무상에게 보내는 러시아 상품의 조선 내 유통 관련 서한》
44. 《1910년 9월 22일 이르쿠츠크 법원 검사가 법무성 제1국 제3사법과로 보내는 조선인 체포 관련 보고서 첨부 서한》
45. 《1910년 9월 12일 블라디보스토크 관구법원 검사가 이르쿠츠크 법원 검사에게 보내는 조선인 체포 집행보고서》
46. 《1867년 1월 20일 러시아제국 공사가 부관방장에게 보낸 비밀 왕복문서 No.2 사본의 사본》
47. 《1867년 4월 24일 관방국 부관방장이 베이징의 블란갈리 소장에게 보내는 왕복문서 사본의 사본》
48. 《1867년 11월 28일 연해주 행정청에서 동시베리아 총독에게 보내는 조선 문제 관련 보고서》
49. 《1869년 6월 20일 M. S. 카르사코프(М. С. Карсаков)가 연해주 군사총독 I. V. 푸루겔름(И. В. Фуругельм)에게 보내는 ‘소볼’호 사건 관련 서한》
50. 《1869년 1월 11일 중국 주재 러시아제국 대리공사 E. 뷰쪼프(Е. Бюцов)가 보내는 포함 ‘소볼’호의 조선에서의 활동 관련 왕복문서》
51. 《1870년 2월 동시베리아 총독이 조선 중앙정부에 보내는 ‘소볼’호 관련 통첩》
52. 《1871년 4월 16일 동시베리아 총행정국에서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감사용 자료 제출 요청서》
53. 《1866년 12월 30일 M. S. 카르사코프가 연해주 군사총독 I. V. 푸루겔름에게 보내는 조선 문제 관련 비밀서한》
54. 《1871년 4월 13일 동시베리아 총독 N. P. 시넬니코프(Н. П. Синельников)가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조선인 이주 관련 명령서》
55. 《1871년 11월 6일 I. V. 푸루겔름이 А. Е. 크로운(А. Е. Кроун) 해군 소장에게 보내는 조선인 이주 관련 전문》
56. 《1872년 2월 8일 연해주 행정청(Приморское областное управление)이 동시베리아 총독에게 보내는 조선인 이주 현안 관련 보고서》
57. 《1892년 11월 3일 남우수리 변강 국경위원 N. G. 마튜닌(Н. Г. Матюнин)이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보고서》
58. 《1893년 4월 28일 촉탁관 K. A. 락세비쯔(К. А. Лакшевиц)가 상신한 블라디보스토크 시의 중국인협회 사무국과 조선인협회 사무국 감사결과 보고서》
59. 《1909년 8월 2일 니콜라옙스크 시 경시총감이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니콜라옙스크 시 거주민 수에 대한 상신서》
60. 《1907년 9월 29일 프리아무르 총독 P. F. 운테르베르게르(П. Ф. Унтербергер)가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한인 문제에 대한 특별협의회의 소집 관련 명령서》
61. 《1905년 4월 16일 연해주 수비대장(начальник обороны приморской области)이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함경북도 길주 군수 이익호의 청원서 첨부 보고서》
62. 《함경북도 길주 군수 이익호가 니콜스코-우수리스크(Никольско-Уссурийск) 시 경시총감에게 보내는 청원서》
63. 《한국 함경북도 길주 군수 이익호 청원서》
64. 《1890년 2월 8일 연해주의 각 도시 및 관구 경시청과 관료들에게 보내는 조선 신민에 대한 러시아 거주허가증 교부 규정 관련 명령서》
65. 《1890년 5월 10일 국경위원 N. G. 마튜닌이 보내는 조선인에 대한 중국 국경당국의 지시 관련 보고서》
66. 《1894년 7월 남우수리 변강 국경위원 직무대행이 보내는 조선국경에서 발생한 사건 관련 보고서》
67. 1898년 6월 22일 작성된 조선인 공공시설(Общественный участок) 자산 목록
68. 《1898년 7월 16일 연해주 군사총독이 블라디보스토크 경시총감에게 보내는 중국인협회 및 한인협회 관련 지시》
69. 《1910년 12월 연해주 니콜스코-우수리스크 군 얀치허(Янчихинская) 읍 나고르나야(Нагорная) 마을 농민 이반 파블로비치 김(Иван Павлович Ким)이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한국어신문 발간 허용 청원서》
70. 《1912년 3월 14일 블라디보스토크 시 경찰국 제4구역 경찰서장이 보내는 ‘권업회’ 관련 상신》
71. 《1896년 2월 24일 국경위원 N. G. 마튜닌이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조선인들의 수 산정 문제 관련 보고서》
72. 《1896년 5월 10일부터 6월 13일까지 5주일 동안 조선과 중국에서 월경한 조선인의 수에 대한 정보보고》
73. 《1896년 7월 12일 남우수리 변강 국경위원 직무대행이 보내는 러시아 영역으로 넘어온 조선인의 수에 관한 보고서》
74. 《1914년 7월 23일 프리아무르 총독 N. 곤다티가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조선인의 프리아무르 변강 이주 50주년 기념식 취소 관련 지시》
75. 《1902년 1월 [판독불가]일 남우수리 변강 국경위원이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보고서》
76. 《1902년 6월 27일 남우수리 관구장이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상신》
77. 《1902년 11월 18일 자아무르 지역 관구 세관감독관이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보고서》
78. 《연해주의 조선인 신민들에게 러시아 거주허가증을 발급하는 규칙에 대한 법령》
79. 《1903년 7월 2일 자아무르 지역 관구 세관감독관이 연해주 [판독불가]에게 보내는 보고서》
80. 《1903년 11월 12일 자아무르 지역 관구 세관감독관이 프리아무르 총독 관방실에 보내는 상신》
81. 《1907년 10월 25일 연해주 군사총독이 프리아무르 총독에게 보내는 원산 주재 러시아제국 총영사관의 성진 이전 요청 관련 청원서》
82. 《1907년 12월 13일 한국 주재 러시아 총영사관이 프리아무르 총독 P. F. 운테르베르게르에게 보내는 서한》
83. 《1884년 5월 12일 남우수리 변강 국경위원이 연해주 군관구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중국군의 조선 진출 관련 상신서》
84. 《1908년 4월 5일 국경위원 E. T. 스미르노프(Е. Т. Смирнов)가 연해주 군사총독 V. E. 플루그(В. Е. Флуг)에게 보내는 한국인들의 활동 관련 서한》
85. 《1884년 11월 7일 남우수리 변강 국경위원이 연해주 군관구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경흥에서 서울까지의 우편마차도로 노선 관련 상신서》
86. 《1884년 12월 [판독불가]일 연해주 행정청 제1국 제1과에서 연해주 측량관에게 보내는 우편마차도로 지도 복제 요청서》
87. 《1886년 11월 28일 남우수리 변강 국경위원이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상신서》 200
88. 《1886년 11월 2일 조선 주재 러시아공사관에서 남우수리 변강 국경위원에게 보내는 왕복문서》
89. 《1886년 11월 28일 남우수리 변강 국경위원이 조선 주재 러시아제국 대리공사에게 보내는 서한》
90. 《1888년 5월 27일 프리아무르 총독이 연해주 총독 직무대행에게 보내는 서한》
91. 《1866년 8월 16일 총독 겸 동시베리아 군관구 사령관 도로국에서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조선에서 발생한 사태 관련 전문 첨부 서한》
92. 《1911년 1월 12일 한인촌 거주자 이반 파블로비치 김이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제출하는 ‘문명보’ 구독료 관련 신고서》
93. 《해체된 중국인협회 및 한인협회 사무국의 잔여금 사용처에 대한 보고서》
94. 《1911년 1월 [판독불가]일 연해주 행정청 제1국 제1과에서 블라디보스토크 [판독불가]에게 보내는 지시》
95. 《1902년 2월 [판독불가]일 프리아무르 군관구 참모부에서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서한》
96. 《니콜스크-우스리스크에서 리네비츠 중장이 그로데코프 장군에게 보낸 1902년 2월 17일자 전문 No.234 사본》
97. 《니콜스크-우스리스크에서 리네비츠 중장이 그로데코프 장군에게 보낸 1902년 2월 18일자 전문 No.240 사본》
98. 《1907년 9월 [판독불가]일 블라디보스토크 [판독불가] 항구 관리국 항구 감독관이 블라디보스토크 상업항만장에게 보내는 상신서》
99. 《1907년 9월 [판독불가]일 블라디보스토크 상업항만장이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상신서》
100. 《1907년 12월 [판독불가]일 프리아무르 총독 산하 외교과에서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서한》
101. 《1908년 8월 1일 자아무르 지역 관구 세관감독관이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통지》
102. 《1908년 5월 14일 국경위원 Е. Т. 스미르노프가 보내는 남우수리 변강의 항일운동 관련 보고서》
103. 《1908년 6월 19일 남우수리 변강 국경위원 Е. Т. 스미르노프가 보내는 한국에서의 항일운동 관련 보고서》
104. 《1908년 5월 20일 국경위원 Е. Т. 스미르노프가 보내는 한국-만주 국경에 관한 정보보고》
105. 《1908년 6월 29일 국경위원 Е. Т. 스미르노프가 보내는 조선인 반란자들의 월경 관련 보고서》
106. 《1908년 6월 26일 한시 세관 관문에서 자아무르 지역 관구 세관감독관에게 보내는 한국인 빨치산 관련 보고서》
107. 《1908년 7월 16일 남우수리 변강 국경위원이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한국인 빨치산들의 소총 탄약 구입 관련 보고서》
108. 《총독에게 보내는 1908년 7월 8일자 도쿄 발 암호전문 판독서 사본》
109. 《1908년 7월 15일 국경위원 Е. Т. 스미르노프가 보내는 한국-만주 국경 관련 정보보고》
110. 《1908년 7월 20일 국경위원 Е. Т. 스미르노프가 보내는 한국인 반란자들의 활동 관련 보고서》
111. 《1908년 8월 7일 연해주 군사총독이 프리아무르 총독에게 보내는 군부대의 국경지역 배치 청원서》
112. 《1908년 8월 10일 남우수리 변강 국경위원이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서수라 마을 주민들의 청원서 관련 보고》
113. 《1908년 8월 21일 연해주 군사총독이 남우수리 군수에게 보내는 러시아 영토로의 외국 병력 진입 차단 지시》
114. 《1908년 8월 27일 블라디보스토크 상업항만장이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상신서》
115. 《1908년 8월 29일 남우수리 군수 N. A. 케셀만(Н. А. Кессельман)이 보내는 한국인 추방 관련 보고서》
116. 《1908년 8월 24일 농민지도자(крестьянский начальник) S. A. 야스트레보프(С. А. Ястребов)가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러시아 국경에서 한국인의 대규모 월경 관련 보고서》
117. 《1908년 5월 20일 국경위원 Е. Т. 스미르노프가 보내는 한국-만주 국경에 관한 정보보고서》
118. 《1908년 10월 9일 국경위원 Е. Т. 스미르노프가 보내는 한국-만주 국경에 관한 정보보고서》
119. 《1908년 11월 26일 남우수리 변강 국경위원 Е. Т. 스미르노프가 보내는 한국인 반란자들의 체포 관련 보고서》
120. 《1908년 11월 12일 이범윤이 남우수리 변강 국경위원 Е. Т. 스미르노프에게 보내는 한국인 추방 처분 취소 청원서》
121. 《1908년 12월 21일 남우수리 변강 국경위원이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억류 한국인 관련 전문》
122. 《1909년 1월 5일 프리아무르 총독 산하 외교부 관리가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억류 한국인 관련 통보문》
123. 《1909년 1월 12일 남우수리 변강 국경위원이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억류 한국인 관련 전문》
124. 《1908년 수찬 군수가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상신서》
125. 《1908년 12월 31일 남우수리 변강 수찬 지방경찰관할구역 경찰서장이 남우수리 군 군수에게 보내는 상신서》
126. 《1909년 1월 4일 남우수리 변강 수찬 지방경찰관할구역 경찰서장이 남우수리 군 군수에게 보내는 상신서》
127. 《1909년 1월 13일 남우수리 변강 국경위원에게 보내는 한국인 관련 조서를 동봉한 서한》
128. 《1909년 2월 6일 남우수리 변강 국경위원이 보내는 주(州) 내 한국인 정치이민자들의 활동 관련 보고서》
129. 《1909년 3월 17일 연해주 행정청 문관이 보내는 한국인들의 선동행위 방지 방안 관련 상신서》
130. 《1910년 6월 16일 남우수리 변강 국경위원이 보내는 이범윤 민병대 관련 진술서》
131. 《1870년 10월 4일 연해주 군사총독이 노진 소령에게 보내는 전문》
132. 《연해주 행정청 촉탁관 푸찔로가 우수리 카자크 기병중대장에게 보내는 서한》
133. 《1885년 8월 26일 하바롭스크 조선인회가 하바롭스크 시 경시총감에게 보내는 협조 요청 관련 상신》
134. 《1894년 3월 18일 촉탁관 K. A. 락세비쯔가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상신한 블라디보스토크 시의 중국인협회 사무국과 조선인협회 사무국 감사결과 보고서》
135. 《1899년 12월 24일 니콜라옙스크 경시총감이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조선인 인구 관련 보고서》
136. 《1908년 12월 28일에 작성한 1908년 12월 21일자 ‘대동공보’에 게재된 한인연맹 창립 소식 번역문》
137. 《1897년 12월 5일 수찬 읍 읍장 타라바노프가 작성한 남우수리 관구 수찬 읍에 속한 마을 목록과 각 마을별 가구 수, 남녀별 인구수, 마을과 읍의 거리와 각 마을간 거리 목록》
138. 《수찬 읍 읍장 타라바노프가 작성한 식량저장창고를 보유하고 있는 수찬 읍내 마을 목록》
139. 《1897년 12월 1일 현재 가구, 인구, 남성, 여성 인구 수, 마을간 거리 및 읍과의 거리, 식량저장창고 및 창고에 저장된 식량의 양 등에 대한 보고서》
140. 《1900년 4월 22일 남우수리 변강 국경위원 E. T. 스미르노프가 연해주 군사총독에게 보내는 조선인 이주 관련 보고서》


제2부 문서 탈초본
1.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1.
2.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л.2-2об.
3.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л.3-3об.
4.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л.12-13.
5.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л.14-15.
6.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л.16-18.
7.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19.
8.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20.
9.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л.21, 22об.
10.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л.23-23об.
11. РГИА,ф.323,оп.1,д.779,л.26.
12. РГИА,ф.323,оп.1,д.779,лл.27-27об.
13. РГИА,ф.323,оп.1,д.779,лл.28-29.
14. РГИА,ф.323,оп.1,д.779,лл.32-34.
15. РГИА,ф.323,оп.1,д.779,л.35.
16.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л.36-36об.
17.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л.37-37об.
18.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л.38-38об.
19.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л.39-40.
20.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41.
21.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49.
22.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л.50-50об.
23.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л.51-52.
24.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53.
25.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л.55-56.
26.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58.
27.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60.
28.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л.61-62об.
29.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л.63-63об.
30.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64.
31.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л.65-65об.
32.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л.66-67.
33.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л.68-68об.
34.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69.
35.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л.70-71.
36.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л.72-73об.
37. РГИА, ф.323, оп.1, д.779, л.74.
38. РГИА, ф.323, оп.1, д.1093, лл.5-6.
39. РГИА, ф.323, оп.1, д.1093, лл.8-8об.
40. РГИА, ф.323, оп.1, д.1093, лл.9-10.
41. РГИА, ф.323, оп.1, д.1093, л.11.
42. РГИА, ф.23, оп.11, д.443, лл.1-6.
43. РГИА, ф.23, оп.11, д.443, лл.14-14об.
44. РГИА, ф.1405, оп.530, д.222, л.49.
45. РГИА, ф.1405, оп.503, д.222, лл.50-52.
46. РГИА ДВ, ф.1, оп.1, д.44, лл.3-4об.
47. РГИА ДВ, ф.1, оп.1, д.44, лл.5-6об.
48. РГИА ДВ, ф.1, оп.1, д.44, лл.8-9об.
49. РГИА ДВ, ф.1, оп.1, д.44, лл.19-20.
50. РГИА ДВ, ф.1, оп.1, д.44, лл.21-24об.
51. РГИА ДВ, ф.1, оп.1, д.44, лл.27-29.
52. РГИА ДВ, ф.1, оп.1, д.44, лл.30-30об.
53. РГИА ДВ, ф.1, оп.1, д.50, л.1.
54. РГИА ДВ, ф.1, оп.1, д.325, лл.12-12об.
55. РГИА ДВ, ф.1, оп.1, д.325, лл.15-15об.
56. РГИА ДВ, ф.1, оп.1, д.325, лл.16-18.
57. РГИА ДВ, ф.1, оп.1, д.1257, л.254.
58. РГИА ДВ, ф.1, оп.1, д.1317, лл.2, 8-10.
60. РГИА ДВ, ф.1, оп.1, д.6104, лл.7-8об.
61. РГИА ДВ, ф.1, оп.2, д.764, л.15.
62. РГИА ДВ, ф.1, оп.2, д.764, лл.16-17.
63. РГИА ДВ, ф.1, оп.2, д.764, л.18.
64. РГИА ДВ, ф.1, оп.2, д.1048, л.20.
65. РГИА ДВ, ф.1, оп.2, д.1048, л.113.
66. РГИА ДВ, ф.1, оп.2, д.1183, л.44.
67. РГИА ДВ, ф.1, оп.2, д.1346, лл.14-15об.
68. РГИА ДВ, ф.1, оп.2, д.1346, лл.62-62об.
69. РГИА ДВ, ф.1, оп.2, д.2122, л.1.
70. РГИА ДВ, ф.1, оп.2, д.2178, лл.14-16.
71. РГИА ДВ, ф.1, оп.2, д.2598, лл.63-63об.
72. РГИА ДВ, ф.1, оп.2, д.2598, лл.135-135об.
73. РГИА ДВ,ф.1, оп.2, д.2598, лл.154-155.
74. РГИА ДВ, ф.1, оп.2, д.2672, л.11.
75. РГИА ДВ, ф.1, оп.3, д.957, лл.24-25.
76. РГИА ДВ, ф.1, оп.3, д.957, л.45.
77. РГИА ДВ, ф.1, оп.3, д.969, лл.14-15.
78. РГИА ДВ, ф.1, оп.3, д.969, лл.47-48об.
79. РГИА ДВ, ф.1, оп.3, д.969, лл.49-50об.
80. РГИА ДВ, ф.1, оп.3, д.969, лл.57-57об.
81. РГИА ДВ, ф.1, оп.3, д.1114, лл.3-3об.
82. РГИА ДВ, ф.1, оп.3, д.1114, л.5.
83. РГИА ДВ, ф.1, оп.1, д.1160, лл.1-1об.
84.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л.2-5.
85. РГИА ДВ, ф.1, оп.1, д.1160, л.15.
86. РГИА ДВ, ф.1, оп.1, д.1160, лл.15об-18об.
87. РГИА ДВ, ф.1, оп.1, д.1160, л.70.
88. РГИА ДВ, ф.1, оп.1, д.1160, лл.71-73.
89. РГИА ДВ, ф.1, оп.1, д.1160, лл.74-77об.
90. РГИА ДВ, ф.1, оп.1, д.1160, лл.423-423об.
91. РГИА ДВ, ф.1, оп.2, д.50, лл.1-2.
92. РГИА ДВ, ф.1, оп.2, д.2122, лл.3-3об.
94. РГИА ДВ, ф.1, оп.2, д.2122, л.2.
95. РГИА ДВ, ф.1, оп.3, д.957, л.28.
96. РГИА ДВ, ф.1, оп.3, д.957, лл.29-29об.
97. РГИА ДВ, ф.1, оп.3, д.957, л.30.
98. РГИА ДВ, ф.1, оп.3, д.1114, л.1.
99. РГИА ДВ, ф.1, оп.3, д.1114, л.2.
100. РГИА ДВ, ф.1, оп.3, д.1114, л.4.
101.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1.
102.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л.24-24об.
103.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л.31-32.
104.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л.42-43об.
105.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л.43a-43aоб.
106.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л.46-47об.
107.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л.53-53об.
108.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68.
109.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л.82-84.
110.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л.105-106об.
111.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112a.
112.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л.117-117об.
113.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л.121-121об.
114.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141.
115.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л.143-144.
116.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147.
117.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л.161-162об.
118.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л.169-169об.
119.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л.174-174об.
120.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л.174-174об.
121.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187.
122.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188.
123.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195.
124.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л.202-202об.
125.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л.203-204об.
126.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л.205-205об.
128.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л.222-224.
129.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л.233-234об.
130. РГИА ДВ, ф.1, оп.3, д.1160, лл.251-253об.
131. РГИА ДВ, ф.1, оп.4, д.162, л.100.
132. РГИА ДВ, ф.1, оп.4, д.162, л.101.
133. РГИА ДВ, ф.1, оп.4, д.783, лл.31-31об.
134. РГИА ДВ, ф.1, оп.4, д.1048, лл.19,23-24об.
135. РГИА ДВ, ф.1, оп.4, д.1858, л.18.
136. РГИА ДВ, ф.1, оп.4, д.2259, л.284.
137. РГИА ДВ, ф.1, оп.5, д.694, лл101-102.
138. РГИА ДВ, ф.1, оп.5, д.694, лл103-105.
139. РГИА ДВ, ф.1, оп.5, д.694, лл.120-126об.
140. РГИА ДВ, ф.1, оп.5, д.1354, лл.73-73об.

도서소개

『러시아문서 번역집』제16권. 동국대학교 대외교류연구원에서 2009년에서 2013년까지 4년간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한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근대 한국사회 관련 자료번역·요약·주해 및 DB구축》사업의 성과 중 2차년도의 결과물을 간행한 것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