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기억해야할 전쟁의 비극
경부선 열차를 타고 서울을 떠나 부산을 향해 절반쯤 가다 보면 충북 영동에 한 굴다리를 지나게 된다. 노근리 마을로 가는 쌍굴 다리이다. 노근리 양민학살 사건은 바로 이곳에서 일어났다. 1950년 7월 26일부터 29일까지 만 3일 동안, 미군은 하가리와 노근리 일대에서 피난 가던 사람들을 폭격, 기총소사로 대량 학살했다.
『노근리 이야기』제 1권 「그 여름날의 기억」은 정은용이 쓴 실화 소설 《그대, 우리의 아픔을 아는가》를 원작으로 한 만화이다. 1950년 한국전쟁이 일어난 그해 여름, 정은용은 미군이 쏜 총에 어린 아들과 딸을 잃었다. 이른바 ‘노근리 양민학살 사건’의 피해자였다. 이 책은 분신과도 같던 자식을 잃은 아버지의 감당하지 못할 슬픔에서 피어난 이야기이자, 우리가 기억해야 할 역사의 기록을 만화로 재탄생시켰다.
책에는 미군이 저지른 끔찍한 학살이 생존자들의 증언을 통해 낱낱이 담겨 있다. 미군들이 피난민들을 어떻게 다루었는지, 학살이 시작될 때의 분위기와 사람들의 모습, 쌍굴 안에서 처참하게 죽어 간 사람들의 모습과 목숨을 지키려는 처절한 몸부림, 극한 상황에서 버려진 어린 생명들의 죽음과 스스로 제 아이의 숨을 끊는 부모의 모습……. 이야기를 읽다 보면 희생자들의 죽음이 한 사람 한 사람마다 살아 있는 목소리가 되어 다가온다. 뿐만 아니라, 전쟁이 얼마나 비인간적이고, 죄 없는 사람들의 삶에까지 영향을 끼치는지 사실 그대로 보여 주면서, ‘반전’과 ‘평화’를 이야기한다.
작품마다 주제에 맞는 기법을 써서 어려운 소재들을 풀어내는 만화가 박건웅은 이 만화에서 한지에 붓과 연필을 이용해 산수화풍의 서정적인 그림으로 전쟁이 남긴 슬픔을 담담하게 담아냈다. 주인공이 피난을 떠나면서 직접 겪은 일을 그린 부분과 피해자들 증언에 따라 쌍굴에서 일어난 일을 그린 부분을 서로 다른 기법으로 표현해 이야기를 전달하는 효과를 극대화했다. 또 생존자들이 증언하는 장면에서는 얼굴을 어둡게 표현해 글을 읽는 집중력을 높이면서도 참상을 더욱 비극적으로 담아냈다.
상세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