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바이오매스 기초와 응용

바이오매스 기초와 응용

  • 김태현
  • |
  • 공주대학교출판부
  • |
  • 2014-12-01 출간
  • |
  • 242페이지
  • |
  • 190 X 260 X 12 mm /557g
  • |
  • ISBN 9788987018942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9,8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8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현재의 산업경제는 주로 화석연료, 즉 석유, 석탄만을 각종 제품과 에너지 원료로 이용하여 영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바이오매스는 이러한 화석연료 대체자원으로서, 특히 수송 연료 분야에서 휘발유, 경유 등의 액체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바이오에탄올과 같이 저장과 사용이 용이한 에너지원 및 미래 바이오화학 산업의 원료로서 높은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 책은 기존의 대체에너지 관련 서적의 개괄적인 지식의 전달이 아니라 저자가 직접 미국과 한국에서 선구적인 연구를 수행하면서 얻은 실질적이고 전문적인 지식과 나름의 정리들을 요약하였으며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바이오화학/바이오리파이너리 및 바이오연료/바이오에너지 연구 분야에 필요한 분야에 대한 정리와 저자의 결론을 담고 있다.
이 책에서는 바이오매스의 전문적인 지식뿐 아니라 바이오매스의 구조와 바이오연료 생산의 기초 원리부터 시작해서 어떻게 응용하는가, 그리고 그 주변의 이야기를 소개하면서 지루하지 않고 알기 쉽게 공부할 수 있게 하였다.

목차

서 론

제1장 바이오매스 개론: 배경 및 주요 성분
1. 바이오매스(biomass)
2. 바이오매스 이용과 탄소 순환 시스템
3. 목질계 바이오매스 구성성분
3.1 셀룰로스(cellulose)
3.2 헤미셀룰로스(hemicellulose)
3.3 리그닌(lignin)
3.4 추출물(extractives)

제2장 바이오매스의 기초
1. 탄수화물(carbohydrate)
1.1 단당류(monosaccharides)
1.2 이당류(disaccharides)
1.3 다당류(polysaccharides)
2. 기타 주요 개념
2.1 중합도(DP; degree of polymerization)
2.2 정형(crystalline) vs. 무정형(amorphous)
2.3 결정화 지수: Degree of crystallinity(crystallinity index; CrI)
3. 식물세포
3.1 식물 세포벽의 구조
3.2 식물 세포와 성분의 분포
4. 바이오매스와 수분

제3장 바이오매스 종류와 가능성
1. 바이오매스의 구분
2. 당(sugar)계 바이오매스
2.1 사탕수수(sugarcane)
2.2 사탕무(sugar beets)
3. 전분계 바이오매스
3.1 옥수수(corn)
3.2 밀(wheat)
3.3 보리(barley)
4. 목질계 바이오매스(lignocellulosic biomass)
5. 바이오매스의 경제성 비교

제4장 바이오 연료의 생산과 이용
1. 바이오매스와 바이오 제품
2. 에너지 시스템의 변화
3. 바이오 연료
3.1 바이오 연료 개발 추진 배경
3.2 국외 현황
4. 바이오 에탄올의 대체 수송용 연료로서의 역할
4.1 바이오 에탄올
4.2 수송용 연료로써 에탄올 혼입 사용
4.3 바이오 에탄올의 연료로서의 장점과 단점
4.4 바이오 에탄올 혼입 및 유통
4.5 바이오 에탄올의 기존 차량 적용성
5. 기타 고려 사항
5.1 연소반응과 온실가스
5.2 Lower heating value (LHV) vs. higher heating value (HHV)
5.3 바이오 에탄올의 연료로서의 성능

제5장 바이오 연료의 생물학전 전환 ? 전처리, 효소당화, 그리고 발효
1. 서론
1.1 바이오 연료(에탄올) 생산 공정
1.2 바이오 에탄올 생산의 기술적 경제적 문제점
2. 전처리(pretreatment)
2.1 전처리 개론 ? 효율적인 생물학적 전환을 위한 기술
2.2 효율적인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전환을 위한 주요 사항
2.3 화학적 요인
2.4 물리적 요인
2.5 다양한 전처리 공정
2.6 자기가수분해(autohydrolysis)를 이용한 전처리
2.7 기타 전처리 방법
2.8 전처리 반응 관련 개념 및 원리
2.9 바이오매스 전처리 공정의 조건
2.10 전처리 대 성분분별 - a role of pretreatment in the biorefinery concept
2.11 전처리 공정과 생물학적 전환 공정의 통합 설계
2.12 화학적 전처리 공정에 관한 고찰
2.13 경제적인 전처리 공정의 개발을 위한 연구
2.14 바이오매스 전처리의 기타 고려 사항
3. 당화(saccharification)
3.1 당화의 기초 개념
3.2 당화 공정
3.3 효소(enzyme)
4. 발효(fermentation)
4.1 발효의 정의 및 기초
4.2 에탄올 발효
4.3 다양한 생물학적 전환 공정(당화-발효)
4.4 저해작용(inhibitions)의 이해
4.5 당화-발효 공정의 종류
4.6 바이오 에탄올 수율 계산

제6장 바이오리파이너리(biorefinery)와 바이오 화학
1. 바이오리파이너리(biorefinery)와 바이오 화학
1.1 바이오리파이너리 정의
1.2 지속 가능성(sustainability)에 대한 역사적 배경
2. 바이오 화학과 지속 가능한 바이오 경제구조(sustainable bioeconomy)
2.1 바이오 화학 실현을 위한 노력들
2.2 바이오 화학 사업화와 바이오 연료 생산
2.3 바이오 화학의 실현을 위한 조건
3. 바이오 제품(bio-based product 또는 bioproduct)
3.1 바이오 제품의 정의 및 현황
3.2 역사 속의 기술과 바이오 제품
3.3 바이오리파이너리를 위한 주요 기초 원료 제품(building Blocks)
4. 주요 바이오 제품
4.1 셀룰로스계 제품
4.2 헤미셀룰로스계 제품
4.3 리그닌(lignin)
4.4 단백질(protein)
4.5 지질(bio-based fat (lipid) & oils)

제7장 지구의 기후 변화
1. 지구의 에너지 균형
2. 온실 효과(greenhouse effect)와 온실 가스(greenhouse gas)
2.1 온실 효과
2.2 온실 가스
2.3 지구기후 변화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영향 예측
2.4 온실 가스 배출 경향과 분포
3. 탄소 배출과 탄소 거래제
3.1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노력
3.2 탄소 배출권 거래제
3.3 탄소 배출권 거래제의 장점과 단점
4. 기후 변화 대응 방안
4.1. 화석 에너지
4.2 신ㆍ재생 에너지(new and renewable energy)
5. 기후 변화의 영향 및 대응 방안
5.1 기후 변화 시대를 위한 선택 방안
5.2 기후 변화의 영향과 해결책
5.3 온실 가스 배출 저감 기술의 예
5.4 신ㆍ재생 에너지의 장점과 단점
5.5 화석 에너지와 대체 에너지의 미래

※ 참 고 문 헌

저자소개

저자 김태현은 한양대학교 화학공학과 졸업 후, LG화학에서 엔지니어로 생산 현장을 경험 한다, 그 후 삼성엔지니어링으로 옮겨 가서 공정 엔지니어로 다양한 석유화학 플랜트 설계와 시공에 참여 하는 등 엔지니어링 현장 경험을 쌓았다. 그 후 미국의 Auburn University의 화학공학과로 유학을 간다. 이 곳에서 Y.Y. Lee (이윤영) 교수님 연구팀에서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전처리, 효소당화, 그리고 발효에 관한 학위 논문으로 2004년 화학공학 Ph.D. 학위를 받는다.
그 후 미국 펜실바니아주 필라델피아 인근에 위치한 농업부 산하의 USDA-ARS-ERRC 연구소의 연구원, 바이오매스 연구의 최적의 장소인 아이오와주 에임스에 위치한 아이오와 주립대학교에서 조교수 등을 거치며 바이오매스/바이오에너지 연구를 하였다. 2012년 이후에는 국립공주대학교에서 바이오 연료와 바이오 화학제품을 바이오매스로부터 생산하는 기술 연구를 계속 하고 있다.
미국의 선구적 바이오매스 연구팀인 CAFI 팀의 일원으로 바이오 에탄올 연구에 참여했었고, 현재까지 다양한 미국과 한국의 정부 및 기업체 연구과제와 국제 공동 연구과제 등을 수행하였으며 암모니아, 열수, 산, 염 등의 다양한 화학제재와 기타 촉매를 이용한 전처리/성분분별/생물학적 통합공정 관련 많은 논문과 특허를 발표하였다.

※ 자세한 정보는 저자가 2007년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는 생물재생에너지공학 실험실 [Biorenewable Engineering Laboratory (BEL)]의 홈페이지 http://www.BioEngLab.com 에서 얻을 수 있다.

도서소개

이 책은 기존의 대체에너지 관련 서적의 개괄적인 지식의 전달이 아니라 저자가 직접 미국과 한국에서 선구적인 연구를 수행하면서 얻은 실질적이고 전문적인 지식과 나름의 정리들을 요약하였으며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바이오화학/바이오리파이너리 및 바이오연료/바이오에너지 연구 분야에 필요한 분야에 대한 정리와 저자의 결론을 담고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