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 ‘옥상학’의 입구 김만석 5
1부 옥상화(屋上花)
17 옥상의 시 16편
옥상다반사 외 (황경민)
2부 옥상의 정치미학 : 임계, 잉여, 파상
40 옥상의 정치학
잉여로서의 옥상과 잉여정치학의 전망 : 옥상의 권력에서 옥상의 정치로 (조정환)
70 옥상의 문화론
이미지와 삶-생명의 임계에 관하여 (김만석)
92 옥상의 건축론
옥상과 파상력 (임태훈)
3부 옥상의 고고학 : 산, 옥상, 지하
113 옥상의 역사비판
옥상, 슬럼화된 혹성에 구멍(穴)을 내기 위해:일본어 소설과의 상상력의 연쇄를 꾀한다 글 고영란·번역 (김미정)
134 옥상의 문학론
극한의 저항과 시적 카이로스의 열림 (이성혁)
4부 경계에서
179 옥상의 예술론?―?홍성담 인터뷰?
?스스로 망루가 된 샤먼예술가?:?홍성담의 현실·예술·연대 그리고 미학투쟁 (김종길)
5부 옥상의 미술관
208 ‘접경’ (김영희)
광주?:?《옥상의 정치?―?접경(接境)》 전시 이미지
219 프로젝트 《아, 옥상》 (노아영)
대구?:?《아, 옥상》 전시 이미지
228 미시에 살다 (김경량)
대전?:?《옥상의 정치?―?미시에 살다》 전시 이미지
257 벼랑의 삶, 벼랑의 사유 (김만석)
부산??:?《옥상의 정치?―?벼랑의 삶, 벼랑의 사유》 전시 이미지
269 《옥상민국》에 부치는 글 (박지원·성원선·오혜미·이미정)
서울?:?《옥상민국》 전시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