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나눔의 그늘에 스며들다

나눔의 그늘에 스며들다

  • 오창은
  • |
  • 문화다북스
  • |
  • 2017-05-18 출간
  • |
  • 288페이지
  • |
  • 154 X 225 X 19 mm /393g
  • |
  • ISBN 9791195576364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6,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나눔의 그늘에 스며들다』라는 책은 문학평론가 오창은의 세 번째 평론집이다. 저자는 2002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문학평론 부문에서 당선된 이후 계간 《실천문학》의 편집위원을 역임했다. 현재 계간 《문화/과학》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고, 중앙대 다빈치교양대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오창은 문학평론가는 당대 시대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면서 삶과 결합된 평론을 줄곧 써왔다. 시대를 외면하지 않고 시대의 중심에 들어가 올곧은 평론을 쓰려는 저자의 태도는 이번 평론집을 관통하는 핵심 키워드다. 문학이 현실을 외면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끌어안아야 한다는 저자의 생각은 글 곳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자는 문학을 나눔과 스밈의 식사자리라고 말한다. 문학은 낯선 것을 배제하지 않으려는 마음이 있고, 급하게 다그치지 않는 여유가 있으며, 깊이 음미하고 공감하려는 윤리가 있다는 것이다. 저자가 평론집의 제목을 ‘나눔의 그늘에 스며들다’로 정한 것은, 한국사회의 아픔을 되새겨 보겠다는 의지의 표명이다. 문학 비평이 나의 이야기이면서, 누군가의 이야기이고, 모두의 이야기가 되는 나눔이기를 희망한 것이다. 그러면서도 저자는 자신의 비평이 시대의 어둠과 그림자, 아픔과 상처에도 눈길이 가는 글쓰기였다고 말한다. 문학 텍스트를 통해 작가는 독자에게, 비평가는 작가와 독자에게, 독자는 모두의 삶의 저변에 스며듦으로써, 삶에 대한 스스로의 질문에 흠뻑 젖어드는 나눔의 경험이 공유되었으면 한다.
『나눔의 그늘에 스며들다』에서 제1부 ‘세월호와 한국문학’에서는 세월호 사건과 용산참사에 대응하는 작가들의 진지한 고민을 담았다. 제2부 ‘신경숙 표절 사건과 문학제도’는 지난 2015년에 발생한 신경숙 표절 사건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제3부 ‘블랙리스트, 검열, 공공성’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한 문학·예술인의 고통을 담았다. 제4부 ‘작가의 탄생’은 작가의 등단과 신인 작가의 활동, 그리고 젊은 작가들의 고통을 담아냈다. 특히 이 글 중에서 ?등용문을 통과하기 위한 세 가지 열쇠?는 발표될 당시 언론의 많은 조명을 받았던 글이다. 제5부 ‘비평 지성의 힘을 만나다’는 선배 비평가인 임헌영·김인환·염무웅 비평가의 비평 세계를 탐색한 글이다.

- 세월호 희생자들로 인해 한국의 동시대인들은 ‘살아가는 인간’이 아니라 ‘생각하며 살아있는 인간’이 되었다. 타인의 고통을 상상하고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이야말로 인간됨의 조건이다.
- 시련을 견뎌낼 수 있는 사람은 스스로 희망을 만들어 나갈 수 있을 만큼 강하다. 그 희망은 시련을 기억하고, 성찰하고, 그리고 주변을 볼 수 있는 힘을 가진 것이라야 한다.
- 신경숙 표절 사건은 한국문학의 존재 조건을 바꿔 놓은 문학사적 사건이다. 한 작가의 개인적인 문제가 아니라 한국문학에 작동하는 문학권력에 대한 중요한 문제 제기의 촉발점이 되었다.
- 비평의 반성은 비평가 홀로 외롭게 하는 것이 아니다. 비평가들이 서로 비평에 대한 비평을 행함으로써, 비평의 반성이 쌓여 비평 언어의 공유지가 확장되기를 열망한다.
- 한국문학은 이중의 과제를 안고 있다. 신자유주의적 세계와 싸우면서도 국가 기구의 공공성 훼손에도 대항해야 한다.
- 새로운 질서 구축을 위해서는 더 많이 상상하고, 더 많이 자유로워져야 한다. 그 자유는 한계 속에서의 자유가 아니라, 분출하면서 관계를 새롭게 구성되는 자유일 것이다.
― 본문 중에서

목차

책머리에

01 세월호와 한국문학
세월호 3년, 문학에 스민 고통의 무늬
용산참사와 세월호, 멈춤과 생명의 시학
용산참사, 기억의 칼금을 간직하자
망각과 애도, 세월호를 위한 외침

02 신경숙 표절 사건과 문학 제도
베껴쓰기, 혹은 필사(筆寫)의 파국
비평 논쟁을 통해 본 신경숙 표절 사건의 역사적 성찰
한국문학의 전환과 약소자 문학운동

03 블랙리스트, 검열, 공공성
문학 매체의 공공적 미래를 위하여
곡선의 문학 정책과 직선의 문학 정신
권력의 승인이 아니라, 권리를 향한 위반이다

04 작가의 탄생
등용문을 통과하기 위한 세 가지 열쇠
등단, 냉혹한 희열
마니아 문학의 탄생
― 젊은 문학의 감각과 새로운 정체성의 출현
이지러진 시간, 나르시시즘의 유토피아
― ‘장편의 시대’ 담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05 비평 지성의 힘을 만나다
임헌영 비평, 문학과 역사를 품은 변증법적 지성
김인환 비평, 텍스트를 돋워 세우는 혼융(渾融)의 정신
염무웅, 역사의 시계를 응시하는 이성의 힘

발표 지면

저자소개

1970년 전라남도 해남 출생. 중앙대 국어국문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한국 도시소설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2년 경향신문 신춘문예 문학평론 부문에 당선돼 현장 비평활동을 시작했다. 행동하는 지식을 꿈꾸는 사람들의 모임인 지행네트워크 연구위원이고, 한국 민주주의에 힘을 보태기 위해 한국 작가회의 정책위원장, 참여연대 아카데미 느티나무 운영위원으로도 활동 중이다. 저서로는 \'비평의 모험\', \'나는 순응주의자가 아닙니다\', \'1930년대 문학과 근대체험\', \'탈식민의 텍스트, 저항과 해방의 담론\' 등이 있다. 현재 중앙대학교 교양학부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도서소개

문학평론가 오창은의 세 번째 평론집『나눔의 그늘에 스며들다』. 제1부 ‘세월호와 한국문학’에서는 세월호 사건과 용산참사에 대응하는 작가들의 진지한 고민을 담았다. 제2부 ‘신경숙 표절 사건과 문학제도’는 지난 2015년에 발생한 신경숙 표절 사건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제3부 ‘블랙리스트, 검열, 공공성’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한 문학·예술인의 고통을 담았다. 제4부 ‘작가의 탄생’은 작가의 등단과 신인 작가의 활동, 그리고 젊은 작가들의 고통을 담아냈다. 특히 이 글 중에서 ?등용문을 통과하기 위한 세 가지 열쇠?는 발표될 당시 언론의 많은 조명을 받았던 글이다. 제5부 ‘비평 지성의 힘을 만나다’는 선배 비평가인 임헌영·김인환·염무웅 비평가의 비평 세계를 탐색한 글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