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정치와 합동성』은 총 6개의 장으로 구성했다. 먼저 제2장은 이론적 배경과 분석의 틀을 다뤘다. 그 내용은 군사제도와 국방조직, 전쟁의 수준과 국방개혁, 합동성의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조직이론 중 자원의존이론을 중점으로 분석의 틀을 구성하는 과정을 설명했다. 제3장에서는 ‘미군의 합동성과 조직정치’라는 주제를 가지고 정치문화가 미군의 합동성에 미친 영향, 미군의 작전실패 사례, 미군의 국방개혁과 G-N법의 제정에 대해 설명한 후, 미군의 합동성을 위한 국방개혁과정에 대해 분석했다. 제4장에서는 ‘한국군의 합동성과 조직정치’라는 주제를 가지고 한국군의 군사문화가 합동성에 미친 영향, 한국군의 작전실패 사례, 국방개혁 2020과 국방개혁 307 및 그 이후의 진행과정 등을 설명하고, 한국군의 합동성을 위한 국방개혁과정 등에 대해 분석했다. 제5장에서는 ‘미군과 한국군의 합동성과 조직정치 비교’를 위해 지휘구조의 집권화와 분권화의 문제, 합동전장에서의 작전개념과 전력건설, 한, 미의 국방개혁 비교가 주는 시사점 등에 대해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