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중국어판 서문
약어 일람
일러두기
제1장 편찬사를 통해서 본 『독일 이데올로기』-신MEGA |/5의 발간을 기대하며
1. 글머리에
2. 『독일 이데올로기』에 대한 최초의 관심
3. 『독일 이데올로기』의 성립과 출판을 위한 노력
4. 『독일 이데올로기』의 출판을 위한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노력
5. 신MEGA 발간 준비 과정에서 제기되는 『독일 이데올로기』 편찬상의 문제
6. 맺음말
제2장 『독일 이데올로기』는 계간지용 원고로 집필되었나?-『독일 이데올로기』 성립사에 대한 최근 논의를 중심으로
1. 글머리에
2. 골로비나의 계간지설과 종래 통설의 근거
3. 계간지설의 타당성에 대한 검토
4. 『독일 이데올로기』 공저자로서의 마르크스와 엥겔스
5. 『독일 이데올로기』 집필 동기에 관한 재해석
6. 맺음말
제3장 『독일 이데올로기』, 「|. 포이어바흐」 장의 재구성-리야자노프 이래의 각종 텍스트에 대한 비교 검토
1. 글머리에
2. 『독일 이데올로기』, 「|. 포이어바흐」 장의 특징
3. 기존 각종 텍스트의 개관
4. 「|. 포이어바흐」 장 각 판본의 종합적 검토
5. 맺음말
제4장 1960년대와 70년대 일본 학계의 『독일 이데올로기』 논쟁-일본 마르크스학의 이해를 위한 하나의 구체적 실례로서
1. 글머리에
2. 일본의 『독일 이데올로기』 번역사-논쟁의 기본적 토양
3. 『독일 이데올로기』의 텍스트 논쟁
4. 『독일 이데올로기』 논쟁의 전개
5. 『독일 이데올로기』의 새로운 독해
6. 맺음말
제5장 『독일 이데올로기』 연구에 있어서 텍스트 편찬의 문제-특히 「|. 포이어바흐」 장의 재현 문제와 관련하여
1. 글머리에
2. 『독일 이데올로기』, 「|. 포이어바흐」 장 초고의 특수성
3. 『독일 이데올로기』, 「|. 포이어바흐」 장의 집필
4. 『독일 이데올로기』, 특히 「|. 포이어바흐」 장의 재현 문제
5. 새로운 텍스트 편찬을 위한 몇 가지 제언-결론에 대신하여
제6장 『독일 이데올로기』의 구성-신MEGA |/5, 편집 문제를 다룬 전문가 회의 참가 보고
1. 글머리에
2. MEGA2 |/5의 출판을 위한 준비 개황
3. MEGA2 |/5 『독일 이데올로기』의 구성
4. 『독일 이데올로기』의 구성안과 타우베르트의 해석에 대한 저자의 견해
5. 트리어 회의에서 논의된 주요 쟁점들
제7장 일본에서 출판된 『독일 이데올로기』, 「|. 포이어바흐」 장의 신판에 대한 검토와 비판
제8장 초고의 문헌학적 분석과 저자의 결정본-『독일 이데올로기』, 「|. 포이어바흐」 장 잠정판(2004)의 개관과 비판
1. 글머리에
2. 기존 재판의 편집 원칙과 재현 방법
3. 문헌학적 분석에 기초한 『독일 이데올로기』 잠정판의 「|. 포이어바흐」 장 재현
4. 비판적 논평
5. 맺음말
제9장 신MEGA |/5, 『독일 이데올로기』의 구상과 구성-특히 「|. 포이어바흐」 장과 관련하여
1. 글머리에
2. 형성사를 통해서 본 『독일 이데올로기』-집필의 제 단계
3. 『독일 이데올로기』, 「|. 포이어바흐」 장 초고의 구성: 특히 초고 |/5-1과 |/5-4의 편입 문제를 중심으로
4. 잠정판을 포함한 종래 여러 판본의 초고 배열
5. 몇 가지 제언-결론에 대신하여
10장 주제권에서 작품권으로의 천이-신MEGA |/5 편찬 원칙의 미묘한 변화
1. 글머리에
2. 『독일 이데올로기』 초고의 부분적 출판과 마이어-리야자노프의 논쟁
3. 구MEGA에서의 『독일 이데올로기』의 출판
4. 신MEGA와 『독일 이데올로기』 편찬 작업의 전개
5. MEGA2 |/5 편집팀의 변경과 편집 원칙의 미묘한 변화
6. 요약
참고문헌
원문 출전
권말 후기
감사의 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