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는 말_ 근현대 한의학 인물들의 발자취를 더듬다
1. 근현대 한의학 인물 개괄
2. 고종, 순종 년간의 어의들
임금을 감동케 한 뛰어난 치료술
의서를 간행한 어의들
민간 활동에 힘쓴 어의 홍재호
3. 한의학 교육의 명맥을 이어가고자 분투한 인물들
동제의학교의 설립과 폐교
각종 의학강습소의 개설과 일제강점기의 교육활동
해방 후 한의과대학의 설립과 발전
4. 한의사 단체의 구성과 활동
대한의사총합소의 구성
전선의생대회의 개최와 전선의회의 성립
동서의학연구회
동양의학협회
대한한의사협회
대한한의학회
지역 및 재야 한의사 단체들의 각종 활동
5. 한의학 학술지와 신문의 간행에 매진한 인물들
최초의 한의학 학술잡지 『한방의약계』
『동의보감』, 『동서의학보』, 『조선의학계』, 『동서의학연구회월보』
지역지에서 중앙지로, 1935년 『충남의약』의 창간과 발전
한의학 부흥을 위해 탄생한 학술지 『동양의약』
“한의학의 신체계를 확립하자” 1947년 『동양의학』 창간호
“행림계의 첫아이를 잘 기르자” 1954년에 창간된 『의림』
“문화의 진보와 시대의 변천에 발맞추자” 『동양의약』의 창간과 전석붕의 포부
1963년에 뿌려진 미래를 위한 씨앗, 『대한한의학회지』
『행림』과 『한방의 벗』
“학술연구의 광장이 되리” 1975년 『동양의학』 창간호
서울시한의사회보, 1967년과 1979년 두 차례 나온 창간호
〈한의신문〉
〈민족의학신문〉
6. 한의학 제도화를 위해 분투한 인물들
한의학 교육의 기초를 다진 사람들, 팔가일지회의 활동
부산 피난시절 제도화를 위한 활동과 오인동지회
7. 한의학 학술 진흥을 위해 노력한 인물들
개항기 한국의 한의학을 빛낸 삼대의가 황도연, 이제마, 이규준
일제강점기 침구학 · 상한론 연구, 해방 이후 의역학 연구의 경향
경험방 수집
일제강점기 의서 연구자들
신학설의 창도자들
학술적 정리를 꾀한 학자들
학술단체의 구성과 활동
8. 독립운동에 헌신한 인물들
일제에 저항했던 한의사 노병희와 조종대
일제에 저항했던 한의사 강우규와 심병조
상의의국을 몸소 실천한 한의사 독립운동가 방주혁
독립운동가로 조선무약을 창설한 한의사 박성수
9. 왕성한 활동으로 한의학의 외연을 넓히고자 노력한 인물들
서예와 미술
배구계에서의 활약
대중매체와 출판
약업계의 활약
한의학의 국제화
개인적 학술활동
의료봉사
10. 근현대 한의사 명의들
한의사 집안을 이어간 인물들
명의로 이름을 떨친 사람들
책을 마치면서_ 이 책이 미래 연구의 초석이 되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