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레논평전

레논평전

  • 신현준
  • |
  • 리더스하우스
  • |
  • 2010-12-06 출간
  • |
  • 380페이지
  • |
  • 128 X 188 X 30 mm /546g
  • |
  • ISBN 9788991760202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6,2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2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역사상 가장 솔직하고 용기 있는 뮤지션이자
여전히 세상과 소통하는 ‘살아 있는 망자(亡者)’
존 레논의 삶과 음악을 재조명하다!


존 레논이 20세기 대중음악계 최고의 뮤지션이자 아티스트인 것은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이지만, 그가 모든 사람에게 원만하게 사랑받는 음악을 만들고 연주한 것은 아니다. 레논이 걸어 왔던 길은 대부분의 팝 스타가 걷는 일반적인 길, 즉 적당히 자기를 감추고 관리하면서 스타덤에 안전하게 머무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오히려 그는 감출 것도, 잃을 것도 하나 없다는 듯 모든 사람들이 자기 안에 무엇이 들어있는지 들여다보기를 원했던 인물이다.
이 책은 전설이 된 팝 스타의 신화를 반복하기보다는, 한 명의 인간으로서 존 레논의 진실에 가깝게 접근한 한 편의 다큐멘터리이다. 밖으로는 세상의 부조리와 끊임없이 불화하면서 안으로는 자기 자신의 위선과도 치열하게 싸웠던 한 아티스트의 곡진한 인생을 저널리즘적 시각으로 재조명하고 있다.

왜 또 다시 ‘존 레논’ 인가?
2010년 한 해를 마무리 하는 지금, 지구촌 이곳저곳에서 존 레논을 다루는 기획물들이 쏟아지고 있다. 이러한 ‘레논 열풍’은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닌 듯하다. 존 레논을 주제로 한 영화가 언론시사회를 거쳐 곧 상영할 예정이고, 그의 전 곡을 담은 앨범이 새로 출시되어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다. 물론 이 책 역시 지금의 이 열풍과 전혀 무관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왜 다시 ‘존 레논’ 일까? 이는 아마도 시기적 유의성이 어느 정도 작용한 듯하다. 2010년은 그가 사망한 지 30주년이 되는 해이고, 그가 살아있었다면 (우리 식대로라면) 고희(古稀) 잔치를 벌일 해이기 때문이다. 21세기가 시작되었고 그로부터 다시 10년이란 세월이 지난 지금, 사람들은 단지 레논 생사(生死) ‘몇 십 주년’이라는 시간적인 이유만으로 그를 기억하려는 것일까.

존 레논에 관한 몇 가지 흥미로운 상상들
이 책은 저자가 머리 글에서 밝히듯, 지금 “왜 또 다시 ‘존 레논’ 인가?”라는 물음에서 시작한다. 대부분의 평전이 “그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으로 시작하는 것과는 달리, 이 책 『레논평전』은 “그는 누구인가?”에 앞서 “왜 그 사람인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저자는 위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는 과정에서, 크리스 모건(Chris Morgan)이라는 한 저널리스트의 위트 있는 기사를 인용한다. 모건은 <존 레논이 살아 있었으면 어땠을까?>(Imagine-How the world would be different had John Lennon lived?)라는 글에서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재미있는 상상을 펼쳤다.
존 레논이 살아있다면,
첫째, 마이클 잭슨이 비틀즈 음악의 판권을 차지하지 못했을 것.
둘째, 비틀즈가 글래스톤베리 페스티벌에서 재결합했을 것.
셋째, 너바나의 커트 코베인이 자살하지 않았을 것.
넷째, 리버풀 시장으로 선출되었을 것.
다섯째, 보노와 밥 겔도프의 정치적 멘토가 되었을 것.
여섯째, 베스트셀러 자서전을 저술했을 것.
일곱째, 레논 역시 나이가 들어 유행에서 밀려났을 것.
이 가운데 특히 이 책의 저자가 꼽은 가장 흥미로운 상상은 일곱 번째다. 저자 역시 모건과 마찬가지로 레논이 폴 매카트니처럼 나이가 들어서도 히트곡 행진을 계속할 확률을 그리 높게 보지 않은 것이다. 레논이 20세기 대중음악계 최고의 스타이자 뮤지션인 것은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이지만, 그가 모든 사람에게 원만하게 사랑받는 음악을 만들고 연주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레논이 걸어 왔던 길은 대부분의 팝 스타가 걷는 일반적인 길, 즉 적당히 자기를 감추고 관리하면서 스타덤에 안전하게 머무는 것과는 거리가 멀었다. 오히려 그는 감출 것도, 잃을 것도 하나 없다는 듯 모든 사람들이 자기 안에 무엇이 들어있는지 들여다보기를 원했던 인물이었다.

여전히 누군가를 불편하게 만드는 레논의 삶과 음악
이처럼 레논의 자기고백적 작사·작곡 스타일은, 요즈음처럼 어린 세대를 대상으로 새로운 팬덤을 만들어 나가기에는 분명 한계가 있을 것이다. 특히 레논은 요즈음 젊은이들이 관심을 두지 않는 정치·사회 문제나 내적 성찰 등을 노래하려 애썼고, 그러다보니 그의 음악에는 달콤한 사랑 얘기보다는 급진적인 발언이나 명상적인 메시지가 주를 이뤘다.
레논의 삶 역시 그의 음악만큼이나 ‘대중스타다움’과는 거리가 멀었다. 레논은 20대였던 비틀즈 시절부터, 권위주의 기독교를 비판하는 발언을 서슴지 않거나 전쟁을 일삼는 패권정치 반대에 앞장서는 등 당시 기득권층을 불편하게 하는 대표적인 인사 가운데 한 명이었다. 어쩌면 이처럼 불편한 음악과 삶의 궤적이 레논을 죽음으로까지 몰고 갔는지도 모르지만. (레논의 죽음에 관해서는 이미 많은 의문이 제기된 바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왜 또 다시 존 레논인가?”라는 질문에 가장 적확한 답이야말로 바로 레논의 불편한 삶과 음악이 배치해 있음을, 이 책은 밝히고 있다. 논쟁적이고 투쟁적인 레논의 삶과 음악은, 지난 수십년동안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게 끊임없이 소통의 대상으로 회자되어 왔다. 그가 세상을 향해 노래했던 담론들은 시공(時空)을 초월해 어떤 사람들에게는 ‘여전히’ 불편한 메시지로 남아 있는 것이다.
예컨대, 이란 곡에서, 레논은 다음과 같이 특유의 짜증 섞인 비음으로 노래한다.
“사회구조를 변혁시킨다고 말하시는군요. / 그래요. 당신도 아시겠지만 / 우리 모두는 당신 머리속에 든 생각부터 변혁시키고 싶군요.”
여기서 ‘당신은’ 당시의 수구 기득권층을 가리키는 것으로 회자되지만, 곡 전체를 가만히 듣다보면 지금 우리 주변에서 진보연 하는 위선적인 지식인 계급을 꼬집는 듯한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는 좀 더 직설적이다.
“집에서는 상처를 주고 학교에서는 매를 때리고 / 당신이 현명하면 미워하면서 바보라고 조롱하네.”
온화한 발라드곡의 대명사격인 도 따지고 보면 反체제·反종교·反자본주의를 노래하는 급진적인 곡이다. 레논은 에서 無소유와 無정부와 無신앙을 상상(imagine)할 것을 조용하지만 단호하게 읊조린다.
이처럼 레논이 세상을 향해 토해낸 불편한 메시지들은 세월이 흐른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의 일상에서 부단히 접속한다. 그 불편함이 이렇게 오랜 세월 많은 사람에게 기억되고 회자되는 것은, 레논이 삶을 통해 보여준 ‘진정성’과 ‘솔직함’에 기인한다. 진정성이 있는 불편함이란, ‘쓰지만 달게 받아 먹어야 하는 약’이라는 사실을,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레논의 삶과 음악에서 추출할 수 있는 소통의 소재들은, 혁명적 좌파 정치에서 상업적 스타덤과 아방가르드 예술을 거쳐 명상과 페미니즘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분포되어 있다. 다양한 영역을 주제로 진심을 담아 노래한 레논의 메시지는, 수많은 사람들이 불편함을 감내하면서도 소통하고 때론 논쟁하게 만드는 마력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이 도입 부분에 제기한 “왜 ‘또 다시’ 존 레논 인가?”라는 질문은 이렇게 조금 고치는 게 맞을 것이다. “왜 ‘여전히’ 존 레논 인가?”라고.

목차

추천의 글
-침묵을 깨며 절규하던 한 올빼미를 기억하며 (최성원. 들국화 멤버)
-‘차려 자세’ 없는 세계로 날아간 어느 록 가수에 대한 오마주 (성기완. 대중음악평론가)
머리 글
-나의 존 레논, 당신의 존 레논, 우리의 존 레논

Prelude 레논이 총에 맞았어! _한 시대의 종언(終焉) [1980. 12. 8]

Track 01 리버풀의 천재 혹은 악동 [1940~1957]
ㆍ존 윈스턴 레논
ㆍ천재 혹은 악동?
ㆍ어머니 줄리아

Track 02 무명 로컬 밴드의 리더 _리버풀과 함부르크를 전전하다 [1957∼1961]
ㆍ리버풀의 테디보이
ㆍ레논-매카트니 콤비의 탄생
ㆍ리버풀 미대생 그리고 독립
ㆍ함부르크의 무명밴드

Track 03 한 명의 비틀, 시대의 아이돌 [1962∼1964]
ㆍ매니저 브라이언 엡스타인
ㆍ매혹의 4인조(Fab Four) 밴드
ㆍ글로벌 비틀마니아 현상
ㆍ1960년대, 카운터컬처 그리고 비틀즈

Track 04 독설가 팝 스타, 체제와의 불화 [1965∼1966]
ㆍ헬프! 고독한 젊은 영웅의 절규
ㆍ정말 알고 싶습니까?
ㆍ비틀즈는 예수보다 유명하다
ㆍ우리는 매일 전쟁을 생각한다!
ㆍ승전의 방법

Track 05 사랑의 몽상가 [1966∼1968]
ㆍ요코와의 첫 만남
ㆍ페퍼상사와 LSD
ㆍ플라워 무브먼트 그리고 All You Need Is Love!
ㆍ인도로의 여행
ㆍ혁명에 반대하는 로큰롤
ㆍ애플 레코드사와 ‘화이트 앨범’

Track 06 전위적 평화운동가 [1968∼1970.2]
ㆍ전위예술가 ‘존 오노 레논’
ㆍ두 명의 동정?
ㆍ베드 인:침대에서 평화를
ㆍ우드스톡, 알타몬트, 토론토
ㆍ제임스 핸러티와 마이크 X

Track 07 몽상의 종언, 싸움의 시작 [1969∼1971]
ㆍ꿈은 끝났다
ㆍ원시적 절규
ㆍ노동계급의 영웅
ㆍ민중에게 권력을!
ㆍ백만장자 사회주의자가 그리는 세상

Track 08 Lennon In New York [1971∼1972]
ㆍ잠에서 깨어난 급진주의자
ㆍ집회 혹은 콘서트?
ㆍ버거운 짐 ‘Some Time In New York City’, 그리고……
ㆍFBI의 음모
ㆍ당신들은 닉슨 따위도 이길 수 없어!

Track 09 로스앤젤레스의 주정뱅이 슈퍼스타 [1973∼1975]
ㆍ로큰롤판 워터게이트
ㆍ누토피아 선언
ㆍ잃어버린 주말
ㆍ장벽과 다리들
ㆍ요코 품으로의 귀환

Track 10 은둔의 주부(主夫) 그리고 복귀 [1975∼1980]
ㆍ페미니스트 주부
ㆍ기타를 가져와
ㆍ다시 시작하는 것처럼
ㆍ우리는 살아남았다

Track 11 살아 있는 망자(亡者) _The Living Dead [1980~]
ㆍ애도! 존 레논
ㆍLennon Legend!
ㆍLennon Effect!
ㆍ몽상가, 투사 그리고 혁명가

Hidden Track 정치적 암살?

-존 레논 연보
-참고문헌 / 색인

저자소개

저자 신현준은 1962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에서 ‘문화산업의 정치경제학’을 전공하고 2001년 한국의 음악산업을 연구하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3년부터 대중음악에 관한 글을 써서 여러 신문과 잡지에 기고하고, 여러 권의 음악 관련 서적을 저술했다.
1995년에는 ‘얼트 바이러스(alt. virus)’라는 대중음악 비평 동인 그룹을 이끌었고, 1996년부터 1999년까지 ‘소란’이라는 이름의 인디펜던트 록 페스티벌을 조직했으며, 1999년에는 대중음악 웹진 ‘웨이브(weiv)’를 창간하기도 했다.
2003년부터 지금까지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로 있으면서, 대중문화와 대중음악에 관한 비교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 국제적 저널 ‘Inter-Asia Cultural Studies’의 편집위원과 ‘The Journal of Popular Music’의 국제고문위원직을 겸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빽판 키드의 추억』(2006),『한국 팝의 고고학 1970』(2005), 『한국 팝의 고고학 1960』(2005), 『신현준의 월드 뮤직 속으로』(2003), 『글로벌, 로컬, 한국의 음악산업』(2001), 『입 닥치고 춤이나 춰』(1998), 『록 음악의 아홉 가지 갈래들』(1998), 『얼트 문화와 록 음악 1/2』(1996/1997) 등이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