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일관계 50년의 성찰

한일관계 50년의 성찰

  • 아시아연구기금
  • |
  • 오래
  • |
  • 2017-02-15 출간
  • |
  • 476페이지
  • |
  • 135 X 205 X 18 mm /290g
  • |
  • ISBN 9791158290252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9,80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발간사 iii
서문: 한일 국교정상화 50년 역사가 던지는 학문적 의미들(김기정)
2015년, 한일관계 50년을 뒤돌아보다 ······································· 1
한일관계 50년이 던지는 학문적 과제들 ·································· 7
이 책의 집필방향 ········································································· 15

Part 1. 정부간 협의와 결과
1. 한일기본조약의 의의와 한계
1.1 한일기본조약 체제의 회고와 향후 과제(니시노 준야)
Ⅰ. 위기에 직면한 1965년 체제 ································· 19
Ⅱ. 1965년 체제의 성립 ··············································· 23
Ⅲ. 1965년 체제의 구조적 제약 ································· 26
Ⅳ. 한일회담 주요쟁점 및 이후의 전개 ····················· 31
Ⅴ. 앞으로의 50년을 바라보며 ···································· 37
1.2 한일기본조약의 의의와 한계(김웅희)
Ⅰ. 서 론 ········································································ 45
Ⅱ. 한일기본조약 체결의 배경과 핵심 쟁점 ············· 46
Ⅲ. 한일기본조약에 대한 평가와 해석 ······················· 60
Ⅳ. 맺음말 ········································································ 69
2. 고노 무라야마 담화
2.1 두 개의 ‘담화’와 역사인식문제의 난관(오쿠조노 히데키)
Ⅰ. 일본군 위안부문제와 ‘고노 담화’ ························ 77
Ⅱ. ‘무라야마 담화’와 그 존재 의의 ·························· 93
Ⅲ. 위안부문제의 재부상과 아베 정권 ···················· 108
Ⅳ. 결 론 ······································································ 119
2.2 고노 담화와 무라야마 담화는 한국사회에 수용된 것일까(최희식)
Ⅰ. 들어가며 ·································································· 121
Ⅱ. 1990년대 한일 역사문제 관리 시스템의 구축 노력과 한계 ·············································· 123
Ⅲ. 2000년대 한국의 문제제기 ································· 137
Ⅳ. 나아가며 ·································································· 142
3. 한일공동선언
3.1 한일관계 50년의 성찰 ━ 1998년 한일파트너십 공동선언의 합의와 경과(양기호)
Ⅰ. 한일 파트너십-미래지향의 원형모델 ················· 146
Ⅱ. 공동선언의 정치적 배경 ······································ 150
Ⅲ. 한일간 합의와 일탈 ·············································· 157
Ⅳ. 새로운 한일협력 체제의 모색 ···························· 172
3.2 한일공동선언의 역사적 의의(니시노 준야)
Ⅰ. 들어가며 ·································································· 181
Ⅱ. 33년만의 ‘역사 화해’ ··········································· 182
Ⅲ. 북한문제를 중심으로 하는 안보협력의 진전 ··· 186
Ⅳ. 한일이 주도하는 동아시아 지역협력 ················· 190
4. 남겨진 역사문제: 위안부?강제징용
4.1 남겨진 한일 역사문제: 위안부?강제징용(이원덕)
Ⅰ. 머리말 ······································································ 195
Ⅱ. 위안부문제를 둘러싼 한일 갈등의 심화 ··········· 196
Ⅲ. 위안부문제의 극적인 타결과 향후 과제 ··········· 209
Ⅳ. 강제징용 보상문제와 해결 방향 ························ 216
Ⅴ. 맺음말 ······································································ 223
4.2 일본에서 본 ‘위안부문제’와 한일협력의 가능성(소에야 요시히데)
Ⅰ. 1990년대의 양식과 양심 ····································· 227
Ⅱ. 전환점으로서 고이즈미 외교 ······························ 229
Ⅲ. 한일관계의 암운 ·················································· 231
Ⅳ. 깊어지는 악순환 ···················································· 233
Ⅴ. 한일 위안부합의가 전환점이 될 것인가 ··········· 234

Part 2. 대내외적 환경의 변화와 과제
5. 동북아시아의 정세변화
5.1 동북아시아의 정세변화와 한일관계의 다층화 및 국제정치적 인식의 괴리(배종윤)
Ⅰ. 태평양전쟁 이후 현대 한일관계 발전의 궤적 ··· 241
Ⅱ. 탈냉전과 한일관계의 다층화 및 전략적 인식의 차별성 ·········································· 258
Ⅲ. 동북아시아 지역 현안들에 대한 한일간의 차별적인 전략적 대응 ······································ 264
Ⅳ. 결 론 ······································································ 277
5.2 동북아시아 정세의 변화와 한일관계 ━ 경제적 시점을 중심으로(고마키 데루오)
Ⅰ. 동북아시아 정세의 변화와 한일관계의 추이 ··· 280
Ⅱ. 1960년대 후반: 한일경제관계 원형의 형성 ··· 287
Ⅲ. 1980년대 후반 이후: 중국의 부상 ··················· 289
Ⅳ. 냉전 종결 이후: 냉전종결과 북일관계 개선 시도 ································································
6. 정체성과 내셔널리즘
6.1 한국과 일본의 정체성과 민족주의 ━ ‘비교사’와 ‘관계사’를 중심으로(김상준)
Ⅰ. 서 론 ······································································ 297
Ⅱ. 민족주의와 近代化: ‘獨立’과 ‘統合’의 한국과 일본 민족주의 ············································· 301
Ⅲ. 민족주의의 충돌: ‘膨脹 vs. 抵抗’의 한일 민족주의 ························································ 306
Ⅳ. 민족주의의 休息: 理念시대의 한일 민족주의 311
Ⅴ. 민족주의의 갈등: ‘被害 vs. 被害’의 한일 민족주의 ························································ 314
Ⅵ. 결 론 ······································································ 321
6.2 한일의 정체성과 내셔널리즘 ━ 일본의 시각(미야기 타이조)
Ⅰ. 들어가며 ·································································· 325
Ⅱ. 전후 한일의 내셔널리즘과 정체성 ···················· 327
Ⅲ. 냉전기 한일관계 ···················································· 329
Ⅳ. 냉전 후의 한일관계 ·············································· 331
7. 정치와 미디어가 한일관계에 준 영향
7.1 일한 50년의 성찰 ━ 정치와 매스미디어(야쿠시지 가쓰유키)
Ⅰ. 일본 정치의 변용과 그 배경 ······························ 336
Ⅱ. 역사문제 대응은 어떻게 변화했는가 ················· 346
Ⅲ. 매스미디어의 변화 ················································ 359
Ⅳ. 결 론 ······································································ 367
7.2 한일 50년 성찰 ━ 정치와 미디어를 중심으로(신정화)
Ⅰ. 日韓50年の省察 ━ 政治とマスメディア-?일본을 중심으로 ············································· 371
Ⅱ. 한 국 ···································································· 376
8. 시민사회의 변증법과 한일관계
8.1 시민, 민주주의, 사회(오구라 키조)
Ⅰ. ‘체제의 공유’란 무엇인가? (무엇이었는가?) ··· 399
Ⅱ. ‘체제 공유’ 이후의 마찰 ······································ 403
Ⅲ. 한일 ‘시민’의 차이 ················································ 404
Ⅳ. 시민을 낳은 역사적 배경 ···································· 407
Ⅴ. 민주주의에 대해 ···················································· 409
Ⅵ. 주체와 네트워크의 상극 ······································ 410
Ⅶ. 동아시아적 사회의 두 가지 모델: 주체형과 네트워크형 ···················································· 411
Ⅷ. 사회의 동심원 ························································ 412
Ⅸ. 국가와 영성(?性) ················································· 426
Ⅹ. 현재의 한일과 동심원 운동 ································ 434
ⅩⅠ. 역사적 경험으로부터의 편견 ······························ 441
8.2 한일 시민사회 교류 50년(이기태)
Ⅰ. 한일관계와 시민사회의 위기 ······························ 443
Ⅱ. 한일 시민사회 교류의 역사 ································ 444
Ⅲ. 한일 시민사회의 특징 및 과제 ·························· 456

저자소개

저자 아시아연구기금은

김기정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국 University of Connecticut 정치학 박사/ 연세대 행정대학원 원장/ 한국정치학회, 한국국제정치학회 부회장 역임/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교환교수, 게이오(慶應義塾) 대학 방문교수

김상준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국 The University of Chicago 정치학 박사/ 연세대학교 대외협력처장/ 현대일본학회 회장/ 미국 Massachusettes Institute of Technology(MIT) 방문교수

김웅희
인하대학교 국제통상학과 교수/ 일본 쓰쿠바(筑?波)대학교 국제정치경제학 박사/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술경제연구부 선임연구원/ 일본 독협(獨協)대학 객원교수

문정인
2016년 연세대 정년 퇴임 후 현재 연세대 명예특임교수/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UCSD) 세계정책전략 대학원 Krause 석좌연구원/ 한반도 평화포럼 공동대표, 아시아연구기금 이사장/ 대통령 자문 동북아시대 위원회 위원장, 외교통상부 국제안보대사 역임/ 아시아연구기금 이사장, 한일50년 성찰 프로젝트 자문위원

배종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부교수/ 연세대학교 정치학 박사/연세대학교 김대중도서관 연구교수/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PIIRS) 전임연구원

신정화
동서대학교 동아시아학과 부교수/ 일본 게이오(慶應義塾)대학교 정치학 박사/통일부 자문위원/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양기호
성공회대학교 일본학과 교수/ 일본 게이오(慶應義塾)대학교 정치학 박사/ 대통령자문 동북아시대위원회 전문위원/ (사)한일미래포럼 운영위원장

이기태
통일연구원 국제전략연구실 부연구위원/ 일본 게이오(慶應義塾)대학교 정치학 박사/연세대학교 북한연구원 전문연구원/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전임연구원

이원덕
국민대학교 국제학부 교수(일본학연구소 소장)/ 일본 도쿄(東京)대학교 국제관계학 박사/ 현대일본학회 회장(2015) 역임/ 외교부 자문위원

최희식
국민대 일본학과 부교수/ 일본 게이오(慶應義塾)대학교 정치학 박사/ 국민대 일본학연구소 전임연구원


고마키 데루오
오사카경제법과(大阪??法科)대학 아시아태평양연구센터 객원교수(아시아경제연구소 명예연구원)/ 오사카시립(大阪市立)대학 경제학부 졸업/ 아시아경제연구소 연구주간/ 고쿠시칸(?士?)대학 21세기 아시아학부장?교수

니시노 준야
게이오(慶應義塾)대학 법학부 정치학과 교수, 동대학 현대한국연구센터장/ 연세대학교 정치학과 박사과정 수료, 정치학 박사/ 주한국 일본대사관 전문조사원, 일본 외무성 전문분석원

미야기 타이조
조치(上智)대학대학원 글로벌 스터디 연구과 교수/ 히토츠바시(一橋)대학 대학원 박사후기과정 수료/ 정책연구대학원대학 조교수

소에야 요시히데
게이오(慶應義塾)대학 법학부 교수/ 미시간대학교(Ph.D. 국제정치학)/ 게이오대학 동아시아연구소 소장(2007~2013년)

야쿠시지 가쓰유키
도요(東洋)대학 교수/ 도쿄(東京)대학 문학부 졸업/ 아사히 신문 논설위원, 정치부장

오구라 키조
교토(京都)대학 대학원 인간?환경학연구과 교수/ 서울대학교 철학과 문학석사

오코노기 마사오
게이오(慶應義塾)대학 명예교수/ 게이오대학 법학연구과 박사과정, 법학박사/게이오대학 지역연구센터 소장, 법학부장/ 아시아연구기금 이사, 한일50년 성찰 프로젝트 자문위원

오쿠조노 히데키
시즈오카현립(?岡?立)대학 대학원 국제관계학 연구과 준교수, 동대학 현대 한국조선연구센터 부센터장/ 규슈(九州)대학 대학원 비교사회문화연구과 박사후기과정 수료/ NHK기자,한국 동서대학교 국제학부 조교수

도서소개

『한일관계 50년의 성찰』은 한일 양국에서 16분의 학자가 참여하여 한일 양국의 관계에 대해 냉정하게 성찰하고자 2차례에 걸친 워크샵을 통해 그 결과물을 엮은 것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