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횡무진” 서평가와 “잡학다식” 소설가의 유쾌한 문학평론집
『문학의 기쁨』은 인터넷서점의 MD로 출발해 광범위한 독서를 배경으로 전문 서평가, 평론가, 『문학과사회』 편집동인으로 활동 범위를 넓혀온 금정연과 2014년 「건축이냐 혁명이냐」로 젊은작가상 대상을 수상한 이후 발표하는 작품마다 소설이냐 아니냐 논쟁을 불러일으키며 하나의 현상이 된 작가 정지돈이 만나 한국문학의 오늘을 짚어본다. 책에는 2015년부터 2년 동안 두 사람이 만나 함께 나눈 여덟 편의 대화가 실렸다. 에세이, 대화, 서간, 시나리오가 혼합된 유쾌한 문학평론으로 새로운 문학은 가능한가에 대한 오늘의 한국문학을 대화로 푼다.
이 책은 대화를 나눈 뒤 한 사람이 쓰거나 두 사람이 이어 쓰거나 편지 형식으로 주고받기도 하는 글이다. 2015년 여름부터 이듬해 여름까지 계간 『작가세계』에 연재한 「새로운 문학은 가능한가」 「한국문학은 가능한가」 「한국문학의 위기」 「우주에서 온 편지」 「새로운 문학은 가능한가」, 2016년 7월부터 경기문화재단 웹진 <톡톡talktalk>에 연재한 페이퍼시네마(영화를 지면 위로 옮긴 듯 쓴 글) 중 일부에 코멘터리를 붙인 「시흥의 밤The Night of Siheung」, 그리고 소설집의 해설 「오한기에서 오한기로」(오한기, 『의인법』, 현대문학, 2015)와 「우리가 미래다We Are the Future」(이상우, 『프리즘』, 문학동네, 2015)의 다섯 편의 대담이 실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