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서울사회학

서울사회학

  • 김미영
  • |
  • 나남
  • |
  • 2017-03-15 출간
  • |
  • 408페이지
  • |
  • 152 X 225 X 22 mm /584g
  • |
  • ISBN 9788930089159
판매가

22,000원

즉시할인가

21,78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1,78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서울’을 알아야 한국사회가 보인다

《서울사회학》은 서울에 대한 접근을 여러 각도로 시도한 책이다. 각자 관심분야가 다른 18명의 사회학자가 모여 ‘건강’, ‘종교’, ‘광장’, ‘편의점’, ‘러브호텔’ 등 다양한 키워드로 서울을 이야기한다. 자료와 해석, 원리와 통찰 사이에서 자칫 균형을 잃을 수 있는 독자적 연구에 비해 이 책의 다채로운 목소리는 평형감각을 성공적으로 유지한다. 이미《편의점 사회학》이라는 책을 냈던 전상인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이 책에서 “편의점을 알면 서울이 보이는 정도가 아니라, 편의점을 알아야 서울이 보인다”고 말했다. 정치ㆍ경제ㆍ문화 등 한국의 중추도시로서 오랫동안 역할을 해온 서울을 고려한다면 이렇게 말할 수도 있지 않을까. “서울을 알면 한국사회가 보이는 정도가 아니라, 서울을 알아야 한국사회가 보인다.”

‘서울사회학’의 필요성
환경오염, 교통체증, 빈부격차, 그리고 젠트리피케이션까지. 대도시의 출현으로 발생하는 문제는 이루 다 헤아릴 수가 없다. 도시화를 역행할 수 없다면 도시를 잘 이해하는 것이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첩경일 것이다. 도시문제의 정확한 파악이야말로 피해 예방 및 해결의 선결조건이기 때문이다. 세계적인 대도시들이 사회학의 중요한 연구주제로 부상하는 까닭이기도 하다. 인구 천만이 넘는 메가시티 서울은 한국사회의 축약판이며 세계적인 대도시 중 하나이다. 서울 역시 정치ㆍ경제ㆍ문화 등 모든 영역에서 연구 가치가 무궁무진하다. 오랫동안 각자 다른 관심분야에 천착해 온 18명의 사회학자가 모여 집대성한 이 책은, 독자로 하여금 ‘서울’을 이해하는 것이 자신의 삶에 얼마나 절실한 것인지 피부로 체감하게 해줄 것이다.

서울을 구성하는 14개의 조각들
《서울사회학》은 4개의 큰 주제와 14개의 작은 장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1부에서는 서울의 현실에서 불평등이 나타나고 작용하는 다양한 양상을 제시하였다. 서울의 인구는 어떻게 변화하였고, 서울사람들은 어떤 일을 하며 살아가는지, 또 25개 자치구마다 건강과 종교 등의 요소에서 어떤 특성을 지녔는지를 보여 준다. 특히 우리의 통념과는 다르게 ‘수도권’이 아닌 ‘서울’에 인구가 몰린 것은 ‘지속적’인 현상이 아니라 1960년대에 일어난 ‘집중적’인 현상이라는 점이 주목을 끈다. 또한 서울의 인구정책에 따라 서울은 물론 대한민국 전체의 지속가능성이 좌우될 수 있음도 주의를 요한다.
2부에서는 도시공간과 일상생활의 관계를 다루었다. 서울의 광장문화를 다룬 장은 최근 정치적인 공론장으로서 광화문이 뜨거웠던 기억이 생생한 독자들에게 흥미로울 법하다. 서울의 광장이라는 지형도를 통시적으로 그리고 공시적으로 엮어 내면서, 저자는 우리 광장이 지향해야 할 좌표를 한 번씩 고민하게끔 만든다. 또 다음 장은 ‘강남’이라는 일상적인 명칭의 모호성을 지적하는데, 이는 심상지리와 실제 지리의 간극을 메워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주변에서 흔히 지나칠 수 있는 ‘편의점’과 ‘러브호텔’을 통해 서울을 바라보는 각각의 장 역시 그냥 지나칠 수 없는 신선한 시선이다. 특히 우리 생활 깊숙이 스며든 ‘편의점’이라는 공간이 대도시 라이프스타일의 단면을 여실히 보여 준다는 점이 새삼 놀랍다.
도시경제의 변화하는 다양한 측면들을 다룬 3부에서는 문화산업과 뷰티산업이 어떻게 결합하는지, 또 ‘한류 씬’과 ‘호텔’의 변천은 서울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려 준다. 마지막 4부에서는 소수자의 문제들, 즉 도시의 사각지대에 놓인 노숙인과 조선족 그리고 탈북자의 서울살이를 그려 낸다. 잘 보이는 존재가 아니라 눈에 잘 띄지 않는 존재에 관심을 쏟았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장들이라 하겠다. 앞으로 빈부 격차는 더 심해지고 국가 간 경계는 더 희미해질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배제되는 소수자들은 더욱 확대될 것이므로, 향후 ‘서울사회학’의 주요한 연구주제로 부각될 것이다.

서울의 다양성, 서울사회학의 다양성
서울은 오랫동안 역동적인 한국사의 중심으로 기능해 왔다. 그 유구한 역사와 함께 정치ㆍ경제ㆍ문화 등 여러 영역에서 주목도가 높다. 서울을 이해하는 길이 하나일 수 없는 이유이다. 그런 의미에서《서울사회학》의 최대강점은 ‘서울’을 향한 여러 갈래의 길을 보여 준 다양성과 가능성이다. 저자들은 모두 각자 자신의 전공에 오래 천착한 전문가들이다. 이들의 협업은 중구난방으로 흩어지지 않고 이 책 안에서 한목소리를 낸다. “서울을 알아야 한국사회가 보인다.”

목차

프롤로그 5

제1부 격차사회의 불평등과 삶의 질

제1장 서울의 인구 조영태
1. 들어가며 25
2. 서울, 서울로: 이촌향(移村向) 서울! 27
3. 서울에서 수도권으로 30
4. 서울에서 태어나기 33
5. 서울에서 결혼하기 37
6. 서울의 가구원 수 40
7. 서울에서 사망하기 43
8. 나가며 45

제2장 서울의 노동, 사회의 불평등 한준ㆍ신인철
1. 들어가며 49
2. 일에서의 불평등 51
3. 경제적 소득의 불평등 56
4. 불평등에 대한 인식 60
5. 나가며 68

제3장 서울 어느 동네 누가 건강할까? 심재만
1. 들어가며 71
2. ‘시민’의 건강, ‘구민’의 건강 73
3. 유유상종 효과 및 그 너머 75
4. 어떤 자치구 효과가 존재하는가? 80
5. 자치구 효과는 자치구 내 모든 사회집단에서 고르게 나타나는가? 84
6. 나가며 87

제4장 청년세대, 피안은 어디인가?:
행복, 종교, 세대의 관계성 탐색 변미리ㆍ오세일
1. 들어가며 99
2. 종교와 행복의 관련성에 대한 기존의 시각 101
3. 청년세대는 탈종교화 경향을 보인다 105
4. 종교는 강남/서초 등 중상층 거주지역, 여성 청년에게 더 가깝다 108
5. 일상생활과 종교의 관련성은 종교유형별로 상이하다 110
6. 청년세대에게 종교와 믿음은 어떤 의미인가? 113
7. 나가며 117

제2부 도시공간과 일상생활의 변화

제5장 서울의 광장문화, 오래된 것과 새로운 것 김백영
1. 한국의 광장 125
2. 한국 광장문화의 역사적 기원을 찾아서 127
3. 광장문화의 유형학: 과시형 광장과 소통형 광장 130
4. 조선시대의 상언과 격쟁에서 독립협회의 만민공동회까지 133
5. 일제하 서울 시내 광장의 형성과 활용 138
6. 4ㆍ19와 5ㆍ16의 공간사회학 142
7. ‘한강의 기적’과 1980년대 학생운동의 가두시위 147
8. 21세기 새로운 광장문화를 꿈꾸며 151

제6장 금 긋기의 곤혹스러움:
서울의 문화지리, 그 윤곽과 경계 한신갑
1. 두 가지 금 긋기 157
2. 첫 번째 금 긋기: 지리적 강남 162
3. 두 번째 금 긋기: 사회경제적 강남 165
4. 금 긋기의 곤혹스러움: 서울의 사회학 172

제7장 편의점으로 읽는 서울의 공간과 일상 전상인ㆍ최설아
1. 편의점으로 서울 읽기 177
2. 공간분석: ‘편의점 도시’ 서울 179
3. 일상연구: 편의점과 ‘서울살이’ 191
4. 편의점 ‘사용설명서’ 203

제8장 욕망의 문화사회사, 한국의 러브호텔 이나영
1. 들어가며 205
2. 불온한 성매매 공간으로서의 여관: 포스트/식민, 도심 하위문화로서 밤 공간의 탄생 210
3. ‘장급여관’과 ‘러브호텔’의 등장: 발전국가와 분열된 섹슈얼리티 217
4. ‘부티크 모텔’의 탄생: 후기자본주의사회의 놀이와 쾌락의 공간으로 228
5. 나가며 234

제3부 도시경제와 소비문화

제9장 강남 문화경제의 사회학:
문화산업과 뷰티산업의 결합 서우석ㆍ변미리
1. 소비ㆍ주거에서 생산으로 241
2. 문화산업과 뷰티산업의 결합 244
3. ‘강남’이라는 장소의 생산 252
4. 강남 문화경제의 진화 256

제10장 서울의 한류 씬 장원호
1. 도시 씬의 개념 259
2. 한류현상의 개요와 현황 261
3. 서울의 한류 씬 265
4. 서울의 한류 씬과 초국적 문화공동체 277

제11장 서울, 호텔로 말하다 김미영
1. 호텔과 도시, 그리고 서울 281
2. 서울의 호텔, 전형(典型)과 변형(變形) 283
3. 서울의 호텔, 숙박 그 이상의 공간 292
4. 나가며 301

제4부 소수자들의 생활세계

제12장 서울의 노숙인, 노숙인의 서울 이상직ㆍ한신갑
1. 서울의 노숙인 305
2. 서울에 오다 309
3. 노숙을 시작하다 314
4. 노숙장소의 의미 320
5. 노숙인의 서울 326

제13장 ‘초국적 상경’과 서울의 조선족 박 우
1. 서울의 조선족, 그들은 누구인가? 329
2. ‘만주드림’의 잔상, ‘사회주의적 인간’으로 설정되다 331
3. 중국식 자유주의, ‘코리안드림’을 배태하다 333
4. 한국의 신자유주의, ‘코리안드림’을 현실화하다 337
5. ‘코리안드림’은 서울에서 실현되고 있다 340
6. ‘초국적 상경’과 조선족의 의미 346
제14장 이방인 아닌 이방인, 탈북자 윤여상
1. 서울의 이방인, 서울살이를 꿈꾼다 351
2. 남한살이, 서울살이의 현재 354
3. 서울 시민, 그러나 출발선이 다른 이방인 359
4. 북한과 제3국 출생 탈북청소년의 서울살이 366
5. 이방인에서 탈출하기, 성공할 것인가? 375

에필로그 381
찾아보기 393
저자 소개 397

저자소개

저자 김미영은 서울연구원 초빙부연구위원

도서소개

서울에 관한 사회학의 논의를 일반 대중에게 소개하려는 의도로 기획된 『서울사회학』. 서울의 다양한 현실을 담기 위해서 4개의 큰 주제로 나누어 구성되었다. 먼저 1부에서는 서울의 현실에서 불평등이 나타나고 작용하는 다양한 양상을 제시하였고, 2부에서는 도시공간과 일상생활의 관계를 다루었으며, 3부에서는 도시경제의 변화하는 다양한 측면들을 다루었고, 끝으로 4부에서는 소수자의 문제들을 다루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