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조선 왕릉

조선 왕릉

  • 김광호
  • |
  • 혜성출판사
  • |
  • 2016-12-05 출간
  • |
  • 388페이지
  • |
  • 175 X 230 X 21 mm /689g
  • |
  • ISBN 9791186345252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9,4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4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머리말
세계적으로 수많은 왕조의 흥망성쇠가 반복되었지만 27분의 왕이 519년간 단일 왕조로서 기록된 왕조는 조선왕조가 유일무이하며 세계최장수 왕조로서 그 역사와 문화는 실로 장대하기가 이를 데 없다. ‘500년 조선왕조를 찾아서-조선왕릉’에 이어 ‘잃어버린 왕조를 품다- 조선왕릉’을 발간하게 된 연유도 한국의 왕조에 있어 조선 왕조가 차지하는 비중이 워낙 크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500년 이상을 이어온 왕조의왕릉 대부분이 거의 훼손 되지 않은 채로 그 위용을 보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왕릉이 훼손되지 않았다는 것은 도굴 당하지 않았다는 것과 일맥상 통한데 조선왕조의 사후 추존 된 왕과 왕비를 합한 42기 중 임진왜란 시도굴된 ‘선릉(제9대 성종)’과 ‘정릉(제11대 중종)’을 제외한 40기의 왕릉이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으나 이 중 2기는 북한에 위치하고 있어 세계문화유산에 함께 등재되지 못한 안타까움도 있다. 북한 개성 소재 ‘제릉(태조왕비 신의왕후)’과 ‘후릉(제2대 정조와 정안왕후 쌍릉)’은 남북문화교류에 의한 유네스코 동시 등재의 기회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치적인 이유로 견해를 달리한 것에는 남북 공히 그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2015년 현재 세계유산 12건, 기록유산 13건, 무형유산 17건 총 42건이 유네스코에 등재되어 있는데 비해 이웃 일본은 46건, 중국은 무려 88건이나 된다. 역사적 문화적으로 두 나라에 견주어 손색이 없는 우리나라의 세계문화유산이 수적으로 열세인 것에 대하여는 전 국민이 관심을 갖고 자랑스러운 우리 민족의 문화와 역사를 세계에 알려야할 것이다.
조선 왕릉은 독특 한 한국인의 장묘 문화가 유교와 토착신앙이 어우러진 것으로 연중 치러지는 제례 의식 또한 역사의 전통으로 계승되어 오고 있다. 조선왕릉 전부가 빼어난 자연 경관을 잘 활용하여 조화를 이루고 석물 등의 공간 배치는 빼어난 예술적 가치를 자랑하고 있다. 독특한 분묘의 형태는 사후 도굴을 의식해서인지 깊이 묻혀 진 시신 위로 매우 두꺼운 화강암이 가로막아 중국에 비해 그 규모는 작지만 매우 견고하다. 이것이 온전한 왕릉을 보존케 한 비법이고 조상의 지혜인 것이다. ‘역사는 문화고, 문화는 역사다’ 역사와 문화를 이분하여 생각 할 수 없는 것은 그 민족의 생성이 곧 역사와 문화이기 때문이다. 이제 민족의 숨결인 조선 왕릉을 보노라면 현대와 가장 근접한 역사의 장에 위치한 선조의 숨결을 다시 한 번 느끼게 한다. 조선 왕릉은 왕릉 그 이상의 존재 가치로 우리 곁에 머물고 있을 것이다.
2016년 겨울을 맞으며
저자 현묵 김 광호

목차

조선의 건국(朝鮮 建國) Joseon the founding of a country ... 12
조선 왕릉(朝鮮王陵)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 13
조선의 국장(朝鮮의 國葬) A State Funeral in the Joseon Dynasty ... 15
왕의 장례 절차(葬禮 節次) funeral a procedure ... 16
조선왕조의 국장 절차(國葬의節次) The Procedureof the State Funeral ... 18
왕의 승하(昇遐) Demise of the King ... 20
- 1. 승하당일 2. 계령 3. 3일째 4. 5일째 5. 1년째 6. 2년이후
왕릉조성(王陵造成) Construction of the Royal Tomb ... 29
조선 왕릉 내부(朝鮮王陵 內部) Interior Structures of the Joseon Royal Mounds ... 30
조선 왕릉 외부(朝鮮王陵 外部) Exterior Structures of the Joseon Royal Mounds ... 32
왕릉의 부장품(副葬品) Burial Goods for the Royal Tomb ... 34
조선 왕릉의 관리(朝鮮王陵의 管理) Maintenance for the Joseon Royal Tombs ... 36
- 조선 왕실 기록문화의 꽃, 의궤(儀軌)
조선 왕릉과 풍수(朝鮮王陵 風水)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feng shui ... 41
봉분의 형식에 따른 왕릉의 유형(王陵類型) Types of Royal Tombs by the Shape of the Mounds ... 42
- 단릉. 합장릉. 동원상하릉. 동원이강릉. 삼연릉. 동봉삼실릉
신분에 따른 왕실 무덤의 분류(陵·園·墓) Classiflcations for the Tombs of the Royals ... 46
한눈에 보는 조선 왕릉(朝鮮王陵) Royal Tombs of the Joseon Dynasty ... 49
조선 왕릉의 지역별 현황 ... 51
조선 왕릉의 구조 및 경관 (構造및 景觀) structure and scenery ... 53
조선 왕릉상설제도(象設制渡) permanent system ... 60
- 1. 재실 2. 진입공간 3. 제향 공간 4. 전이공간 5. 능침 공간
조선 왕릉문양(朝鮮王陵文樣) Various Carvings on the Stone Figures ... 76



동구릉
(東九陵)
Donggureung Royal Tombs
제1대 태조 건원릉(健元陵) Geonwolleung ... 79
- 신진 사대부 세력을 기반으로 새로운 왕조 조선을 세운 태조 이성계
제5대 문종 현릉(顯陵) Hyeolleung ... 92
- 세종의 분신으로 적자계승의 원칙에 따라 등극한 최초의임금
제14대 선조 목릉(穆陵) Mongneung ... 98
- 당쟁과 왜군의 침입에 휩싸인 군왕
광해군의 어머니 공빈김씨 성묘(成墓) seongmyo ... 107
원종(추존)의 생모 인빈김씨 순강원(順康園) Sungangwon ... 109
제15대 광해군 광해군 묘(光海君墓) Gwanghaegun grave ... 111
- 인조반정으로 폐위된 왕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 휘릉(徽陵) Hwireung ... 115
- 파란만장한 세월을 지켜본 장렬왕후
제18대 현종 숭릉(崇陵) Sungneung ... 118
- 조선의 역대 왕 중 유일하게 외국에서 출생한 왕
경종의 원비 단의왕후 혜릉(惠陵) Hyereung ... 126
제21대 영조 원릉(元陵) Wolleung ... 129
- 탕평책을 실시하여 인재를 고루 등용한 왕
제24대 헌종 경릉(景陵) Gyeongneung ... 137
- 8세의 어린 임금 순원왕후의 수렴청정
익종(문조)과 신정왕후 수릉(綏陵) Sureung ... 144
- 효명세자(문조)의 대리청정은 쓰려져가는
조선왕조의 마지막 등불

홍·유릉
(洪·裕陵)
Hongyureung
제26대 고종 홍릉(洪陵) Hongneung ... 149
- 조선의 제26대 왕이자 대한 제국 제1대황제
흥선 대원군 묘(興宣大院君墓) Tomb of Heungseon Daewon-gun ... 157
- 개혁을 앞세운 제왕 아닌 제왕
제27대 순종 유릉(裕陵) Yureung ... 162
- 대한 제국의 마지막 황제 순종
대한 제국의 마지막 황태자 영원(英園) Yeongwon ... 170
- 망국의 황태자 영친왕
고종의 다섯째 아들 의친왕 묘(義親王墓) Prince Yi Kang grave ... 174
- 독립운동가 의친왕
고종의 고명딸 덕혜옹주 묘(德惠翁主墓) Princess Deokhye grave ... 176
- 조선왕조 최후의 황녀
영휘원과 숭인원(永徽園·崇仁園) Yeonghwiwon and Sunginwon ... 178
- 고종의 후궁인 순헌황귀비
- 의민황태자의 맏아들

정릉(貞陵)
Jeongneung
태조 이성계의 계비 정릉(貞陵) Jeongneung ... 180
- 조선건국에 크게 이바지한 신덕왕후

여주 영릉·영릉
(驪州 英陵·寧陵)
Yeongyeongneung
제4대 세종 여주영릉 (驪州英陵) Yeongreung ... 187
- 조선의 제도와 학문, 예술의 기틀을 세운 최고의 성군
제17대 효종 영릉(寧陵) Yeongreung ... 197
- 북벌이라는 원대한 꿈을 가졌던 군왕

영월 장릉
(寧越 莊陵)
Jangneung, Yeongwol
제6대 단종 영월 장릉(寧越 莊陵) Jangneung, Yeongwol ... 205
- 한국사 전체에서 가장 비극적인 운명의 국왕

사릉(思陵)
Sareung
단종의 비 정순왕후 사릉(思陵) Sareung ... 213
- 64년 긴 세월을 홀몸으로 지내며 단종을 애도한 정순왕후

파주 장릉
(坡州 長陵)
Jangneung Paju
제16대 인조 파주 장릉(坡州 長陵) Jangneung Paju ... 218
- 반정으로 왕위에 오르고 삼전도의 굴욕을 당한 인조

파주삼릉
(坡州三陵)
Samreung Paju
제8대 예종의 원비 장순왕후 공릉(恭陵) Gongneung ... 226
- 상당부원군 한명회의 셋째 딸
제9대 성종의 원비 공혜왕후 순릉(順陵) Sulleung ... 229
- “나는 새도 떨어뜨린다”는 한명회의 막내딸 공혜왕후
제21대 영조의 맏아들 진종(추존왕) 영릉(永陵) Yeongreung ... 233
- 영조의 맏아들인 효장세자

서삼릉
(西三陵)
Seosamneung
제11대 중종의 계비 장경왕후 희릉(禧陵) Huireung ... 237
- 단명한 장경왕후
제12대 인종 효릉(孝陵) Hyoreung ... 240
- 조선조 제일의 효자 임금
제25대 철종 예릉(睿陵) Yereung ... 245
- 강화도령 철종
성종의 계비 폐비 윤씨(제10대연산군의어머니) 회묘(懷墓) Hoemyo ... 250
- 효창원(孝昌園), 의령원(懿寧園), 왕자 공주 묘, 완친왕(完親王) 묘, 태실(胎室)
제10대 연산군 연산군 묘(燕山君墓) yeonsangunmyo ... 256

서오릉
(西五陵)
Seooreung
추존 덕종과 소혜왕후 경릉(敬陵) Gyeongneung ... 263
제8대 예종 창릉(昌陵) Changneung ... 268
- 병약한 임금
제19대 숙종 명릉(明陵) Myeongneung ... 273
- 환국정치로 왕권 강화를 꾀한 임금
제19대 숙종의 원비 인경왕후 익릉(翼陵) Ingneung ... 281
제21대 영조의 원비 정성왕후 홍릉(弘陵) Hongneung ... 285
제19대 숙종의 후궁 장희빈 대빈묘(大嬪墓) Tomb daebin ... 289
- 궁녀에서 왕비가 된 희빈장씨
제13대 명종 아들 순회세자 순창원(順昌園) Sunchangwon ... 291
제21대 영조의 후궁 영빈이씨 수경원(綏慶園) sugyeongwon ... 292

융·건릉
(隆·健陵)
Yungneung and Geolleung
제22대 정조 건릉(健陵) Geolleung ... 294
- 사도세자의 아들임을 천명한 정조
사도세자(추존장조) 융릉(隆陵) Yungneung ... 301
- 뒤주 속에서 8일 만에 숨을 거둔 장조(사도세자)
제22대 정조의 후궁 수빈 박씨 휘경원(徽慶園) Hwigyeongwon ... 307

광릉(光陵)
Gwangnung
제7대 세조 광릉(光陵) Gwangnung ... 309
- 중앙 집권 제체를 확립한 세조

온릉(溫陵)
Olleun
제11대 중종의 원비 단경 왕후 온릉(溫陵) ... 319

김포 장릉
(金浦 章陵)
Jangneung of Kimpo
추존 원종과 인헌왕후 김포 장릉(金浦 章陵) ... 324

태릉·강릉
(泰陵·康陵)
Taegangneung
제11대 중종의 계비 문정황후 태릉(泰陵) Taereung ... 331
-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른 문정왕후
제13대 명종 강릉(康陵) Gangneung ... 336
- 문정왕후의 간섭으로 독자적인 국정을 펼치지 못한 군왕
선·정릉
(宣陵·靖陵)
Seonjeongneung
제9대 성종 선릉(宣陵) Seolleung ... 342
- 조선 정치, 문물제도의 기틀을 완성한 성종
제11대 중종 정릉(靖陵) Jeongneung ... 350
- 조광조 등의 신진 사류를 중용, 왕도정치를 시도한 군왕


의릉(懿陵)
Uireung
제20대 경종 의릉(懿陵) Uireung ... 354
- 신병과 당쟁의 와중에서 불운한 일생을 마친 군왕

헌·인릉
(獻·仁陵)
Heonilleung
제3대 태종 헌릉(獻陵) Heolleung ... 362
- 새로운 왕조 조선의기틀을 마련한 군왕
제23대 순조 인릉(仁陵) Illeung ... 371
- 안동 김씨의 60년 세도 정치의 시작

기타 용어 해설 ... 379
조선 왕릉 키워드 ... 382
조선 왕릉 계보 ... 384

도서소개

잃어버린 왕조를 품다『조선 왕릉』. 조선 왕릉은 독특 한 한국인의 장묘 문화가 유교와 토착신앙이 어우러진 것으로 연중 치러지는 제례 의식 또한 역사의 전통으로 계승되어 오고 있다. 조선왕릉 전부가 빼어난 자연 경관을 잘 활용하여 조화를 이루고 석물 등의 공간 배치는 빼어난 예술적 가치를 자랑하고 있다. 독특한 분묘의 형태는 사후 도굴을 의식해서인지 깊이 묻혀 진 시신 위로 매우 두꺼운 화강암이 가로막아 중국에 비해 그 규모는 작지만 매우 견고하다. 이것이 온전한 왕릉을 보존케 한 비법이고 조상의 지혜인 것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