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기고 싶은 말 - 박이문을 대신하여
추도사 끊임없이 사유하고 절대진리 꿈꿨던 코스모폴리탄
Prologue_읽는다는 것, 그 끝없는 존재의 확장
Intro_01 책과 나, 박이문
_02 나는 읽는다 고로 존재한다
1부 _ 삶이 있는 서재
Ⅰ. 존재의 이유
01 영원히 울려오는 안티고네
- 장 아누이, 『안티고네』
02 구원을 꿈꾼 구도자
- 레이 몽크,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
03 모든 이성이여, 꺼져라!
- 도스토옙스키, 『지하생활자의 수기』
04 우주를 밝히는, 생각하는 갈대
- 블레즈 파스칼, 『팡세』
05 나는 타자他者다
- 이준오, 『아르튀르 랭보 타자성』
Ⅱ. 지속가능한 꿈의 이유
06 ‘아 꿈처럼 흐르는’ 순수의 시
- 박희진, 『초기시집』
07 불멸의 고전, 그 안에 해답이 있다
- 왕필, 『왕필의 노자주』
08 문학의 뿌리에서 소환한 동양의 신들
- 정재서, 『사라진 신들과의 교신을 위하여』
09 꿈의 세계로 인도하는 생각하는 동화
- 악셀 하케, 『세상에서 가장 작은 임금님』
Ⅲ. 그래도 이 삶이 멋진 이유
10 ‘왜?’에 대한 책임, 그게 바로 자유
- 라이너 에를링어, 『거짓말을 하면 얼굴이 빨개진다』
11 쥐가 인간보다 놀라운 지능을 가진다면
- 아더 카플란, 『똑똑한 쥐 vs 멍청한 인간』
12 세계는 내게 단 한 번 주어진다
- 에르빈 슈뢰딩거, 『생명이란 무엇인가 : 정신과 물질』
13 우리는 어디서, 어떻게 왔는가?
- 에른스트 마이어, 『이것이 생물학이다』
14 ‘모든 것의 이론’을 위해 영혼을 판 파우스트의 후예들
- 에드워드 윌슨, 『통섭』
2부 _ 시대를 읽는 서재
Ⅰ. 서구 문명, 희망인가 절망인가
15 지知와 성聖의 이중주
- 움베르토 에코·마르티니, 『무엇을 믿을 것인가』
16 세상의 모든 ‘억울한’ 무신론자에게 고함
- 리처드 도킨스, 『만들어진 신』
17 새로운 문명 탄생에 거는 희망
- 리처드 타나스, 『서구 정신의 정열』
18 신이 구원해주기만 기다려야 하나?
- 헬레나 노르베리-호지, 『오래된 미래』
19 공존이 있어야 미래도 있다
- 빌 조이, 「미래에 왜 우린 필요없는 존재가 될 것인가」
Ⅱ. 21 세기 한국의 가치는 무엇인가
20 물과 기름이 만난다고?
- 도정일·최재천, 『대담』
21 자부심과 열등감의 사이
- 정수복, 『한국인의 문화적 문법』
22 역사와 이념을 뛰어넘은 한 여자의 사랑
- 이숙의, 『이 여자, 이숙의』
23 영어, 공용公用인가 공용共用인가?
- 정시호, 『21세기의 세계 언어전쟁』
24 지금 당신이 서 있는 그 자리
- 김종철, 『간디의 물레』
Ⅲ. 포스트모더니즘, 어디로 가고 있나
25 여성성으로 풀어낸 사랑의 가치
- 정대현, 『다원주의 시대와 대안적 가치』
26 나를 알고 싶다면 몸을 사유하라
- 정화열, 『몸의 정치』
27 ‘예술작품’으로 불리는 ‘난해한 쓰레기들’의 비밀
- 아서 단토, 『예술의 종말 이후』
28 ‘차이’는 모두 근본적이고 영원한가?
- 장회익·최종덕, 『이분법을 넘어서』
29 놀이로서의 철학이 낳은 창조물
- 정해창, 『철학의 종언, 그 새로운 시작』
3부 _ 철학을 담은 서재
Ⅰ. 서양 철학의 큰 산들을 찾아서
30 모든 것은 바로 이곳에서 시작되었다
- 데카르트, 『방법서설』
31 아! 칸트! 아! 이 친구!
- 칸트, 『순수이성비판』
32 선과 악, 가치의 재전도
- 니체, 『도덕의 계보』
33 ‘마르크스’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 마르크스·엥겔스, 『공산주의 선언』
34 인생은 헛된 수난
- 사르트르, 『존재와 무』
35 해체된 철학의 종말
- 데리다, 『목소리와 현상』
36 반反철학적 거인과 싸우는 정통 철학 소년
- 바디우, 『조건들』
Ⅱ. 말할 수 없는 것들을 찾아서
37 내가 당신과 소통할 수 없는 이유
- 토마스 쿤, 『과학혁명의 구조』
38 인연은 우연이다
- 자크 모노, 『우연과 필연』
39 시詩가 된 철학
- 레이코프·존슨, 『몸의 철학』
40 과학은 새로운 신인가?
- 폴 데이비스, 『현대물리학이 발견한 창조주』
41 ‘진짜’ 철학자의 철학 그림
- 이진경, 『철학과 굴뚝청소부』
42 유전공학 시대의 형이상학
- 소흥렬, 『문화적 자연주의』
Outro_인터뷰 열정으로 행동하는 허무주의 철학자, 박이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