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신제악부 정악부

신제악부 정악부

  • 원진
  • |
  • 지식을만드는지식
  • |
  • 2012-12-27 출간
  • |
  • 138페이지
  • |
  • 148 X 210 mm
  • |
  • ISBN 9788966806225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6,2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음풍농월(吟風弄月). 자연 속에서 한가롭게 서정을 노래하는 시. 우리가 가지고 있는 당시(唐詩)에 대한 인상이다. 정말 그런 시만 있었을까? 당나라에도 당연히 현실을 비판하고 백성의 질고를 반영한 사회시가 있었다. 이른바 ‘신악부’다. 신악부 운동을 주도한 원진의 <신제악부>와 피일휴의 <정악부>를 한데 모았다. 아름다운 것만이 시는 아니다. 시를 통해 사회를 개혁해 지식인의 소임을 다하려 했던 당대 문인들의 고뇌를 엿볼 수 있다.

출판사 책 소개
악부(樂府)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다. 하나는 한나라 때 무제(武帝)가 설치한 관청의 이름이다. 다른 하나는 관청인 악부에서 채집한 각 지방의 민가(民歌)와 그곳에서 작곡해 조정의 연회나 행사 때에 부르던 노래를 가리킨다. 이러한 노래의 가사를 악부시(樂府詩)라고 칭했다. 이는 ≪시경≫의 채시(採詩) 제도의 전통을 계승한 것이다. 이들 시의 내용 역시 ≪시경≫의 국풍과 마찬가지로 남녀의 사랑, 전쟁과 부역에서 비롯된 백성의 질곡, 지나친 수탈에 따른 사회의 모순 등을 백성들의 소박한 언어로 드러낸 것이 주종을 이루었다.
당나라에 들어서서 근체시인 율시(律詩)가 나옴에 따라 노래 가사로서 시의 역할은 점점 줄어들고 낭송하는 것으로 바뀌게 된다. 악부시도 이러한 경향에서 예외가 아니어서 음악과 분리되고 낭송을 전제로 하는 작품이 점점 늘어나게 되었다.
신악부는 새로운 제목으로 당대의 현실을 반영하고 비판한 악부 형태의 시를 말하는 것이다. 두보가 창시했고, 원결(元結), 고황(顧況) 등이 계승했으며 원진과 백거이 때에 와서는 사실주의 시가 운동으로 발전했다. 따라서 이후의 악부시는 현실을 비판하고 풍자하는 사실주의 계통의 시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보아도 무리가 없을 것 같다. 다시 말하면 악부시 본래의 음악적인 면은 배제하고 ≪시경≫에서 비롯된 현실 비판과 사회 풍자의 사실주의 사회시라는 정신을 계승한 것이 바로 신악부라고 볼 수 있다.
신악부 운동이 일어나게 된 배경은 755년에 폭발한 안사(安史)의 난이다. 이후 흥성하던 당 왕조는 쇠락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즉, 중앙의 통치 권력이 약해지고 지방의 할거 세력이 늘어나게 되었으며, 환관들이 발호해 백성에 대한 수탈이 점점 심해져서 사회의 모순이 점점 첨예해지고 있었다. 그 후 잠시의 안정기를 거치기는 했지만 한 번 악화일로로 치닫기 시작한 사회의 모순은 좀처럼 회복되지 않고 점점 심화되어 갈 뿐이었다. 이러한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당시의 지식인들이 정치 면에서 여러 가지 개혁적인 주장을 내어 놓았고 문학에서도 문풍(文風)의 혁신을 통해 사회 개혁에 이바지하려는 주장들이 나오게 되었다. 이것이 산문에서는 고문(古文) 운동이고 시가에서는 신악부 운동이다.
본서에 실린 원진의 <신제악부(新題樂府)>12수는 원화(元和) 4년을 전후해서 창작된 것으로 이신(李紳)의 <신제악부> 20수 중에서 선택해 창화한 것이다. 다만 아쉽게도 이신의 작품은 현재 전해지지 않아 그 원래의 모습을 볼 수 없다.
이들 중당대의 현실주의적 사실주의 시가 작품은 만당(晩唐)의 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 대표 인물로 피일휴(皮日休)ㆍ섭이중(?夷中)ㆍ두순학(杜荀鶴)을 들 수 있다. 이들 역시 신악부의 형태로 당대의 현실을 비판하고 폭로ㆍ풍자하는 작품을 많이 남기고 있다. 이 중 피일휴의 <정악부(正樂府)> 10수는 연작시 형태로 신악부 운동의 전통을 계승해서 사회의 폐단을 폭로하고 공격하면서 풍자하는 현실성이 강한 우수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신제악부
해제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3
서 序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4
상양궁의 머리 센 궁녀 上陽白髮人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6
화원의 경쇠 華原磬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1
오현의 연주 五弦彈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5
서량의 기녀 西?伎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20
법곡 法曲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24
길들인 코뿔소 馴犀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28
입부기 立部伎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32
표국의 음악 驃國樂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37
호선을 추는 여인 胡旋女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41
남조의 조회 蠻子朝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45
사로잡힌 오랑캐 縛戎人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50
음산의 길 陰山道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57

정악부
해제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65
서 序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66
병졸 아내의 원망 卒妻怨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68
도토리 줍는 노파의 탄식 橡?嘆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72
탐관오리에 대한 원망 貪官怨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77
농부의 노래 農父謠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81
나그네의 한탄 路臣恨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84
향공을 천시함 賤貢士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87
외국인을 칭송함 頌夷臣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91
후림새를 애석해함 惜義鳥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94
겉치레를 꾸짖음 ?虛器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97
농산의 백성을 슬퍼함 哀?民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00

해설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05
지은이에 대해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13
옮긴이에 대해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36

저자소개

저자 원진(元?, 779∼831)은 원진의 자(字)는 미지(微之)이며, 당 대종(代宗) 대력(大曆) 14년(779)에 하남성(河南省) 낙양(洛陽)에서 태어나 문종(文宗) 대화(大和) 5년(831)에 5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는 시가에서 신악부 운동을 주도했을 뿐만 아니라, 산문체 고문(古文)을 가지고 조서를 씀으로써 변문(騈文)이 주도권을 쥐고 있던 당시의 산문계에도 일종의 혁신을 일으켰다. 또한 제책풍격(制策風格)에 대해서도 일대의 개혁을 가했다. 이는 한유가 고문(古文) 운동을 제창한 것과 같은 영향력이 있었다. 원진은 다방면에 걸쳐 시에 재능을 발휘했는데, 현실을 생동감 있게 반영한 악부시 외에 서정을 서술하는 데에도 뛰어난 재능을 보여 주었다.

도서소개

인류의 유산으로 남을 만한 작품만을 선정하여 소개하는 「지식을만드는지식 시선집」시리즈 『신제악부 정악부』. 신악부 운동을 주도한 원진의 <신제악부>와 피일휴의 <정악부>를 한데 모았다. 시를 통해 사회를 개혁해 지식인의 소임을 다하려 했던 당대 문인들의 고뇌를 엿볼 수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