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제갈량 문집

제갈량 문집

  • 제갈량
  • |
  • 지식을만드는지식
  • |
  • 2012-12-05 출간
  • |
  • 258페이지
  • |
  • 148 X 210 X 20 mm
  • |
  • ISBN 9788966805785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6,2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제왕이 아니었다. 혁혁한 전공을 세운 장군도 아니요, 자신의 주군을 천하의 주인으로 만들지도 못했다. 그러나 우리는 삼국지의 그 누구보다도 더 뚜렷이 그의 이름을 기억한다. 무엇이 그를 이토록 유명하게 만들었을까? 소설에서, 영화에서, 고사성어에서, 우리는 여러 형태로 포장된 제갈량을 만나 왔다. 그러나 이제 가공된 형상이 아니라 진실 그대로의 그를 만날 때다. 그가 남긴 글 한 편 한 편에는 정치에 대한 포부, 신념 등 정치가로서의 모습뿐 아니라 자기반성과 자식에 대한 사랑 등 한 인간으로서의 고뇌가 그대로 묻어 있다.

제갈량은 위(魏)ㆍ촉(蜀)ㆍ오(吳) 삼국시대에 실존했던 역사적인 인물이다. 문학이나 영화, 드라마 등에서 무소불위의 인물로 형상화되면서 한국과 일본에도 널리 알려졌다. 그는 ‘삼고초려(三顧草廬)’, ‘적벽대전(赤壁大戰)’ 등의 역사적 사건을 근거로 해서 다양한 작품에서 신출귀몰한 예지와 신선 같은 풍모를 지닌 신비한 인물로 묘사되었다. 그러나 대개의 작품에서 그를 지나치게 허구적인 인물로 과장하고 있다. 이는 각 작품들이 시대적 요구와 가치관의 변화를 수용한 결과다. 그러나 이런 과장된 모습이 그의 진면목은 아니다.
이 책의 목적은 삼국시대라는 역사적 배경에서 실존했던 제갈량의 진면목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들을 엄선해 작품을 선별했다. 저자가 생존했던 시기와 근접한 진(晉), 수(隋), 당(唐) 시대 사료인 ≪삼국지(三國志)≫, ≪수경주(水經注)≫, ≪북당서초(北堂書抄)≫, ≪태평어람(太平御覽)≫ 등에 수록된 관련 자료를 선택해서 원문을 명시하고 내용을 해석했다. 설명이 필요한 경우에는 비교적 상세히 주석을 달았다.
제갈량은 문집류 같은 독립된 저술을 남기지는 않았다. 동한(東漢)과 삼국시대는 전쟁과 혼란으로 점철된 격랑(激浪)의 시대였다. 이러한 시대를 살면서 일관된 사상을 대변하는 저술을 남기기란 쉽지 않았을 것이다. 장편의 철학적ㆍ 문학적인 그의 글은 남아 있지 않다. 그러나 촉한의 중신으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남긴 글에는 시대적 가치와 실사구시를 실천하고자 했던 고뇌와 깊은 뜻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목차

1. 초려에서 나눈 문답(草廬對)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3
2. 후제를 대신해 쓴 조위 정벌을 알리는 조서(爲後帝伐魏詔詔書)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1
3. 돌아가신 황제의 유언 선포를 요청하는 표문(請宣大行皇帝遺詔表)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23
4. 남방의 정벌 상황을 알리는 표문(南征表) ㆍㆍㆍㆍㆍ27
5. 출사표(出師表)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30
6. 후출사표(後出師表)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41
7. 여개를 천거하는 표문(薦呂凱表) ㆍㆍㆍㆍㆍㆍㆍㆍㆍ54
8. 이평을 탄핵하는 표문(彈李平表) ㆍㆍㆍㆍㆍㆍㆍㆍㆍ56
9. 요립을 탄핵하는 표문(彈廖立表) ㆍㆍㆍㆍㆍㆍㆍㆍㆍ60
10. 요립을 다시 탄핵하는 표문(又彈廖立) ㆍㆍㆍㆍㆍㆍ63
11. 사건을 아뢰는 표문(上事表)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66
12. 기산 사건을 아뢰는 표문(祁山表) ㆍㆍㆍㆍㆍㆍㆍㆍ68
13. 장완을 추천하는 비밀 표문(擧蔣琬密表) ㆍㆍㆍㆍㆍ70
14. 후주에게 올리는 표문(自表後主) ㆍㆍㆍㆍㆍㆍㆍㆍ72
15. 상서에 올리는 공문(公文上尙書) ㆍㆍㆍㆍㆍㆍㆍㆍ75
16. 감 부인을 소열황후로 추존할 것을 아뢰는 글(上言追尊甘夫人爲昭烈皇后)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84
17. 가정에서 자신의 강등을 요청하는 상소(街亭自貶疏) 90
18. 정의에 대해서 논의하다(正議) ㆍㆍㆍㆍㆍㆍㆍㆍㆍ93
19. 맹약을 파기하는 것이 좋다는 주장에 대한 논의(絶盟好議)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99
20. 법정에게 답변한 서신(答法正書) ㆍㆍㆍㆍㆍㆍ104
21. 관우에게 답변하는 서신(答關羽書) ㆍㆍㆍㆍㆍㆍㆍ107
22. 두미에게 보내는 서신(與杜微書) ㆍㆍㆍㆍㆍㆍㆍㆍ110
23. 두미에게 답변하는 서신(答杜微書) ㆍㆍㆍㆍㆍㆍㆍ113
24. 유파에게 보내는 서신(與劉巴書) ㆍㆍㆍㆍㆍㆍㆍㆍ116
25. 이엄에게 답변하는 서신(答李嚴書) ㆍㆍㆍㆍㆍㆍㆍ118
26. 이엄에게 다시 보내는 서신(又與李嚴書) ㆍㆍㆍㆍ121
27. 장예에게 보내는 서신(與張裔書) ㆍㆍㆍㆍㆍㆍㆍㆍ123
28. 장예와 장완에게 보내는 서신 1(與張裔ㆍ蔣琬書 1)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26
29. 장예와 장완에게 보내는 서신 2(與張裔ㆍ蔣琬書) ㆍ128
30. 장완과 동윤에게 보내는 서신(與蔣琬ㆍ董允書) ㆍ130
31. 맹달에게 보내는 서신(與孟達書) ㆍㆍㆍㆍㆍㆍㆍㆍ132
32. 보즐에게 보내는 서신(與步즐書) ㆍㆍㆍㆍㆍㆍㆍㆍ136
33. 육손에게 보내는 서신(與陸遜書) ㆍㆍㆍㆍㆍㆍㆍㆍ138
34. 손권에게 보내는 서신(與孫權書) ㆍㆍㆍㆍㆍㆍㆍㆍ140
35. 조운이 적애의 잔도를 소각한 일에 대해 형 제갈근에게 알리는 서신(與兄瑾言趙云燒赤崖閣道書) ㆍ143
36. 형 제갈근에게 홍수로 인해 잔도가 파괴된 일에 대해 보내는 서신(與兄瑾言大水赤崖橋閣悉壞書) ㆍ145
37. 수양곡 길에 대해 형에게 알리는 서신(與兄瑾言治綏陽谷書)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47
38. 진진에 대해 형에게 알리는 서신(與兄瑾論陳震書) 149
39. 손송에 관해 형 제갈근에게 알리는 서신(與兄瑾言孫松書)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51
40. 아들 교에 대해서 형 제갈근에게 알리는 서신(與兄瑾言子喬書)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53
41. 아들 첨에 대해 형 제갈근에게 알리는 서신(與兄瑾言子瞻書)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55
42. 아들을 훈계하는 서신(誡子書) ㆍㆍㆍㆍㆍㆍㆍㆍㆍ157
43. 아들을 재차 훈계하는 서신(又誡子書) ㆍㆍㆍㆍㆍ159
44. 외조카를 훈계하는 서신(誡外生書) ㆍㆍㆍㆍㆍㆍㆍ161
45. 법정에 대한 답변과 질문(爲法正答或問) ㆍㆍㆍㆍ164
46. 죄인의 사면이 인색하다는 의견에 대한 답변(答惜赦)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67
47. 강유에게 답하는 글(答姜維)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70
48. 이풍에게 보내는 교서(與李豊敎) ㆍㆍㆍㆍㆍㆍㆍㆍ172
49. 내민을 파면하는 교서(黜來敏敎) ㆍㆍㆍㆍㆍㆍㆍㆍ176
50. 요주를 칭찬하는 교서(稱姚주敎) ㆍㆍㆍㆍㆍㆍㆍㆍ179
51. 군신 속관에게 내리는 교서(與群下敎) ㆍㆍㆍㆍㆍ181
52. 재차 군신 속관에게 내리는 교서(又與群下敎) ㆍㆍ184
53. 참군과 연속에게 보내는 교서(與參軍연屬敎) ㆍㆍ186
54. 장병에게 자신의 과실 지적을 권하는 교서(勸將士勤攻己闕敎)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88
55. 군령(軍令)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91
56. 팔진도법(八陳圖法)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93
57. 목우와 유마를 만드는 방법(作木牛流馬法) ㆍㆍㆍ196
58. 군사들이 긴 강을 건너는 첩(師徒遠涉帖) ㆍㆍㆍㆍ202
59. 교유에 관해 논함(論交)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204
60. 선제에게 황충에 대해서 논함(與先帝論黃忠) ㆍㆍ206
61. 마속 참수에 관해서 논함(論斬馬謖) ㆍㆍㆍㆍㆍㆍ208
62. 장완을 재차 칭찬함(又稱蔣琬) ㆍㆍㆍㆍㆍㆍㆍㆍㆍ210
63. 양보음(梁甫吟)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212

해설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217
지은이에 대해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250
옮긴이에 대해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256

저자소개

저자 제갈량(諸葛亮ㆍ181∼234)은 중국 삼국시대의 저명한 정치가다. 자(子)는 공명(孔明)이고 동한시대 영제(靈帝) 광화 4년(181) 7월 23일에 서주의 낭야군 양도현에서 태어났다. 부친 제갈규(諸葛珪)는 태산군의 승(丞)을 지냈고, 세 명의 아들과 두 명의 딸을 두었다. 첫째 아들이 제갈근(諸葛瑾), 둘째 아들이 제갈량(諸葛亮), 막내아들이 제갈균(諸葛均)이었다. 제갈량은 어릴 적에 생모인 장씨(章氏)가 병으로 사망했고, 이에 부친은 얼마 후에 재가했다. 이후 부친 역시 영제 중평(中平) 6년(188)에 사망하고 말았다. 이때에 제갈량은 나이 겨우 8세로 그의 가족 모두는 숙부인 제갈현(諸葛玄)에게 기탁했다. 제갈현은 예장 태수로 부임하며 어린 제갈량, 제갈균과 두 명의 조카딸들을 데리고 갔고, 나이가 많은 제갈근과 그 계모는 고향에 남겨 두었다. 형주목 유표에게 의탁한 제갈현을 따라 양양에 거주하던 제갈량은 제갈현 사후 방덕의 보살핌으로 양양의 서쪽 교외인 융중에서 농사일과 독서를 하며 은거 생활을 했다. 건안 12년(207) 유비의 삼고초려를 통해 유비의 군사가 되었다. 그는 조조와 대항하기 위해 손권과 동맹을 맺고 촉한과 한실의 부흥을 위해 노력했다. 건흥 원년(223) 유비가 백제성에서 대패한 후 사망하자 그 아들 유선을 후주로 즉위시키고 보필했으며 촉한의 내정에 주력했다. 이후 중원을 평정하기 위해 6차례에 걸쳐 북벌을 단행했으나 군량미 부족 등 여러 원인으로 실패하고 건흥 12년(234) 과로로 인해 오장원에서 사망했다.

도서소개

제왕이 아니었다. 혁혁한 전공을 세운 장군도 아니요, 자신의 주군을 천하의 주인으로 만들지도 못했다. 그러나 우리는 삼국지의 그 누구보다도 더 뚜렷이 그의 이름을 기억한다. 무엇이 그를 이토록 유명하게 만들었을까? 소설에서, 영화에서, 고사성어에서, 우리는 여러 형태로 포장된 제갈량을 만나 왔다. 그러나 이제 가공된 형상이 아니라 진실 그대로의 그를 만날 때다. 그가 남긴 글 한 편 한 편에는 정치에 대한 포부, 신념 등 정치가로서의 모습뿐 아니라 자기반성과 자식에 대한 사랑 등 한 인간으로서의 고뇌가 그대로 묻어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