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두순학 시선

두순학 시선

  • 두순학
  • |
  • 지식을만드는지식
  • |
  • 2012-10-23 출간
  • |
  • 180페이지
  • |
  • 148 X 210 mm
  • |
  • ISBN 9788966805730
판매가

22,000원

즉시할인가

19,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두순학(杜荀鶴)은 당대(唐代) 말기에 활동했던 저명한 시인이다. 846년에 태어났으며, 자(字)는 언지(彦之)이고, 호(號)는 구화산인(九華山人)이다. 당대 소종(昭宗) 천우(天祐) 원년인 904년에 세상을 떠났다.
지방의 작은 부호 집안에서 태어난 두순학은 경제적으로는 그다지 어렵지 않았다. 그러나 과거 시험을 준비하고 장안으로 가서 응시하는 중에 사대부 집안에서 태어나지 않은 것을 한탄했다. 특히 당대 말기의 다양한 정치·사회적 혼란은 험난한 인생을 살게 만들었다. 특히 거듭된 과거에서의 낙방으로 그는 울분과 실의의 고통 속에 살았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전국을 유랑하면서 많은 경험을 쌓았고, 직접 황소(黃巢)의 난을 겪으면서 당시의 현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인생의 경험은 바로 그의 시가에 그대로 녹아들었다.
두순학의 창작 사상을 보면, 기본적으로는 유가(儒家)의 현실주의 정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인생의 행로에서 다양한 사상적 면모를 보이고 있으며, 수시로 은일의 사상과 개인의 불우한 처지에 대한 감상(感傷)을 드러내고 있다.
두순학의 시는 ≪전당시(全唐詩)≫에 326수가 전하고 있는데, 모두 근체시로 창작했다는 특징이 있다. 그중 오언율시(五言律詩)가 127수, 칠언율시(七言律詩)가 140수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의 시문집은 두순학이 스스로 엮은 ≪당풍집(唐風集)≫ 세 권이 ≪사고전서(四庫全書)≫ 1083책(冊)에 전해지며, 단행본으로는 1959년 중화서국(中華書局)에서 출판한 ≪섭이중시(?夷中詩)·두순학시(杜荀鶴詩)≫가 있고, 후쓰쿤(胡嗣坤)과 뤄친(羅琴)이 2004년 바수서사(巴蜀書社)에서 펴낸 ≪두순학과 그 당풍집 연구(杜荀鶴及其唐風集硏究)≫가 전반적으로 두순학 시에 대한 교감(校勘)과 주석(注釋)을 달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 자료를 수집해 정리하고 있다.

목차

권1 근체 오언시 126수 중에서
봄날 궁녀의 원망 春宮怨 ··············3
도사를 방문했지만 만나지 못하고 訪道者不遇 ·····5
오로 유람 가는 벗을 보내며 送人遊吳 ·········7
오월로 유람 가는 벗을 보내며 送友遊吳越 ·······9
봄날에 길을 걸으며 途中春 ·············11
전도의 스님이 거하는 절로 제목을 달아 題戰島僧居 ··13
벗의 시문을 읽고 讀友人詩卷 ············15
당숙에게 부쳐 寄從叔 ···············17
산중에서 벗에 부쳐 山中寄友人 ···········19
악록사로 제목을 달아 題岳麓寺 ···········21
여악의 서재를 회상하며 懷廬岳書齋 ·········23
벗과 이별을 고하며 與友人話別 ···········25
자각봉의 은자를 생각하며 懷紫閣隱者 ········27
황 보궐이 남쪽으로 귀양 가는 것을 배웅하며 送黃補闕南遷 ·····················29
강주자사가 된 벗을 보내며 送友人牧江州 ·······31
가도의 묘를 지나며 經賈島墓 ············33
벗과 술을 마시며 노래하다 與友人對酒吟 ·······35
모산으로 유람 가는 구화산의 도사를 송별하며 送九華道士遊茅山 ···················37
고운에게 부쳐 寄顧雲 ···············39
전란 후에 산중에서 짓다 亂後山中作 ·········41
여관에 머물며 심정을 토로하다 旅寓書事 ·······43
낙제 후 길을 나서며 정 습유에게 바치다 下第出關投鄭拾遺 ·····················45
변방에서 塞上 ··················47
경 시랑과 이별하며 別敬侍郞 ············49
가을 산중에서 이 처사에 부쳐 秋日山中寄李處士 ····51
전당에서 나은과 이별하며 錢塘別羅隱 ········53
청산을 지나며 이백을 조문해 經靑山弔李翰林 ·····55
산사에 올라 登山寺 ················57
고민하며 시를 짓다 苦吟 ··············59
변방에서 다친 병사 塞上傷戰士 ···········61
봄날 한가롭게 생활하는데 일이 생각나서 春日閑居卽事 ·63
덕청을 다스리는 이와 헤어지며 送人宰德淸 ······65
이몽 노인에게 드리며 贈李蒙 ···········67
궁궐 수로의 버드나무 禦溝柳 ············69

권2 근체 칠언시 140수 중에서
늦겨울 벗과 함께 소상에 배를 띄우고 冬末同友人泛瀟湘 ·73
여관에 묵었다가 마을에서 반란군을 만났기에 벗에게 쓴다旅泊遇郡中叛亂示同志 ············75
눈 雪 ······················77
여악의 유 처사 초당에 부쳐 題廬岳劉處事草堂 ·····79
늦겨울에 장사에서 계령으로 가면서 아는 이에게 드리다 冬末自長沙遊桂嶺留獻所知 ···········81
동관을 지난 후 안륙에서 전란을 만나다 將入關安陸遇兵寇 ······················83
봄날 산에 거하며 벗에게 부쳐 春日山居寄友人 ·····85
산속의 과부 山中寡婦 ···············87
전쟁 후 촌락의 노인을 만나 亂後逢村 ········89
낙제 후 동쪽으로 돌아가다가 짓다 下第東歸道中作 ···91
여름에 장 산인의 숲 정자에서 夏日留題張山人林亭 ···93
잃어버린 벗에 통곡하며 哭山友 ···········95
전란 후에 글을 써서 벗에게 부치다 亂後書事寄同志 ···97
낙제 후 알고 있는 분에게 드리며 下第投所知 ·····99
백발을 노래하며 白髮吟 ··············102
산중에서 눈을 마주하며 시를 짓다 山中對雪有作 ···104
구 처사가 근교에서 거하는 것으로 제목을 삼아 題仇處士郊居 ····················106
장안에서 봄에 감정이 일어 長安春感 ········108
촌락의 집에 머물면서 題所居村舍 ··········110
마음을 달래다 遣懷 ················112
장안의 길에서 시를 짓다 長安道中有作 ········114
개원사의 정문 누각으로 제목을 붙여 題開元寺門閣 ··116
조카의 서당에 쓰다 題弟侄書堂 ···········118
성에 올라 시를 짓다 登城有作 ···········120
동림사에 묵으면서 원공원으로 제목을 삼아 宿東林寺題願公院 ···················122
산에 거하며 스스로 마음을 달래다 山居自遣 ·····124
늦겨울 양주에서 머물며 막부에서 종사하는 두 벗에게 부치다 維揚冬末寄幕中二從事 ··········126
스스로 말하다 自敍 ················128
강서로부터 구화산에 돌아가서 自江西歸九華 ·····130

권3 근체 오언칠언 절구 52수 중에서
느낌이 일어 시에 기탁하며 感寓 ··········135
또다시 호성현을 지나며 再經胡城縣 ·········136
누에 치는 아낙 蠶婦 ···············138
시냇가의 흥취 溪興 ················140
소호를 지나며 過巢湖 ···············141
협석현의 병든 노인을 보며 슬퍼하다 傷峽石縣病 ··142
밭 가는 노인 田翁 ················143
꽃나무 병풍으로 제목을 삼아 題花木障 ·······145
난성의 역전에서 묵다가 상산의 장 서기에 부쳐 宿欒城驛却寄常山張書記 ················147
떠돌이의 심정 旅懷 ················149
질 상인에게 드리며 贈質上人 ············151
관시 후에 연회에서 함께 급제한 동료와 헤어지며 關試後筵上別同人 ·················152
객사에서 비를 만나 旅舍遇雨 ············154
스스로 마음을 달래며 自遣 ············156
두견새 소리 들으며 聞子規 ············158
가을밤 고민하며 시를 짓다 秋夜苦吟 ········160
작은 소나무 小松 ·················162

해설 ······················163
지은이에 대해 ··················174
옮긴이에 대해 ··················178

저자소개

저자 두순학(杜荀鶴)은 당대(唐代) 무종(武宗) 회창(會昌) 6년인 846년에 태어났으며, 자(字)는 언지(彦之)이고 호(號)는 구화산인(九華山人)이다. 당대(唐代) 소종(昭宗) 천우(天祐) 원년인 904년에 세상을 떠났다. 두순학이 태어난 시기는 바로 당대 말기로 다양한 혼란이 산재해 있었다. 내부적으로는 환관(宦官)의 전횡과 당쟁(黨爭)으로 정치적 혼란이 있었으며, 외부적으로는 번진(藩鎭)의 발호와 이민족의 침략이 끊이지 않았다. 이런 혼란은 결국 907년 당 제국의 멸망을 초래하게 되었는데, 두순학은 이런 혼란을 직접 겪으며 당 멸망 직전인 904년 세상을 떠났다. 두순학은 당대 말기의 전반적인 혼란 속에서 자신의 이상을 추구하며 입신양명하고자 했지만, 다양한 국가 혼란과 사회 부패 속에서 불우한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었다.

도서소개

『두순학 시선』에는 좌절과 분노, 비판이 가득한 두순학의 시의 근본에는 고통 받는 백성에 대한 연민과 이를 바로잡으려는 의지가 들어 있다. 오늘날의 우리에게 의미 있는 깨달음을 전해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