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대령의 사진

대령의 사진

  • 외젠 이오네스코
  • |
  • 지식을만드는지식
  • |
  • 2012-07-13 출간
  • |
  • 283페이지
  • |
  • 148 X 210 mm
  • |
  • ISBN 9788966805020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6,2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6,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이오네스코의 소설들은 극작품을 예고한다. 부조리극 작가로서의 명성에 가려져 극작품들보다 주목을 덜 받은 일곱 편의 중ㆍ단편소설(<깃발>, <대령의 사진>, <공중 보행자>, <의무의 희생자>, <코뿔소>, <수렁>, <1939년 봄>)이 실려 있다. 이 소설들은 해당 연극을 이해하는 데 어떤 설명이나 해석의 단서를 제공한다. 이오네스코가 연극 무대를 상상하면서 소설을 썼다고 밝힌 바 있듯이 소설 속의 인물, 대화와 이미지들은 그 자체로 연극의 설계도를 연상시킬 것이다.

이오네스코에게 연극과 소설은 상호 텍스트적인 특성을 지닌다. 외젠 이오네스코는 부조리극 작가로 알려져 있지만 일곱 편의 장ㆍ단편소설을 발표한 소설가이기도 하다. 그의 소설들이 극작품에 비해 대중적으로 주목을 덜 받는 것은, 아마도 그가 <대머리 여가수>, <코뿔소> 등으로 얻은 극작가로서의 명성에 가려져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오네스코의 소설적 글쓰기는 연극적 입체성과 조형성을 띤 독특한 형식이라고 볼 수 있다. 작가 자신도 연극 무대를 상상하면서 소설을 썼다고 밝힌 바 있다.

《대령의 사진》은 1962년 갈리마르에서 처음 출간되었다. “이야기들(recits)”이라는 부제가 붙은 이 책은 여섯 편의 이야기 <깃발>, <대령의 사진>, <공중 보행자>, <의무의 희생자>, <코뿔소>, <수렁>과 <1939년 봄>이라는 단편 일기로 구성되어 있다.

<깃발>은 1954년 《누벨 르뷔 프랑세즈》 2월호에 실린 작품이다. 일인칭 소설로 화자인 나와 아내 마들렌, 이들과 함께 아파트에 기거하고 있는 시체에 대한 이야기다.
작가가 1953년 8월 세리지-라-살에서 <아메데 혹은 어떻게 그것을 제거할 것인가>라는 제목의 희곡으로 개작했고, 이것은 1954년 4월 14일 파리의 바빌롱 극장에서 장-마리 세로의 연출로 초연되었다. 3막의 희극으로 소설 속의 화자는 아메데 뷔치니오니라는 이름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기괴함과 환상은 무대 장식에서 더욱 허구적으로 드러나며 이야기 속의 사건들은 연극적 공포 속에서 서서히 드러난다. 작가는 시체는 원죄와 원천적인 오류, 지속적으로 흘러가는 시간과 더불어 점차 나와 아내 즉 부부의 삶을 갈라놓는 시간을 물질화한 것이라고 말한다.
<대령의 사진>은 일인칭 중편소설로, 이오네스코가 소설집을 발간하면서 책의 제목으로 선택한 만큼 그가 중시하고 애정을 가진 작품일 것이다. 1955년 11월 1일 《누벨 르뷔 프랑세즈》에 발표되었다. 작가가 1957년에 3막의 희곡 <증거 없는 살인자>로 개작했으며, 이것은 1959년 2월 조제 카글리오의 연출로 레카미에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이 연극에서 소설 속의 ‘나’는 베랑제라는 이름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이 인물의 등장과 함께 이오네스코의 극작술은 베랑제 사이클이라고 불리며 큰 변화를 가져왔다. 범죄에 무관심한 법의 집행관들, 즉 경찰관들의 미스터리를 보여 준다. 작가는 악 앞에서 무능한 인간들, 그리고 신은 어떻게 사탄을 통해 피조물을 타락시키고 악마가 유입되도록 방치하고 있는지 악의 형이상학적 존재에 대해 묻는다.
<공중 보행자>는 이카로스의 추락에 관한 이야기다. 이오네스코에 의해 동명의 희곡으로 각색되어 1963년 2월 8일 파리 오데옹 국립극장에서 장-루이 바로의 연출, 자크 노엘의 무대 장치로 초연되었다.
이오네스코는 이 소설에서 마치 글쓰기에 대한 개인적 비전을 제시라도 하듯 상상력을 마음껏 펼친다. 주인공에게 꿈을 꾸며 몽환의 세계를 여행할 때는 낙원의 행복한 삶을 겪지만, 현실로 귀환하는 순간 지옥 같은 참혹한 광경이 보인다. 주인공이 본 형상을 통해 이오네스코는 악몽을 물질화하려 한다. 즉 우리가 그런 지옥에 살고 있으면서도 애써 그 모습을 외면하려고 한다는 걸 지적하는 것이다.
<의무의 희생자>는 일인칭 소설로 1952년에 발표한 단편이다. 이오네스코는 이 소설을 <의무의 희생자들>이라는 제목의 희곡으로 개작했는데, 원제의 “희생자”가 복수의 “희생자들”로 바뀌었다. 또한 이 희곡에 “거짓 드라마”라는 부제를 붙였으며 1953년 2월 카르티에라탱 극장에서 자크 모클레르의 연출로 초연되었다. 소설 속의 ‘나’는 심리극의 특성을 띤 이 연극의 주인공인 슈베르로 등장한다. 이오네스코 자신을 투사한 것이다. 인간의 행복을 개인적 이념에 종속시키는 광적인 사람들에 속하는 이들은 자기들이 옹호하는 이념의 순교자들을 의도적으로 만들어 내거나 설정하고 있다.
<코뿔소>는 1957년 9월 《새 문학》에 실렸다. 이오네스코는 이 소설을 동명의 희곡 <코뿔소>로 개작했다. 그것은 1959년 11월 6일 독일 뒤셀도르프의 샤우스필하우스 극장에서 카를-하인츠 슈트루의 연출로 초연되었다. 이어서 1960년 1월 22일 파리 오데옹 국립극장에서 장-루이 바로의 연출로 재공연되었다. 이 소설은 작가의 개인적 경험에 바탕을 두고 있다. 작가는 인간성을 위협했던 잔혹한 전쟁과 나치즘의 광기를 직접 목격했다. 이 작품은 독일의 나치와 같은 파시즘에 대한 풍자며, 그것와 흡사한 독재 권력의 이데올로기, 가부장적 폭력에 저항하는 인간의 드라마다.
<수렁>은 일인칭 소설로 1957년 《계절 수첩》에 처음 게재되었다. 이 소설은 이오네스코의 가장 의미심장한 작품들 중 하나다. 유머러스한 특징이 없고 매우 느리게 진행되며 소설적 구성에 공을 들였다는 점에서 그의 다른 소설들과 다르다. 때때로 어린 시절에 겪은 라 샤펠-앙테네즈의 추억과 풍경들이 부각되기도 한다. 시간의 가속화와 사라짐, 세계와 마주하고 있는 경이로움, 밀실 공포증, 형이상학적 불안, 상승과 추락의 꿈, 죄의식 콤플렉스 등. 어머니 그리고 아내에 대한 추억들이 기억 속에서 뒤섞이고 잃어버린 신발에 대한 재귀적 상징처럼 작가의 몇몇 고정관념은 덧없이 사라지는 기호의 형태로 드러난다. 작가는 이 자전적 소설을 동명의 시나리오로 각색했고, 자신이 영화 속의 주인공으로 등장하기도 했다. 이 영화는 1970년 독일 출신의 하인츠 폰 크라머 연출로, 대부분은 작가가 어린 시절을 보냈던 프랑스 라발 지역의 라 샤펠-앙테네즈에서 촬영되었다. 독일의 쾰른 텔레비전에서 1971년 1월에 처음 방영되었고 이어서 11월 프랑스 팔레 드 샤이요 영화 박물관에서 상영되었다.
<1939년 봄>은 작가가 “추억의 파편들”이라고 부제를 붙인 것처럼 일기의 페이지들이다. 1939년에 이오네스코가 서른 살이 되어 어린 시절 잠시 머물렀던 라 샤펠-앙테네즈를 다시 방문한 후 기억을 되살려 쓴 글 모음이다. 그는 당시를 추억하며 머릿속에 떠오르는 이미지를 자유롭게 단편적으로 써 나갔다. 그곳에서 보낸 2년(1917∼1919)의 전원생활은 미래의 극작가에게 아름다운 기억으로 남았다. 그는 이곳을 잃어버린 낙원으로 표현했다. 물랭의 농장에서 만난 사람들, 함께 놀던 아이들, 주변의 풍경들. 농부 바티스트와 그의 아내 자네트는 아이들에게 애정을 아낌없이 베풀었다. 그들 덕분에 어린 이오네스코는 시골의 정취를 흠뻑 맛볼 수 있었다. 전원의 풍경과 자연의 모습은 이오네스코가 <1939년 봄>에 묘사한 것과 차이가 없었다. 이 마을에서는 매년 3월 이오네스코 연극 축제가 열린다.

목차

깃발
대령의 사진
공중 보행자
의무의 희생자
코뿔소
수렁
1939년 봄

해설
지은이에 대해
지은이 연보
옮긴이에 대해

저자소개

저자 외젠 이오네스코는 1909년 루마니아 슬라티나에서 루마니아인 아버지와 프랑스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프랑스 파리로 이주했다가 루마니아 부쿠레슈티로 복귀했고, 부쿠레슈티대학에서 프랑스 문학을 전공했다. 1930년부터 루마니아 문학지에 글을 발표하기 시작했고, 1934년 평론집 《거부(Nu)》를 출간했다. 프랑스어 교사로 재직 중 1938년 정부 장학금을 받고 ‘보들레르 이후 프랑스 시에 나타난 원죄와 죽음’이라는 주제의 박사 논문을 쓰기 위해 프랑스로 갔다. 1948년 <대머리 여가수> 초고를 작성했고, 이는 1950년 5월 11일 파리 녹탕뷜 극장에서 니콜라 바타유의 연출로 초연되었다. 프랑스로 귀화해 <수업>, <자크 혹은 복종>, <의무의 희생자> 등 지속적으로 극작품을 발표했다. 1951년 2월 20일에 포슈 극장에서 마르셀 퀴블리에의 연출로 <수업>이, 1953년 카르티에라탱 극장에서 자크 모클레르의 연출로 <의무의 희생자>가 초연되었다. 1957년 <대머리 여가수>와 <수업>이 위셰트 극장에서 재공연되기 시작해서 2012년 현재까지 초장기 공연 중이다. 이어서 베랑제 사이클이라 불리는 연작 <증거 없는 살인자>, <코뿔소>, <공중 보행자>, <왕은 죽어 가다>를 발표했다. 1959년 <증거 없는 살인자>가 레카미에 극장에서 조제 카글리오의 연출로 초연되었고, 그해 11월 6일 <코뿔소>가 독일 뒤셀도르프의 샤우스필하우스 극장에서 카를-하인츠 슈트루의 연출로 초연되었다. 1964년 <갈증과 허기>를 발표했고, 이 작품은 1966년 장 마리세로의 연출로 코메디 프랑세즈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1983년에는 로제 플랑숑의 연출로 <스펙터클 이오네스코>가 니스, 릴, 스트라스부르, 르아브르, 안시, 파리 등에서 공연되었다. 1983년 이후 그림에 몰두해 로카르노에서 3월 9일∼4월 5일, 뮌헨에서 3월 11일∼4월 20일, 만하임에서 10월 29일∼11월 20일 개인 전시회를 열었다. 1984년에는 베를린, 생갈, 불로뉴, 파리 그랑팔레에서 10월 20∼28일 전시회를 열었다. 1985년 5월에는 독일 뮌헨에서 <왕은 죽어 가다>가 주터마이스터의 음악을 중심으로 한 오페라로 공연되었다. 그리고 1991년 이오네스코 작품들(희곡 33편)이 《플레야드 총서》로 출간되었다. 이오네스코는 1994년 3월 28일 85세를 일기로 사망했으며, 파리 몽파르나스 묘지에 영면해 있다.

도서소개

외젠 이오네스코의 소설집『대령의 사진』. 부조리극 작가로 알려져 있는 저자가 발표한 소설을 엮은 책이다. 이야기들이라는 부제가 붙은 책으로 ‘깃발’, ‘대령의 사진’, ‘공중 보행자’ 등의 6편의 소설과 ‘1939년 봄’이라는 단편 일기로 구성되어 있다. 연극적 입체성과 조형성을 띤 독특한 형식의 글들을 만나볼 수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