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삼무론

삼무론

  • 윤태진
  • |
  • 밥북
  • |
  • 2015-01-19 출간
  • |
  • 208페이지
  • |
  • 128 X 188 X 20 mm
  • |
  • ISBN 9791185913278
판매가

10,000원

즉시할인가

9,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9,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100세 시대, 무엇을 할 것인가?》
우리는 인생 4부작(학습기, 가정기, 수행기, 철학기)의 장수 100세 시대에 살고 있다. 과거에는 대부분 50~60대에 삶을 마감했으나 지금은 90~100세까지 사는 세상이 되었다. 퇴직을 한 후에도 40~50년(수행기, 철학기)을 더 살아야 한다.
남는 생애 동안 무엇을 할 것인가? 결론적으로 얘기하면 전문적인 수행 또는 취미생활을 해야 한다. 취미생활이란 자신이 재미있게 꾸준히 할 수 있는 인문학, 음악, 미술, 체육에 대한 공부를 말한다. 인문학의 하나로 동양철학, 예를 들면 불가(佛家)사상이나 노장(老莊)사상을 접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런 취미생활을 지속해서 함으로써 그 분야에 대한 나름의 독특한 철학을 얻은 후 내 것으로 확립해야 한다. 이것이 인생 4부작 시대의 후반기(수행기, 철학기)에 해야 할 일이다.

《삼무(무독립, 무불변, 무차별)로 열어가는 마음 혁명과 의식 변화》
『삼무론』은 삼무의 마음가짐, 즉 삼무심(三無心)에 관한 이론으로 인생 4부작 시대 깨달음과 참가치를 얻고 마음의 풍요를 이루도록 안내한다. ‘삼무’란 삼무심(三無心)을 이루는 것으로 무독립심(無獨立心) + 무불변심(無不變心) + 무차별심(無差別心)을 말한다.
삼무심을 갖는 것은 마음 부자가 되는 방법이며, 삼무론은 마음혁명 또는 의식개혁을 위한 운동임을 강조하는 저자는, 책을 통해 자신이 삼무심을 통해 얻은 마음의 평화와 풍요를 불가사상을 바탕으로 전하고 있다. 저자는 삼무심이 평상심이 되고, 역으로 평상심이 삼무심이 될 때 누구든지 자유자재하게 된다면서, 일상의 마음인 평상심을 3무심으로 유지한다면 자유자재 하는 도인의 경지와 다름없음을 알려준다.
책은 그래서 자신의 변화를 원하는 사람이라면 이러한 삼무심을 통해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변화를 이뤄내는 밑바탕을 제공한다. 나아가 불교의 기본 이념을 삼무로 해석하면서, 남전의 아함경(니까야)과 북전의 불경 원문을 함께 인용하고 지금까지 없었던 새로운 방법과 독창적인 이론으로 제시하여, 기초적인 불교 이념을 공부하는 사람에게도 아주 좋은 자료가 된다.

《모든 종교와 이념을 포괄하고 관통하는 메타언어(고차언어), 삼무》
저자는 말한다.
“삼무심을 주로 불가 사상과 연계해서 이야기하였지만 삼무심은 유불선(儒佛仙) 모두를 관통하는 일반적이고도 고차원적인 메타언어(meta-language)다. 확대하면 삼무(무독립, 무불변, 무차별)는 동양철학은 물론 서양철학, 기독교, 알라교 등을 포함한 모든 종교와 이념을 포괄하고 관통하는 메타언어(고차언어)다. 거창하게 종교를 들먹일 필요도 없다. 그냥 일상생활의 ‘평상심 = 삼무심’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면 된다.
과거에는 국부론(아담 스미스, 1776년 발간), 진화론(찰스 다윈, 1859, 종의 기원) 및 자본론(카를 마르크스, 1867) 등이 있었으나 지금은 삼무론(三無論)이 있다. 삼무심의 마음가짐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면 안 되는 일이 없다(無爲而無不爲, 무위이무불위). 나의 심의식(心意識)을 삼무심으로 개혁하자. 자신의 큰 존재 의미를 자기의 철학으로 이해하고 설명하려는 독자 여러분께 권한다.”

목차

머리말

제1부 초전법륜(初轉法輪)
총정리 도표: 연기의 주요 내용(3무: 무독립, 무불변, 무차별) - 초전법륜

제1장 깨달음이란? 그리고 무아(無我) 공(空)이란
01 불교는 공심(空心) 혁명의 인생철학이다/02 불교의 핵심, 즉 불권(佛?)은?/03 나는 누구인가?/04 고타마 싯달타(瞿曇 悉達多)의 깨달음/05 무아(無我)란 무슨 뜻인가?/06 공(空)이란 무슨 뜻인가?/07 무아 공은 연기의 다른 말이다(空卽緣起)/08 삼유가 없는 삼무의 불교 용어들/09 제법무아(諸法無我)란 무슨 뜻인가?/10 팔리어 니까야와 한문본 아함경(阿含經) /11 아함경 속의 무아 공
제2장 보편타당한 진리, 연기(緣起)
01 무독립(無獨立)은 연기(緣起)다/02 연기의 내용
제3장 순관(順觀)과 역관(逆觀)으로 무아 공 설명하기
01 간단한 예문(例文)/02 유전연기(流轉緣起)/03 환멸연기(還滅緣起)/04 부처의 열반게송(涅槃偈頌)/05 해탈과 초전법륜(初轉法輪)/06 무독립(연기)에서 제법무아(諸法無我)가 도출됨/07 무불변(無不變)은 변화(變化)이고, 제행무상(諸行無常)이 도출됨/08 연속유전(連續流轉)
제4장 양변을 떠난 평등(離邊平等, 리변평등)의 중도
01 무차별(無差別)은 중도(中道)다/02 부처님의 중도대선언(中道大宣言)/03 열반적정(涅槃寂靜)/04 부처의 해탈 후 처음 말씀/05 쌍차쌍조(雙遮雙照, 遮照, 定慧)/06 차조용어(遮照用語)의 예/07 차조는 전환통류의 다른 말이다(遮照卽轉換通流)
제5장 연기의 핵심내용 총정리
01 부처는 3무다(佛是三無) /02 서로 의지해 함께 서는 무독립(無獨立)/03 연속적으로 흐르고 구르는 무불변(無不變, 無常, 變, 易)/04 양변을 떠난 평등의 무차별(無差別)/05 사법인(四法印)은 절충안이다/06 중도는 연기다(中道卽緣起)/07 개인(나)의 리변과 만물(세상)의 리변
제6장 사성제(四聖諦)
01 연기법에 의해 사성제가 유도됨/02 사성제에 의해 팔정도가 유도됨
제7장 팔정도(八正道)
01 성스러운 길 8개 항목/02 정견(正見)은 오온개공(五蘊皆空)이다/03 정념(正念)은 사념처(身受心法)다/04 사념처는 위빠사나 수행법이다/05 남방 불교와 북방 불교
제8장 삼학(三學) 또는 사심법(四深法)
01 삼학이란?/02 계학(戒學)/03 정학(定學)/04 혜학(慧學)/05 삼학의 중요성/06 마군삼독(魔軍三毒)의 유래/07 사심법(四深法)이란?
제9장 해탈(解脫)과 열반(涅槃)
01 해탈 먼저, 열반 나중/02 심해탈(心解脫) 또는 무루심해탈(無漏心解脫)이란/03 모든 번뇌를 영원히 완전히 없앤 열반

제2부 성공과 유식 및 윤회

제10장 성공(性空)
01 성공(性空)이라는 용어에 관하여/02 성공(性空)과 자성(自性)/03 헷갈리는 용어 및 개념의 정리/04 성공(性空)의 특징/05 자성의 특징/06 성공현상(性空現相)/07 십팔계(十八界)
제11장 전식성지(轉識成智)
01 성공차조(性空遮照)/02 전식성지(轉識成智)/03 유식무경(唯識無境)
제12장 견성(見性)
01 식심견성(識心見性)/02 깨달음(解脫, 見性)이란?/03 이해한 후에는 체험 또는 증득(證得)
제13장 성공(性空)과 윤회(輪廻)
01 윤회설(輪廻說)/02 깨닫지 못한즉 윤회다(不悟卽輪廻)/03 달라이 라마의 윤회에 대한 의견/04 아함경 속의 환생/05 윤회설에 대한 다른 견해

제3부 개인 생각 및 기타 사항

제14장 깨달음에 이르는 수행 방법
01 돈오돈수(頓悟頓修)와 돈오점수(頓悟漸修)/02 돈오정수(頓悟精修)
제15장 미래의 우주 종교(cosmic religion)
01 아인슈타인의 우주 종교란?/02 우주 종교와 과학
제16장 단상(斷想)
01 인생 4부작, 장수 100세 시대/02 아바이 수령(김일성 아바이)라는 용어의 파괴력/03 도가와 불가사상의 유사점(용어와 내용 면에서)/04 삼무는 마음 혁명이며 인생철학이다/05 삼무는 새끼줄과 같다(三無猶繩繩之道)/06 동양철학의 공통 핵심어는 무불변(변화)이다/07 양극화된 사회와 양변에 빠진 현대인/08 서양철학과 불교, 그리고 쇼펜하우어/09 털(毛)에 관한 이야기/10 사마귀(邪魔鬼)에 관한 이야기
제17장 게송(偈頌)
01 入門偈頌(입문게송)/02 寄釋誕日(석가탄신일에 부쳐)/03 諸法皆空(제법개공)- 원각경(圓覺經) 구절을 읽은 후/04 勿執着 非奴? (집착하지 말고 노예가 되지 마라)/05 奉恩寺之秋景(봉은사의 가을 풍경)/06 偏着奴人(편견과 집착의 노예)
제18장 부록
01 한자 낱말(단어) 풀이/02 인용 및 참고서적

저자소개

저자 윤태진은 1986년 경희의대를 졸업하고, 2014년 현재 경상의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의학은 물론 세계역사 및 동양철학을 지속적으로 공부하고 있다. 노장(老莊) 철학, 사서 및 주역 등을 공부하면서 불가 사상을 접하게 되었다. 불교를 본격적으로 만난 것은 붓글씨(한자 서예) 공부를 통해서였다. 많은 불교 관련 책과 경전을 읽으며, 특히 연기(무독립, 공독립) 사상에 감명을 받고 이와 관련된 공부를 게을리하지 않고 있다. 이를 통해 사유와 통찰을 더욱 넓고 깊게 할 수 있었다. 불교는 종교이기 이전에 나의 마음을 다스리고 정화하는 마음 혁명이며 심리철학이다. 현재는 초기경전인 한문본 아함경(阿含經) 읽기와 유불선(儒佛仙) 통합의 풍류사상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불교와 관련된 교양서적 또는 경전을 읽거나 좌선(명상)을 하려면 불교의 기본 용어를 완전히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인생 4부작 중, 특히 후반부인 수행기와 철학기에 이러한 불가 사상과 이념 및 철학을 이해하고 실천한다면 그 삶은 더욱 의미 있고 자유로워질 것으로 의심치 않는다. 특히 삼무(무독립, 무불변, 무차별)의 마음으로 인생을 살고, 삼무의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본다면 더욱 그러할 것이다. 이 책은 그런 의미에서 안성맞춤이다. 불교사상의 핵심인 연기, 무아 공에 관한 내용을 3무로 통찰하고 해석함으로써 누구든지 쉽고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도서소개

과거에는 대부분 50~60대에 삶을 마감했으나 지금은 90~100세까지 사는 세상이 되었다. 퇴직을 한 후에도 40~50년(수행기, 철학기)을 더 살아야 한다. 『삼무론』은 삼무의 마음가짐, 즉 삼무심(三無心)에 관한 이론으로 인생 4부작 시대 깨달음과 참가치를 얻고 마음의 풍요를 이루도록 안내한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