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매천야록

매천야록

  • 황현
  • |
  • 지식을만드는지식
  • |
  • 2012-03-19 출간
  • |
  • 162페이지
  • |
  • 152 X 223 mm
  • |
  • ISBN 9788966803088
판매가

12,000원

즉시할인가

10,8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0,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고종이 즉위한 1863년 전후부터 1910년 한일 합방 조약으로 대한제국이 멸망하기까지 48년간의 정치·사회·민족·문화 등을 생생하게 담아 낸 필기류(筆記類)다. 이 책에서 독자는 다른 사료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구한말 개화와 보수, 침략과 저항의 소용돌이를 경험한 지식인의 날카로운 비판 정신을 보게 될 것이다.

<지식을만드는지식 천줄읽기>는 오리지널 고전에 대한 통찰의 책읽기입니다. 전문가가 원전에서 핵심 내용만 뽑아내는 발췌 방식입니다.

≪매천야록≫이 작성되던 시기는 조선 사회의 전통과 국가의 기반이 흔들리던 격동기였다. 이 시기 조선은 안으로는 정치의 혼란을, 밖으로는 제국주의의 침략을 극복하지 못하고 마침내 국권을 상실하는 비운을 맞이했다. 황현은 이 책에서 혼란했던 그 시기의 정국과 사회상, 국제 관계 등을 중심으로 사회·민족·문화 등 각 부분의 모든 사실을 종횡으로 취급했다. 특히 무능했던 치자(治者)층의 부패상과 권력의 농단, 국가 정치 기강의 해이에 신랄한 비판을 가하는 데 힘을 기울였다. 아울러 제국주의 일본의 침략상을 절절히 담아냈다. 또한 당시 지배층들에서부터 민초에 이르는 생활상, 서울의 도시적 변화, 개화의 미명 아래 유입되던 서양 문물과 그에 대한 민초들의 반응을 소상히 기록했다.
≪매천야록≫이 세상에 알려지기까지는 오랜 시일을 기다려야 했다. 황현은 순절할 때 자손들에게 유훈으로 다른 사람에게 이 책을 보이지 말 것을 당부했고, 후손들은 극비에 붙여 깊이 간직했다. 그 후 책의 일부를 중국에 망명 중이던 김택영에게 비밀리에 보내어 교정과 편찬을 청했는데, 김택영이 자신이 편저한 ≪한사계(韓史?)≫를 엮을 때 ≪매천야록≫을 인용했음을 명시하면서, 이 책의 존재가 세상에 드러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원본은 수십 년이 지난 뒤에 공개되었다. 일제의 조선사편수회에서 이 책을 등사했는데, 1955년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이 등사본을 가지고 원본과 대조한 후 ≪한국사료총서≫ 1집으로 간행한 것이다.
이 책은 다양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매천야록≫에서 구한말의 사회상을 살필 수 있는 자료들을 주로 골랐다. 특히 서구의 물결이 밀어닥치는 상황에서 당시 민초들의 삶과 풍속을 살필 수 있는 내용들을 선별했다. 이 책을 통해 황현의 매서운 필체 속에 펼쳐지는 풍운의 사회상을 경험하기 바란다.

목차

해설 ······················15
지은이에 대해 ··················19

권1 상, 갑자년(1864)~정해년(1887)
운현궁 ·····················25
장동 김씨 ····················25
국혼 ······················26
김흥근의 별장 ··················27
세도 ······················28
대원위 분부 ···················29
태산을 평지로 ··················30
원납전 ·····················31
만동묘 ·····················32
서원 ······················33
당백전과 청전 ··················34
천주교인 남종삼 ·················35
도모지 ·····················35
해인사 경판각 ··················36
운현의 청지기 ··················37
운현의 사람 쓰기 ·················38
종친과 ·····················38
포량미 ·····················39
북촌과 남촌 ···················39
어재연의 순절 ··················40
잠영록 ·····················41
산림 ······················42
대원군이 실각한 이후 ···············43
척양비 ·····················43
최익현의 상소 ··················44
최익현의 생활 ··················45
대원군의 10년 통치 ················45
십 년 세도 ····················47
운현궁 쪽 사람 ··················47
전주 아전 ····················48
김상현 ·····················49
다산 정약용 ···················50
다산 정약용의 기억력 ···············51
다산 정약용과 추사 김정희 ············52
거벽·사수 ···················53
조흘강과 매좌 ··················53
과거시험장 ···················55
지방에서 보이는 시험 ···············56
과거 매매의 값 ··················57
가수와 실재 ···················57
낙폭전 ·····················58
석 돈 진사 ····················58
궁중 연회 ····················59
신분제도 ····················60
무과제도 ····················61
무관명가 ····················63
신래 ······················64
유가 ······················65
대원군의 수완 ··················65
나합 ······················66
우두법의 시행 ··················67
학질의 금계랍 ··················69
석유 ······················69
개항 이후의 수입품 ················70
영선사 김윤식 ··················71
전환국 ·····················72
북관묘 ·····················72
화륜선 구입 ···················73
임오군란 ····················73
대원군의 재집정 ·················75
문묘종사 ····················75
복제 개혁 ····················77
민영익의 저택 ··················79
개항 ······················79
과거 매매 ····················80
토문강 국경선 ··················81
육영공원 ····················81
청붕과 허교 ···················82
장탕반 ·····················83
서얼 ······················83
전보국 ·····················87
송금 ······················87

권1 하, 무자년(1888)~계사년(1893)
세자의 소년 시절 ·················93
노인 난리 ····················94
최제우의 복주 ··················95

권2, 갑오년(1894)~무술년(1898)
갑오년(1894), 고종 31년
전봉준 ·····················99
아리랑 타령 ···················100
옥당풍년 ····················101
중궁의 총명 ···················102
국한문 혼용 ···················103
은전과 엽전 ···················103

을미년(1895), 개국 504년
영은문·삼전도비의 훼철 ·············105
십 년 사이의 세상 변화 ··············106
전봉준 등 처형 ·················106
형사법 개정 ···················107
전주의 약령 설치 ················107
한성의 승금 해제 ················108
백관의 연봉 제정 ················109
관리의 연봉 제정 ················109
호열자의 유행 ··················110
공문서를 국한문으로 하다 ············110
개국기원절 ···················111
광견병 ·····················112
울릉도 ·····················112
인정종·파루종 ·················112
단발령 ·····················113

병신년(1896), 개국 505년
단발령과 의병 ··················115
비 ·······················116
지방 관원과 연봉 ················117
지방 관원의 임기 및 휴가 ·············117

정유년(1897), 건양 2년
원구단 ·····················118
국기 제정 ····················118

무술년(1898), 광무 2년
황성신문 창간 ··················120
대원군 장례 ···················120
철도사의 설치 ··················121
독립협회 ····················121

권3, 기해년(1899)~계묘년(1903)
기해년(1899), 광무 3년
조경단 축조 ···················127
의학교 설립 ···················128
양교의 성행과 종현학당의 건립 ··········129
전차 ······················130
채회의 금지 ···················131
명성후의 유혼 ··················131
발명가 ·····················132

경자년(1900), 광무 4년
흑사병의 유행 ··················134
일본의 흑사병원균 규명 ·············134
영남 활빈당 ···················135

신축년(1901), 광무 5년
희랍교 전도 ···················136
안남미 수입 ···················136
일본인의 식민 계획 ···············137

계묘년(1903), 광무 7년
일본 상인들의 기념잔 ··············138
양무호 ·····················138
경부선 철도 공사 ················139

권4, 갑진년(1904)~을사년(1905)
갑진년(1904), 광무 8년
상화가와 매음가 ·················143
무당 엄금 ····················144

을사년(1905), 광무 9년
정토종 ·····················145
성적도 배포 ···················145
일본인의 지금고 설치 ··············146

권5, 병오년(1906), 광무 10년
독도 ······················151
화투의 출현 ···················151

권6, 정미년(1907)~경술년(1910)
정미년(1907), 광무 11년
구미식 혼례 ···················155

무신년(1908), 융희 2년
석전 금지 ····················156
작잠법 ·····················156

기유년(1909), 융희 3년
단군교 창설 ···················158

경술년(1910), 융희 4년
사색의 양반 조사
천조교

옮긴이에 대해

권1 하, 무자년(1888)~계사년(1893)
세자의 소년 시절
노인 난리
최제우의 복주

권2, 갑오년(1894)~무술년(1898)

갑오년(1894), 고종 31년
전봉준
아리랑 타령
옥당풍년
중궁의 총명
국한문 혼용
은전과 엽전

을미년(1895), 개국 504년
영은문·삼전도비의 훼철
십 년 사이의 세상 변화
전봉준 등 처형
형사법 개정
전주의 약령 설치
한성의 승금 해제
백관의 연봉 제정
관리의 연봉 제정
호열자의 유행
공문서를 국한문으로 하다
개국기원절
광견병
울릉도
인정종·파루종
단발령

병신년(1896), 개국 505년
단발령과 의병

지방관원과 연봉
지방관원의 임기 및 휴가

정유년(1897), 건양 2년
원구단
국기 제정

무술년(1898), 광무 2년
황성신문 창간
대원군 장례
철도사의 설치
독립협회

권3, 기해년(1899)~계묘년(1903)

기해년(1899), 광무 3년
조경단 축조
의학교 설립
양교의 성행과 종현학당의 건립
전차
채회의 금지
명성후의 유혼
발명가

경자년(1900), 광무 4년
흑사병의 유행
일본의 흑사병원균 규명
영남 활빈당

신축년(1901), 광무 5년
희랍교 전도
안남미 수입
일본인의 식민 계획

계묘년(1903), 광무 7년
일본 상인들의 기념잔
양무호
경부선 철도 공사

권4, 갑진년(1904)~정미년(1907)

갑진년(1904), 광무 8년
상화가와 매음가
무당 엄금

을사년(1905), 광무 9년
정토종
성적도 배포
일본인의 지금고 설치

병오년(1906), 광무 10년
독도
화투의 출현

정미년(1907), 광무 11년
구미식 혼례
석전 금지
작잠법
단군교 창설
사색의 양반 조사
천조교

옮긴이에 대해

저자소개

저자 황현(黃玹, 1855~1910)은 광양현 서석촌(현 전라남도 광양군 봉강면 석사리)에서 태어났으며, 자는 운경(雲卿), 호는 매천(梅泉)이라 했다. 출신 가계를 보면 장수 황씨로 황희 정승의 후손이기는 하나, 중간에 가세가 영락해서 그의 조부에 이르러서는 상업으로 생활을 영위했다고 한다. 이렇게 축적한 재산을 기반으로 황현은 1천 권의 장서를 갖추고 학문에 전념할 수 있었다. 황현은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신동으로 소문이 자자했으나, 관력은 불우하여 34세에야 겨우 성균관의 생원이 되는 데 그쳤다. 그는 생원이 된 후, 조선 안팎으로 혼란한 세상을 등지고 고향으로 내려갔다. 그는 그곳에서 자신의 거실에 구안옥(苟安屋)이라 이름을 붙이고 독서와 시작(詩作)으로 세월을 보냈다. 그러는 동안 서울에 있는 여러 친구가 “다시 서울에 올라와서 구국 운동에 참가하라”라고 권유했으나, 황현은 그때마다 “그대들은 어찌 나를 귀신 나라에서 날뛰는 미친 사람들 가운데로 끌어들여 같은 귀신, 미친 사람으로 만들려 하는가” 하고 도리어 엄절히 책망했다. 혼란한 세상에서 황현은 비록 은거했으나 망국상을 그대로 보고 있지는 못했다. 자신의 지기였던 김택영이 벼슬을 버리고 중국으로 망명한 것처럼 자신도 망국인의 방도를 생각한 듯하지만, 그 뜻을 이루지는 못했다. 그러던 중 1910년 8월 일본은 소위 한일병합조약이라는 것을 발표해 나라와 민족의 멸망을 공식화했다. 이 소식을 듣고 황현은 애절한 절명시를 남기고 순국했다.

도서소개

▶《지식을만드는지식 천줄읽기》 는 오리지널 고전에 대한 통찰의 책읽기입니다. 전문가가 원전에서 핵심 내용만 뽑아내는 발췌 방식입니다.

고전에 대한 통찰의 책읽기 「지식을만드는지식 천줄읽기」 시리즈. 전문가가 원전에서 핵심 내용만 뽑아 소개하는 형식이다. 이 책에서는 고종이 즉위한 1863년 전후부터 1910년 한일 합방 조약으로 대한제국이 멸망하기까지 48년간의 정치, 사회, 민족·문화 등을 생생하게 담아낸 필기류 『매천야록』을 살펴본다. 구한말 개화와 보수, 침략과 저항의 소용돌이를 경험한 지식인의 날카로운 비판 정신을 엿볼 수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