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이옥 문집

이옥 문집

  • 이옥
  • |
  • 지식을만드는 지식
  • |
  • 2011-10-31 출간
  • |
  • 117페이지
  • |
  • 152 X 223 X 20 mm
  • |
  • ISBN 9788964068397
판매가

13,000원

즉시할인가

11,7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1,7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이옥의 작품은 ≪담정총서≫에 수록된 문집들에 주로 소개되어 있지만, 그의 시문학론과 민풍시 이언(俚諺)은 ≪예림잡패(藝林雜佩)≫ <이언인(俚諺引)>에 수록되어 있고, 희곡집 ≪동상기(東床記)≫도 따로 전한다.
≪담정총서≫는 조선 후기 정조가 문체반정 정책을 펴면서 패사소품체의 대표적인 인물로 지목한 담정 김려에 의해서 간행된 필사본이다. 김려의 문집 ≪담정유고≫ 권10 <총서제후(叢書題後)>에는 김려가 편찬한 문집의 제후(題後), 예를 들어 김시랑의 <현수관소고권후>를 시작으로 이익지(李益之)의 <죽장산고권후(竹莊散稿卷後)>등 여러 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를 근거로 보면 ≪담정총서≫에는 39권의 문집이 수록되어 있을 것이다.
이 총서는 통문관(通文館)에 소장되어 있었는데 그 내용의 일부를 맨 처음 소개한 이는 연민(淵民) 이가원(李家源) 선생이다. 선생은 ≪이조한문소설선≫(민중서관, 1961년)에 이옥의 전문학(傳文學) 23편 중 15편을 뽑아 소개했다. 이옥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역자의 석사학위 논문 <이옥연구>에서 그의 생애와 세계관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옥연구>는 이옥의 문집 일부만을 소장자로부터 얻어 보고 소개한 것이어서 작가 생애에 대한 오류가 없지 않았다. 그 뒤에 역자는 <이옥의 문학 이론과 작품 세계의 연구>에서 그의 생애와 세계관 그리고 문학 이론과 작품 세계를 재론한 바 있다. ≪예림잡패≫에 수록된 <이언인>은 국립중앙도서관에 수장된 필사본을 역자가 학계에 처음 소개해 알려지게 된 자료다. <이언인> 제목 아래 기록된 저자는 연안(延安) 이옥(李鈺)으로 되어 있는데 이것 때문에 이옥의 본관에 대해서 학계에 혼란이 야기되기도 했다.<이언인>의 서문에 해당하는 <일난(一難)>, <이난(二難)>, <삼난(三難)>은 이옥의 시문학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언>에는 그의 작품 66편의 절구가 수록되어 있는데 ‘아조(雅調)’ ‘염조(艶調)’ ‘탕조(宕調)’ ‘비조’ 등으로 구분되어 있고 민풍시(民風詩) 성격이 강하다. ≪동상기≫는 현재까지 5편의 이본이 전한다.
이옥의 현실에 대한 인식 태도를 살펴보면 생애 전·후반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성균 유생 시절에 쓴 음양오행이나 불교의 윤회에 관한 글 등에서는 유교적 경험론에 입각한 합리주의적 사고를 보여 준 반면에, 문체로 인해 입신의 길을 포기한 뒤에 쓴 글 등에서는 신비체험의 세계에 대한 관심을 보이면서 현실에 대해 반유교적이고, 비합리주의적인 인식 태도를 보여 준다. 인간의 존엄성에 대해서는 인간 본래의 모습과 계층 간의 역할이 따로 있음을 전제하고 소속된 계층에 관계없이 인간 존엄성을 인정했다. 그리하여 군자(君子)와 야인(野人)과의 관계를 상보적 관계로 파악해 민생의 역할을 분명히 했고, 평등주의에 입각해 민생의 존엄성도 긍정적으로 수용했다. 민중들의 반도덕적 행위에 관심을 보이면서 민중들의 이런 행위에 대한 근본적 책임이 지배계급의 민중 수탈에서 비롯되었다고 해서 유교적 도덕주의를 엄격히 실천할 것을 지배계급에 요구하기도 했다. 전통문화에 대해서도 그는 남다른 관심을 보였다. 그가 문체 때문에 삼가[三嘉, 다른 이름은 봉성(鳳城)]현에 충군되어 그곳에 머무는 동안에 견문했던 것을 기록한 <봉산문여>는 당시의 영남 민속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다. 그는 여기서 종래의 모화적(慕華的) 의식에서 탈피해 우리 것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함께 투철한 자존의식으로 화이론(華夷論)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보여 주었다. 전통문화에 대한 주체의식은 그의 문학관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조선 사람은 조선의 문학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본 역서에서는 이옥의 모든 작품을 소개할 수 없으므로 작품 유형별로 선별해서 실었다.

목차

운문(韻文)

1. 이언(俚諺)

아조 雅調
염조 艶調
탕조 宕調
비조 비調

2. 부(賦)
개구리가 우는 사연 후편 後蛙鳴賦
물고기들의 먹이사슬 - 병오년 여름에 쓰다 魚賦一丙千夏
용처럼 생긴 포도나무 草龍賦
거미의 충고 蜘蛛賦
아들 다섯 가진 어미의 탄식 五子구賦

산문(散文)

1. 논설(論說)

북관 기녀의 밤중 통곡을 논함 - 원 사실을 병서 北關妓夜哭論-幷原
접시꽃에 대해 蜀葵花論

2. 잡문(雜文)
매미가 고하다 蟬告
원통경 圓通經
서풍을 논하다 論西風

3. 기문(記文)
호상에서 씨름을 구경하고 湖上觀角力記
저잣거리의 소매치기 불奸記
담배 연기 경문 烟經
방언 때문에 方言

4. 전지(傳誌)
거지 간교를 면한 성 진사 成進士傳
호랑이 잡은 산골 아낙 捕虎妻傳

5. 문여(文餘)
사당패의 생활상 社黨
무당굿 巫祀
무가 사설의 와전 巫歌之訛
가마를 탄 여 도적 乘轎賊
석굴에서 도적들이 엽전을 주조하다 石窟盜鑄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저자소개

저자 문무자(文無子) 이옥(1760∼1814)은 자(字)가 기상(其相)이고, 본관은(本貫)은 전주(全州)며, 본가는 경기도 남양(南陽)이다. 그는 젊은 시절 성균 유생으로 한양에서 활동했다. 조부 이동윤(李東胤)은 서족(庶族) 무반(武班) 출신이고, 부친 이상오(李常五)는 1754년에 진사에 급제했으며, 이옥은 성균 유생 시절인 1790년에 생원시에 급제했다. 슬하에는 1남 4녀를 두었는데 아들의 초명은 우태(友泰)다. 그의 성장을 알려 주는 연보가 없어 생애를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그의 저술 등을 통해서 추적해 보면, 그는 30세를 전후해 한양에서 성균 유생의 신분으로 활동했다. 1792년에 임금이 성균 유생들에게 열흘에 한 번씩 내려 준 글제에 따라 지은 그의 글이 순전히 소설문체로 작성되었다고 지적을 받은 적이 있다. 당시 선비들은 이런 소설문체를 유행처럼 답습했는데 정조는 당시 성균 유생들로 하여금 매일 사륙문(四六文) 50수를 채우게 해 문체를 바르게 한 후에 과거 시험에 나아가도록 명했다. 정조의 문체반정은 바로 이를 계기로 시작되었다. 그의 문집 <봉성문여(鳳城文餘)>의 <추기남정시말(追記南征始末)>에 의하면, 그가 성균 유생으로 있던 1796년(36세)에 정조가 그의 문체를 보고 괴이하다고 과거를 보지 못하게 했다가 충청도 정산현에 충군(充軍)하게 했다. 그해 9월에 다시 돌아와 과거 시험에 응시했으나, 문체를 고치지 못해 다시 영남 삼가현(三嘉縣)으로 이충(移充) 편적(編籍)되었다가 사흘 후에 다시 한양으로 돌아왔다. 1797년(37세)에 별시(別試) 초시(初試)에서 장원을 차지했으나, 그의 책문이 근래의 격식에 어긋났다 해서 방말(榜末)에 붙여졌다. 방말이었지만 과거에 급제를 했으므로 문체로 인한 죄를 용서받을 수 있었는데도 그는 충군에 대한 청원을 하지 않은 채 고향으로 돌아갔다. 1798년(38세)이 되던 봄에 삼가현에서 소환 독촉이 심해지자, 형부, 병부, 예부에 들러서 청원을 했지만 허락을 받지 못했다. 결국 1800년(40세) 10월에 다시 삼가현에 내려가 118일 동안을 그곳에 머물고 이듬해 2월에 귀향했다. 그 뒤 그의 활동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수 없다. 다만 신유옥사(辛酉獄事)가 일어났던 1801년(41세, 순조 1년)에 그는 잠시 귀경했지만, 성균 유생 시절에 교분을 나누었던 김려(金?)와 그의 아우 김선(金?) 그리고 강이천(姜彛天) 등과 헤어져서 다시 본가에 돌아와 은둔자적하며 일생을 마칠 때까지 저작 활동에 몰두했다.

도서소개

문체반정의 대표적인 희생자 이옥의 글들을 엮은 『이옥 문집』. 이 책은 틀에 박히지 않은 묘사, 고루하고 딱딱한 글이 아니라 생생하고 자유로운 글을 썼다 해서 과거 응시를 금지당하고, 두 번이나 군대에 가야 했던 선비, 이옥의 글들을 수록하고 있다. 죽는 날까지 자신의 신념대로 쓰는 것을 포기하지 않은 이옥의 글에 담긴 진정성을 확인할 수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