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악장가사

악장가사

  • 작자 미상
  • |
  • 지식을만드는 지식
  • |
  • 2011-09-26 출간
  • |
  • 131페이지
  • |
  • 152 X 223 mm
  • |
  • ISBN 9788964068373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3,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악장가사≫는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순수 노래집으로, ≪악학궤범≫, ≪시용향악보≫와 함께 한국 시가문학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고려~조선 시대의 당대 최고 인기 가요를 만나 보자. 원문을 함께 실어 당시의 국어 표기도 한눈에 살필 수 있다.

≪악장가사≫의 이본은 모두 3종으로 일본 교토대학(京都大學) 부속도서관 소장 호사문고본(蓬左文庫本), 전남 해남 윤선도 종택 소장 윤씨본(尹氏本) 그리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장서각(藏書閣) 소장 장서각본(등록번호 41038705) 등이 그것들이다. 이 책은 호사문고본을 저본으로 번역한 것이다.
≪악장가사≫의 용도는 수록된 작품을 통해 알 수 있는데, <아악가사>와 <속악가사>는 궁중 제례 의식에 사용된 악장을, <가사>는 궁중 잔치용 음악 가사를 수록하고 있으므로 이 책은 궁중 제례 및 잔치용 가사집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음악적 측면에서 보면 <아악가사>는 아악을 연주하는 제례의 가사, <속악가사>는 속악(향악)을 사용하는 제례의 가사 그리고 <가사>는 속악과 당악을 사용하는 연향의 가사로 구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예제적(禮制的) 측면에서 보면 오례 가운데 제례를 담당하는 길례에는 <아악가사>와 <속악가사>가, 연향을 담당하는 가례에는 <가사>가 쓰이기 때문에 이 역시 편찬을 고려하는 대상이 된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이처럼 ≪악장가사≫는 ‘궁중의 제례와 연향에 사용된 가사집’이라는 점을 통해 볼 때, 편찬 주체는 궁중 음악 담당자 혹은 부서임을 알 수 있다. 일부에서는 16세기를 살았던 민간인 박준이 편찬했다는 주장이 있어 왔으나, 이 책에는 17세기의 노래가 실려 있고 노래의 용도가 궁중 전용임을 상기할 때 이와 같은 주장은 재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사정이 이와 같다면 ≪악장가사≫의 편찬 주체는 궁중 제례 및 연향과 관계된 이들이며, 구체적으로 조선 시대 궁중 음악을 총괄했던 장악원 혹은 소속 장악원 소속 관원들이라 할 수 있다.
악서(樂書)의 흐름에서 볼 때, 조선 후기 17세기 후반 장악원에서 편찬된 ≪악장가사≫의 의의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악장가사≫ 편찬 이전의 궁중 악서가 악보(樂譜) 무보(舞譜) 위주였던 점과 달리 순수 가사 위주의 악서 출현은 악서의 흐름 가운데 큰 변화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악장가사≫는 구비 전승의 국문 가사를 여러 악서의 영향을 받아 기록한 점에서 국문 가사의 기록 전통을 계승했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처럼 ≪악장가사≫는 예악서의 전문화·분화 편찬의 흐름 속에서 ≪악학궤범≫, ≪시용향악보≫, ≪양금신보≫ 등에서 보여 준 국문 가사 수록 전통을 계승해 17세기 궁중에서 편찬된 가사 위주의 최초 시용·상용 악서라 할 수 있으며, 이런 전통은 ≪악학편고≫와 ≪교합가집≫에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1. 속악가사(俗樂歌詞)-종묘영녕전(宗廟永寧殿) 종묘(宗廟) 악장(樂章)
해제
1) 영신(迎神)
2) 전폐(奠幣)
3) 진찬(進饌)
4) 초헌(初獻)-보태평(保太平) 11성(聲)
희문(熙文) 인입(引入)
기명(基命)
귀인(歸仁)
형가(亨嘉)
집녕(輯寧)
융화(隆化)
현미(顯美)
용광(龍光)
정명(貞明)
대유(大猷)
역성(繹成) 인출(引出)
5) 아헌(亞獻)-정대업(定大業) 11성(聲)
소무(昭武) 인입(引入)
독경(篤慶)
탁정(濯征)
선위(宣威)
신정(神定)
분웅(奮雄)
순응(順應)
총수(寵綏)
정세(靖世)
혁정(赫整)
중광(重光)
영관(永觀) 인출(引出)
6) 철변두(撤변豆)
7) 송신(送神)

2. 아악가사(雅樂歌詞)-문선왕(文宣王) 문묘(文廟) 악장(樂章)
해제
1) 전폐(奠幣)
2) 초헌(初獻) 정위(正位)
연국공(宴國公)
성국공(성國公)
기국공(沂國公)
추국공(鄒國公)
3) 철변두(撤변豆)

3. 가사(歌詞)
해제
1) 감군은(感君恩)
2) 정석가(鄭石歌)
3) 청산별곡(靑山別曲)
4) 서경별곡(西京別曲)
5) 사모곡(思母曲)
6) 능엄찬(楞嚴讚)
7) 영산회상(靈山會相)
8) 쌍화점(雙花店)
9) 이상곡(履霜曲)
10) 가시리
11) 유림가(儒林歌)
12) 신도가(新都歌)
13) 한림별곡(翰林別曲)
14) 만전춘(滿殿春) 별사(別詞)
15) 화산별곡(華山別曲)
16) 오륜가(五倫歌)
17) 연형제곡(宴兄弟曲)
18) 상대별곡(霜대別曲)

해설
옮긴이에 대해

도서소개

▶《 지식을만드는지식 천줄읽기》 는 오리지널 고전에 대한 통찰의 책읽기입니다. 전문가가 원전에서 핵심 내용만 뽑아내는 발췌 방식입니다.

『악장가사』는 일본 교토대학 부속도서관 소장 호사문고본 <악장가사>를 초본으로 삼은 가사집이다. 이 책은 크게 속악가사, 아악가사, 가사 세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아악가사와 속악가사는 궁중 제례 의식에 사용된 악장을, 가사는 궁중 잔치용 음악 가사를 수록하고 있다. 악장가사는 편찬 이전의 궁중 악서가 악보 무보 위주였던 점과 달리 순수 가사 위주의 악서이며, 구비 전승의 국문 가사를 여러 악서의 영향을 받아 기록한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