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신자

신자

  • 신도
  • |
  • 지식을만드는지식
  • |
  • 2011-08-26 출간
  • |
  • 123페이지
  • |
  • 148 X 210 mm
  • |
  • ISBN 9788964067772
판매가

14,800원

즉시할인가

14,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4,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중국 전국 중기 사상가 신도의 철학서.
도가에서 출발한 신도의 사상은 전국 시기라는 사회적 배경으로 인해 법치를 옹호하게 된다. 신도는 치국의 문제에서 법제의 역할에 주목하면서 권세의 작용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이러한 신도의 중세(重勢) 사상은 후기의 법가 이론이 성립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신도의 도가적 사상, 법가적 사상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이 책은 전희조(錢熙祚)의 ≪수산각총서(守山閣叢書)≫에 수록된 ≪신자≫를 저본(底本)으로 삼아 번역역한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가오류수이(高流水)가 역주한 ≪신자전역(愼子全譯)≫[구이저우인민출판사(貴州人民出版社), 1996]을 참고했다. 그리고 일문(逸文)과 관련해 ≪군서치요(群書治要)≫와 1935년에 왕쓰루이(王斯睿)가 저술한 ≪신자교정(愼子敎正)≫에 수록된 내용을 상세하게 대조해 교감(校勘)했다.

≪신자(愼子)≫ 출현의 사회적 배경
신도(愼到)는 전국(戰國) 중기의 중요한 사상가다. 중국 역사상 춘추(春秋)와 전국 시기는 대변혁 시기로서 일대 전환기에 해당한다. 정치상 주(周) 왕조의 명맥은 유지되었지만 천자(天子)가 제후를 통제하는 능력을 상실해서 왕실은 쇠락했다. 경제적으로 철기와 우경(牛耕)의 보급으로 사회적 생산력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대량의 토지가 개간되었고, 급속한 사유화가 진행되었다. 사상ㆍ문화 방면에서는 공자 같은 사상가의 출현으로 사학(私學)이 발전해, 교육과 문화가 귀족의 독점에서 벗어나 대중화되는 데 공헌했다. 춘추 시기 학술상의 백가쟁명(百家爭鳴)의 분위기는 전국 시기에 더욱 발전하면서 사상은 상호 영향을 주었고, 각 사상들의 통합 국면이 출현하기도 했다. 특히 이 시기 사상가는 주로 부국강병(富國强兵)을 통한 중국 통일의 이론 모색에 매진하기도 했다.

신도(愼到)의 도가(道家)적 사상
신도의 자연 숭상 사상은 노자의 “도법자연(道法自然)” 사상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노자가 주장한 “무위(無爲)”가 인위적인 것을 반대하며 소극적으로 자연적인 혜택을 기다리는 것이라면, 신도의 자연 상태란 사람이 자연을 이용하는 상태를 의미했다. 신도가 숭상하는 자연 사상은 도가에 근거했지만 노자의 소극적인 도가 사상의 일면을 적극적으로 극복하고자 했다.
또한 신도는 “자연 순응”의 용인(用人) 사상을 주장했고 이와 연관 지으면서 ‘자연의 규칙을 준수하고 백성의 정서에 순응한다’는“인순(因循)”의 개념을 도출했다. 신도는 이런 자연 규율을 준수해 직무를 수행하고 동시에 민심에 순응하면 국가는 곧 흥성하지만, 이런 자연 규율을 어기면 국가는 위태롭게 된다고 했다. 그리고 그는 용인(用人)과 관련해서 군주는 무위(無爲)를, 신하는 유위(有爲)를 해야 한다는 사상을 제창했다. 신도의 “군무사(君無事)” 하며 “신유사(臣事事)” 한다는 사상은 노자의 “무위이치(無爲而治)”사상의 계승과 발전이라 할 수 있겠다. 노자가 언급한 무위 사상이란 주로 치국의 원칙이라는 측면에서 제시한 것이지만 포괄적인 원칙을 제시했을 뿐 구체적인 방법을 언급하지 못했다. 이런 측면에서 신도의 용인(用人) 사상은 노자의 무위 사상을 실천하고 실현하는 비교적 구체적인 방법과 시책의 제시라 할 수 있다.

신도의 법가(法家)적 사상
신도는 치국의 문제에서 법제의 역할에 주목하면서 한편으로는 권세의 작용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군주가 법제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권세를 이용할 줄 알아야 한다고 했다. 그렇지 않으면 군주는 법제의 관철은 물론이고 법제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한 사람도 부릴 수가 없다고 했다. 그리고 권세는 특정한 조건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했다. 그의 “중세(重勢)”는 법치 사상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며, 초기 법가의 중세파(重勢派) 관점은 후기 법가 사상에 중요한 영향을 주기도 했다. 법가를 집대성했던 한비(韓非)는 <난세(難勢)> 편을 저술하면서 신도의 중세(重勢) 사상에 대해 언급하기도 했고, 중세 사상에 영향을 받아 법(法)·술(術)·세(勢)를 결합해서 비교적 완전한 법가 이론 체계를 수립해 국가와 백성을 통치하는 이론 체계를 완성하기도 했다.
신도는 국가 통치에 유일하게 법치만을 근거로 해야 하는 것은 오직 법치의 실행을 통해서 상벌의 객관적인 표준의 도출과 상하의 화목이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여겼다. 법치의 실행을, 사사로운 원한을 제거하고 공평과 정의를 실현해 상하가 화목할 수 있는 객관적인 근거로 삼았다. 또한 법치로써 사사로운 욕망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을 법제의 가장 큰 공로로 여겼다. 신도는 입법(立法)을 사행(私行)과 대립시키면서, 입법으로 사사로움을 제어함으로써 법치의 공정성과 배타성을 확보하려고 했던 것이다. 하지만 “군주”와 “존현(尊賢)”을 대립시켜 “군주가 직위에 있으면 현자는 존중받지 못한다”라고 한 것은 법치(法治)와 인치(人治)를 극단적으로 대립시키는 주장으로, 신도 사상의 한계다.

≪신자(愼子)≫의 집일(輯佚)과 저본(底本)
량치차오(梁啓超)는 일찍이 <고서진위급기연대(古書眞僞及其年代)>라는 문장에서 신무상(愼懋賞)이 집일한 ≪신자내외편≫이 위서임을 처음 지적했고, 현대에 이르러서는 뤄건쩌(羅根澤)과 팡궈위(方國瑜) 등의 학자가 위서임을 증명하기도 했다. 이후 궈모뤄(郭沫若), 판원란(范文瀾), 후스(胡適), 장다이녠(張岱年), 허우와이루(侯外盧), 양룽궈(楊榮國) 등의 학자들은 ≪신자≫를 언급할 때 원론적으로 ≪자휘≫본을 주로 참고하기도 했다.

목차

해설
지은이에 대해

1. 위덕(威德)
2. 인순(因循)
3. 민잡(民雜)
4. 지충(知忠)
5. 덕립(德立)
6. 군인(君人)
7. 군신(君臣)
8. 일문(逸文)
발(跋)

옮긴이에 대해

저자소개

저자 신도(愼到, BC 395∼BC 315)는 중국 전국(戰國) 중기의 사상가다. 신도의 사상은 자연을 숭상했던 도가 사상에서 출발했다. 하지만 부국강병과 약육강식의 통일 전쟁이 전횡하는 전국 시기에 자연 순응의 무위로는 영원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그리하여 그는 현명한 군주는 치국에 오직 법치를 근거해야 부국강병을 이룰 수 있다고 법가를 옹호하며 적극적으로 법치를 주장했다. 특히 신도는 법치로써 사사로운 욕망을 억제할 수 있다는 점을 법제의 가장 큰 공로로 여겼고, 법치를 통한 민심의 통일을 주장하기도 했다. 신도의 사상에 대해서는 당시 백가쟁명 중 어떠한 학파에 속했었는지 시대별로 이견을 보이고 있다. 사마천은 〈사기〉에서 신도를 도가(道家)로 분류했고, 반고(班固)의 〈한서〉와 〈통지(通志)〉, 그리고 〈선진제자합편(先秦諸子合編)〉 등에서는 그를 법가(法家)로 구분했다. 반면에 청대의 〈사고전서(四庫全書)〉와 현대의 〈자서백가(子書百家)〉·〈백가전서(百家全書)〉 등에서는 신도를 잡가(雜家)로 분류하기도 했다.

도서소개

중국 전국 중기 사상가 신도의 철학서 『신자』. 이 책은 전희조의 <수산각총서>에 수록된 ‘신자’를 저본으로 삼아 완역한 것이다. 치국의 문제에서 법제의 역할에 주목하면서 권세의 작용에 대해서도 강조한 신도의 도가적 사상, 법가적 사상을 알아볼 수 있다. 가오류수이의 주석본을 참고하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