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초의시고

초의시고

  • 의순
  • |
  • 지식을만드는지식
  • |
  • 2011-07-28 출간
  • |
  • 152페이지
  • |
  • 148 X 210 mm
  • |
  • ISBN 9788964067864
판매가

17,800원

즉시할인가

17,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7,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다성 초의선사의 청담한 한 잔 차 같은 선시
초의차를 완성하고 ≪동다송≫을 지어 우리나라 다도를 정립한 한국의 다승 초의선사 의순.
다산 정약용, 추사 김정희 등이 극찬한 그의 시 56편 76수를 가려 뽑았다.
읽다 보면 맑은 차 한 잔을 마신 듯한 청량함이 느껴진다.

초의(草衣) 의순(意恂)은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선승으로 명성이 자자하다. 선사로서의 풍모도 그러하거니와 유가 문사들과의 많은 교류가 그 바탕이 된 것도 사실이다. 전남 강진으로 유배 와 있던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과의 교유는 물론, 정조의 사위인 해거재(海居齋) 홍현주(洪顯周, 1793∼1865) 등 당대의 문사들과 밀접한 교유 관계를 맺었다. 특히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와는 한평생 지기로 지냈다.
초의 스님은 해남 대흥사(大興寺)에 오랫동안 주석하면서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대선사로서 선의 법맥을 이어 갔다. 시(詩)·서(書)·화(畵)·다(茶)에 뛰어나 사절(四絶)이라 불렸는데, 특히 그림을 잘 그려 불화나 인물화 등 대흥사에 있는 그림은 거의 대부분 초의 스님이 그렸을 정도였다고 한다. 스님은 남종화의 거두인 소치 허유[許維, 일명 허련(許鍊, 1809∼1892)]를 길러 내기도 했다.
초의 스님은 ‘한국의 다승’으로 우리나라의 다도를 정립했다. 대흥사를 중심으로 직접 차를 기르고 좋은 종자를 개발하는 데도 힘써 그 지역을 차 문화의 중심지로 만들었다. 또한 <동다송(東茶頌)>과 <다신전(茶神傳)>을 비롯해 수많은 다시(茶詩)를 지어 다도의 이론적 확립을 모색했다. 스님의 선 사상 역시 다선삼매(茶禪三昧)라는 명칭이 붙을 정도였으니, 스님에게 있어 차는 “불가의 오랜 음다풍(飮茶風)을 넘어서서 예술과 선 수행의 경지로까지 승화했다”는 말로 표현할 수 있겠다.
초의 스님은 뛰어난 시승(詩僧)이기도 했다. 초의 스님의 시는 ‘맑고 심오하고 소순기를 벗었으며 담백하면서도 높은 뜻과 격조를 갖추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여기서 선사의 시풍이 맑고 깨끗하며 그윽하다는 것은 불가(佛家) 한시의 주류적 시풍, 즉 언외지지(言外之旨)를 강조한 직관주의 시학의 전통과 맥이 닿아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초의 스님은 두릉시사(杜陵詩社)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두릉시사의 구성원은 유산(酉山) 정학연(丁學淵), 운포(耘逋) 정학유(丁學游), 진재(眞齋) 박종림(朴鍾林), 광산(匡山) 박종유(朴鍾儒) 등이다. 이외에도 ≪초의시고≫에는 연사(蓮社), 청량사(淸凉寺) 모임 등등 많은 모임명이 나오는데, 거기에 등장하는 문사들의 수를 세어 보면 전체적으로 37명에 달한다. 40여 년을 국토의 최남단 해남 땅 대흥사 일지암(一枝庵)에서 주석한 것에 비해 많은 인물들과의 잦은 만남이라 여겨진다. 이 역시 스님의 인품과 빼어난 문학적 재능을 반증한다고 볼 수 있다. 우리는 ≪초의시고≫를 통해 예술을 향한 스님의 열정과 선 수행의 치열함, 그리고 중생을 제도하고자 하는 종교 지도자로서의 다양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목차

8월 15일 새벽에 앉아(八月十五日曉坐 丁卯在雙峰) ···········3
가을날 회포를 적다(秋日書懷) ···········5
승검초 캐며(采山行 庚午在大芚寺) ···········7
시냇가를 걸으며(溪行) ···········10
비에 막혀 다산초당을 가지 못하다(阻雨未往茶山草堂 癸酉) ···········12
못 속의 어린 물고기를 보고(賦得池中魚苗) ···········15
수종사 회고(水鍾寺懷古) ···········17
서성 눈 오는 밤에(西城雪夜與山泉居士 金命喜 拈杜樊川韻) ···········19
또 한창려의 운에서 따다(又拈昌黎韻) ···········21
불국사에서 옛일을 생각하며 9수(佛國寺懷古 九 丁丑六月在慶州) ···········23
서울로 과거 시험 보러 가는 다정을 전송하며(送茶亭赴京試) ···········31
도촌 선생이 율시 한 수를 보내왔기에 차운해서 화답하다(道村寄一律次韻却寄) ···········33
금강석 위에서 언 선자와 함께(金剛石上與彦禪子 和王右丞 終南別業之作) ···········35
한창려의 시에서 운을 따서 산사 생활을 노래하다(又拈昌黎韻同賦幽居) ···········37
또 왕남전의 운을 따서(又拈王藍田韻) ···········39
여러 스님들과 함께 산에서 놀며(九日與縞衣鯨石帆荷衣諸師遊山 癸未) ···········41
송월(松月 甲申 在雲興寺) ···········43
일지암을 중수하며(重成一枝庵 庚寅) ···········48
수종사에서(水鍾寺次石屋和尙) ···········50
두릉시사에서(杜陵詩社與諸詞伯同賦) ···········55
채화정의 좋은 모임(菜花亭雅集) ···········57
채화정 연구(菜花亭聯句) ···········59
다음 날 청량산방에 머물며(翌日仍留淸凉山房 海居都尉尹堂正鎭 李東樊 丁酉山 洪樗遠義人 洪葯人成謨 與余合七人 分韻賦詩以請看石上藤蘿月爲韻 余得月字 詩令禁用梵語) ···········60
금 공의 방에서 묵으며(留宿錦公房) ···········61
또 사언시를 읊다(又賦四言) ···········63
석천에서 차를 달이다(石泉煎茶) ···········66
하전 김익정과 용문산에서 노닐며(金夏篆益鼎 遊龍門山 要余偕之 遂與閔華山隨行 辛卯四月) ····68
새벽녘 사천을 지나며(早過斜川 古寺遺址) ···········70
수월암에 올라 묵으며(上宿水月庵) ···········72
윤필암(潤筆菴) ···········74
문산, 능산과 함께 용호 김매순의 집에 모여(與文山綾山會蓉湖金直閣邁淳宅) ···········76
석호정에서 놀며(遊石湖亭與諸公賦) ···········78
석호정에서 비를 만나(石湖亭値雨次范石湖初秋歸石湖韻) ···········80
빗소리를 들으며(聽雨) ···········82
북선원에서 자하 노인을 뵙고(北禪院謁紫霞老人 辛卯八月) ···········84
유산과 이별하며(留別酉山) ···········86
화원에서(花源奉和北山道人卞持和 二 北山時在珍島牧官 壬辰) ···········88
정양 도인의 시에 화답하며(晶陽和余淸凉寺雅集韻見寄復和答之) ···········90
또 조당의 운을 따서(又拈曺唐) ···········92
관서의 찬 상인이 법어를 구하기에(關西贊上人求語聊以一偈贈送 丙申秋) ···········94
금강산 유람시(遊金剛山詩 戊戌春 與秀洪同作) ···········96
운엄 도인에게(贈雲道人) ···········100
유생 김금릉과 수재 이창애가 게송을 구하기에(金斯文金陵 李秀才蒼崖 寄書求偈 遂更次前韻 三疊以寄九首) ···········103
멀리 떠나면서(一見大作可其人臨行遙贈一絶 晩蘇 湖中人 登進士 常遊京洛 以文章名世 時居羅州冊室 欲賞此山秋景而來 轉至草庵 略覽拙稿而去下寺 作此一絶留與) ···········106
여름날 죽림정사에 모이다(夏日會竹林精舍 在全州府西南山間) ············108
보내 준 시에 차운해(次安逸人見寄之作) ···········110
백운동에서 학이 나는 것을 보고(白雲洞見白鶴翎有作 己亥秋) ···········111
비 오는 밤 창암에서 묵으며(訪晩蘇不遇留宿蒼巖夜雨) ···········113
운주루에서(運籌樓陪水使沈公樂臣同賦 二) ···········115
풍입송(風入松 戊戌立春日迎東皇) ···········117
처사 서상군 만사(徐處士尙君挽詞 壬寅 徐君生前隨請預作) ···········119
운엄 도인의 시를 차운하다(次雲道人韻 八 癸卯十月) ···········121
고향으로 돌아오다(歸故鄕 癸卯) ···········123
삼가 유산의 다시에 답하다(奉答酉山茶詩 二) ···········125
일속암가(一粟庵歌 幷序 己酉) ···········130
삼가 산천 도인이 차를 받고 보내온 시에 답하다(奉和山泉道人謝茶之作 庚戌) ···········135

해설 ···········141
지은이에 대해 ···········148
옮긴이에 대해 ···········150

저자소개

저자 의순(意恂, 1786∼1866)은 조선 후기의 승려다. 호는 초의(草衣), 성은 장(張), 자는 중부(中孚)다. 15세에 병으로 죽을 고비를 넘긴 뒤 남평(南平) 운흥사(雲興寺)에서 승려가 되어 금담(金潭)에게서 선(禪)을 닦고, 윤우(倫佑)의 법을 이어받았다. 범자(梵字) 및 신상(神像)에 능했고, 정약용에게 유학과 시문을 배웠다. 신위, 김정희 등과 사귀면서 해남 두륜산(頭輪山)에 일지암을 짓고 40년간 지관(止觀)을 닦았다. 서울 봉은사(奉恩寺)에서 ≪화엄경(華嚴經)≫을 새길 때 증사(證師)가 되었고, 달마산(達摩山) 무량회(無量會)가 창립되자 강석(講席)을 주재했다. 저서 ≪선문사변만어≫를 통해 긍선의 ≪선문수경≫ 주장을 반박하며 여래선에 대한 자신만의 논리를 전개했다. 또한 스님은 우리나라 다도를 정립해 ‘다성(茶聖)’이라 불린다. 다산의 <동다기(東茶記)>와 함께 그가 쓴 <동다송>은 우리나라 차 문화의 격을 한층 드높였다. 이에 초의 선사의 사상을 ‘다선일미(茶禪一味)’라는 말로 표현하고 있다. 차를 준비하고 향유하는 전 과정을 통해 법희선열(法喜禪悅)을 맛본다, 즉 차(茶) 안에 부처님의 진리[法]와 명상[禪]의 기쁨이 다 녹아 있다는 것이다.

도서소개

▶《 지식을만드는지식 천줄읽기》 는 오리지널 고전에 대한 통찰의 책읽기입니다. 전문가가 원전에서 핵심 내용만 뽑아내는 발췌 방식입니다.

『초의시고』는 초의차를 완성하고 <동다송>을 지어 우리나라 다도를 정립한 한국의 다승 초의선사 의순이 지은 시 중 다산 정약용, 추사 김정희 등이 극찬한 시 56편 76수를 가려 뽑았다. 초의 스님의 시는 ‘맑고 심오하고 소순기를 벗었으며 담백하면서도 높은 뜻과 격조를 갖추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