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열이전

열이전

  • 조비
  • |
  • 지식을만드는지식
  • |
  • 2011-07-22 출간
  • |
  • 113페이지
  • |
  • 148 X 210 mm
  • |
  • ISBN 9788964067758
판매가

14,800원

즉시할인가

13,32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32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위진남북조 최초의 지괴소설집. 부록으로 옮겨진 <한빙 부부>와 <장숙고> 고사까지지 총 51조의 괴이한 고사들을 소개한다. 조비의 “귀물의 기괴한 일”에 대한 생동감 넘치는 기술을 감상한다.

≪열이전≫은 귀신, 요괴, 신선, 도술, 저승, 유혼, 기이한 물건, 재생, 변신, 민간 전설 등의 다양한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는데, 이후 본격적으로 전개되는 위진남북조 지괴소설의 전형적인 내용이 된다. 위 문제 조비가 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서는 3권이었으나 남송대 이후에 이미 망실된 것으로 보인다. 그 일문이 여러 유서에 산재되어 총 51조가 남아 있는데, 현재 남아 있는 일문을 통해 ≪열이전≫의 대체적인 면모와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열이전≫의 찬자설
≪열이전≫의 최초 저록은 당나라 때 편찬된 ≪수서≫ <경적지> 잡전류에 보이는데 “≪열이전≫ 3권, 위 문제 찬”이라 했으며, 잡전류 소서(小序)에서도 “위 문제가 또 ≪열이전≫을 지어 귀물의 기괴한 일을 기록했다”고 분명히 밝혔다. 또한 당나라 우세남의 ≪북당서초≫, 이현의 ≪후한서≫ 주, 서견의 ≪초학기≫ 등도 ≪열이전≫을 인용하고 찬자를 위 문제라고 기록했다. 송나라 정초의 ≪통지≫ <예문략>에도 ≪수서≫ <경적지>와 같이 기록되어 있다. 이상의 기록에 따라, ≪열이전≫의 원서는 본래 3권이었으며 그 찬자는 위 문제 조비임이 분명해 보인다. 또한 조비는 박물에 관심이 많았고 <절양류행>과 같은 유선시를 지은 것으로 보아 그가 찬자라는 데 충분히 설득력이 있다고 판단된다.
한편 오대 때 편찬된 ≪구당서≫ <경적지> 잡전류에는 “≪열이전≫ 3권, 장화찬”이라 저록되어 있고, 송나라 때 편찬된 ≪신당서≫ <예문지> 소설가류에는 “장화 ≪박물지≫ 10권, 또 ≪열이전≫ 1권”이라 저록되어 있으며, 송나라 왕흠약의 ≪책부원귀≫ <국사부>에는 “장화 찬 ≪열이전≫ 3권”이라 저록되어 있는데, 어디에 근거해 찬자를 장화라고 했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현재 ≪열이전≫의 일문 가운데 <왕신> 고사는 위 명제 경초 연간(237~239)의 일이고, <왕주남> 고사는 제왕정시 연간(240~249)의 일이며, <현초> 고사(제32조)는 제왕 가평 연간(249~254)의 일이다. 이 시기는 모두 조비의 사후에 해당하므로 후대 사람이 찬입한 것으로 보이는데, 서진 장화(232~300)의 활동 시기에서 벗어나지 않으므로 찬자가 장화일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청나라 요진종은 ≪수서경적지고증≫에서 “장화가 문제의 책을 이어 지었는데 후대 사람이 그것을 합친 것으로 여겨진다”라고 하면서, 본래 조비가 찬하고 장화가 그것의 속편을 짓거나 증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처럼 ≪열이전≫의 찬자에 관해 조비설, 장화설, 장화의 속작설이 있다. ≪열이전≫의 최초 찬자는 조비인 것이 분명해 보이지만 이는 주변의 이야기를 모아서 만든 개방적인 볼거리였기에 이후 장화 혹은 다른 후대 사람이 재편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보인다.
남송대 이후의 전적에는 ≪열이전≫에 대한 저록이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그것은 남송대 이후에 망실된 것으로 보인다. ≪열이전≫의 일문은 루쉰의 ≪고소설구침≫에 총 49조가 집록되어 있고 그 후에 2조가 더 발견되어, 현재 총 51조가 남아 있다.

≪열이전≫의 가치
≪열이전≫은 위진남북조 최초의 지괴소설로서 후대 지괴소설에 많은 영향을 미쳤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동진간보의 ≪수신기≫다. 현재 ≪수신기≫에는 ≪열이전≫의 고사 25조가 채록되어 있는데, 일부 고사는 그대로 전해져 기록되어 있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본래 고사보다 훨씬 편폭이 길고 구성이 짜임새 있으며 문학성이 높게 묘사되어 있다. ≪열이전≫의 고사 중에서 지괴소설 최초의 유혼 고사로 여겨지는 <담생>, 어수룩한 귀신을 속이고 팔아서 돈을 번다는 내용의 <송정백>, 협객을 통해 억울하게 죽은 부친의 원수를 갚는다는 내용의 <삼왕 무덤> 등은 묘사가 생동감 넘치고 고사성이 풍부해 후대까지 인구에 회자되고 있다.

목차

해설
지은이에 대해

1. 황제
2. 진보 사당
3. 노특 사당
4. 모두 기병
5. 삼왕 무덤
6. 공자 무기
7. 노소천
8. 공손달
9. 난후
10. 선우기
11. 수광후
12. 소아
13. 포선
14. 비장방(1)
15. 비장방(2)
16. 비장방(3)
17. 풍 부인
18. 장자문
19. 호모반
20. 도삭군
21. 화흠
22. 장제의 아들
23. 유탁
24. 등탁
25. 탕성경
26. 하문
27. 송정백
28. 부 상서의 딸
29. 사슴으로 변한 팽씨
30. 영릉현의 도사
31. 사균
32. 현초
33. 진절방(1)
34. 진절방(2)
35. 채경(1)
36. 채경(2)
37. 여군
38. 석후 사당
39. 담생
40. 채지
41. 귀신 손님
42. 유백이
43. 강엄과 병랑
44. 잉어 요괴
45. 왕신
46. 왕주남
48. 여산의 야생 거위
49. 노자

부록
50. 한빙 부부
51. 장숙고

옮긴이에 대해

저자소개

저자 조비(曹丕, 187~226)는 삼국시대 위(魏)나라 문제(文帝)로서 당시의 대표적인 문학가 중 한 사람이기도 하다. 자는 자환(子桓)이며 패국(沛國) 초 사람이다. 후한 헌제(獻帝) 건안(建安) 16년(211)에 오관중랑장(五官中郞將)과 부승상(副丞相)이 되었고, 22년(217)에 위 태자로 책봉되었다. 연강(延康) 원년(220)에 부왕(父王) 조조(曹操)가 죽자 위왕(魏王)과 승상 자리를 계승했으며, 같은 해 10월에 위나라를 개국하고 제위에 올라 연호를 황초(黃初)로 정했다. 7년간 재위한 뒤 226년에 39세로 죽었다. ≪삼국지(三國志)≫ <위서(魏書)·문제기(文帝紀)>에 그의 전(傳)이 있다. 조비는 박학하고 재주가 많았는데, “여덟 살 때 문장을 짓는 데 능했고 빼어난 재주를 지녔기에 고금의 경전(經傳)과 제자백가의 책에 두루 능통했으며”, “어렸을 때는 ≪시경≫과 ≪논어≫를 암송했고, 장성해서는 오경과 사부(四部)를 갖추어 통독했으며, ≪사기≫, ≪한서≫, 제자백가의 설을 모두 열람하지 않은 것이 없었다”. 문학가로서 조비는 시가에서 가장 뛰어난 면모를 보였는데, 그의 부친 조조, 동생 조식(曹植)과 ‘삼조(三曹)’로 병칭된다. 그는 “문학을 애호하고 저술을 임무로 삼아 스스로 편찬한 책이 거의 100편에 이르렀다”. 그의 저작으로는 ≪위문제집(魏文帝集)≫ 23권, ≪전론(典論)≫ 5권, ≪사조(士操)≫ 1권, ≪열이전≫ 3권, ≪소서(笑書)≫ 등이 있다. 그리고 중국 최초의 유서(類書)로 알려진 ≪황람(皇覽)≫ 1000여 권을 칙명으로 편찬했는데, 지금은 모두 망실되고 그 일부만 전해지고 있다.

도서소개

위진남북조 최초의 지괴소설집 『열이전』. 이 책은 부록으로 옮겨진 <한빙 부부>와 <장숙고> 고사까지지 총 51조의 괴이한 고사들을 소개한다. 귀신, 요괴, 신선, 도술, 저승, 유혼(幽婚), 기이한 물건, 재생, 변신, 민간 전설 등의 다양한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원서는 3권이었으나 남송대(南宋代) 이후에 이미 망실된 것으로 보인다. 그 일문(佚文)이 여러 유서(類書)에 산재되어 총 51조가 남아 있는데, 현재 남아 있는 일문을 통해 <열이전>의 대체적인 면모와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