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취옹담록

취옹담록

  • 나엽
  • |
  • 지만지
  • |
  • 2011-06-01 출간
  • |
  • 173페이지
  • |
  • 148 X 210 mm
  • |
  • ISBN 9788964067628
판매가

12,000원

즉시할인가

10,8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0,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수호전, 삼국지, 서유기, 금병매, 중국 4대 기서의 모태가 된 책. 송나라 이야기꾼들의 필독서.
이 책을 읽기 전에 소설을 논하지 말라.
연애 소설, 추리 소설, 콩트, 판타지… <아내의 유혹> 같은 막장 소설까지, 이 책 한 권에 모두 들어 있다.


≪취옹담록≫은 송대에 출현한 소설 형식인 ‘화본(話本)’과 관련된 아주 중요한 서적으로서, 당시의 직업적 이야기꾼들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는 문헌이다. 이 책에는 주로 당송(唐宋) 시기에 유행했던 전기(傳奇)소설 가운데 일부분 혹은 거의 대부분의 내용이 편집자의 의도에 따라 실려 있으며, 그 밖에 약간의 시와 사(詞) 그리고 콩트와 비슷한 잡다한 글들을 함께 수록하고 있다. 그 가운데 송대의 설화나 화본, 희곡 및 기타 통속문학 자료와 관련된 작품들은 특히 중국 고전소설 연구자들로부터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제1권에 실려 있는 <소설인자>와 <소설개벽> 두 편의 글에는 당시 이야기꾼들이 갖추어야 할 지식과 기술 등이 아주 자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아울러 당시에 유행하던 이야기들을 영괴(靈怪)·연분(煙粉)·전기(傳奇)·공안(公案)·박도(朴刀)·간봉(杆棒)·신선(神仙)·요술(妖術) 등 여덟 종류로 분류하고, 각 종류별로 대표되는 작품들을 나열해 모두 100여 가지가 넘는 작품을 기록해 놓았다. 즉 이 책의 진정한 가치는 중국 소설사에서 일대 전환점이 되는 송대의 소설 환경을 가장 잘 보여 줄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우선적으로 찾을 수 있다.
이 밖에도 ≪취옹담록≫이 소설 사료로서 지니는 절대적인 가치는 <소설개벽>에 담긴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첫째, 나엽이 여기에 정리해 놓은 작품들은 송대 사람들이 당시에 소설을 얼마나 즐겼는지를 알려 주며, 훗날 소설의 가치와 지위를 제고하는 데 관건이 되는 역할을 했다는 방증으로 삼기에 충분하다.
둘째, 송대에 들어와서 ≪취옹담록≫과 같이 전문적인 이야기꾼이나 소설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위해 만들어진 과도기적 형태를 띤 소설집의 출현은 중국 소설이 문언소설(文言小說)의 전통적 울타리를 벗어나기 시작해 후대의 백화소설로 발전하는 토양을 제공했다. 문언소설은 그 독자가 주로 식자층으로 한정되어 있으나, 이 책은 이야기꾼이 일반 대중을 청중으로 삼아 풀어내기 편리하게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이러한 과도기적 형태를 거쳐서 명대에 들어서면 청중보다는 독자를 대상으로 정리한 화본소설집이 등장하는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중국 고전소설의 발전 단계에서 중심을 관통하는 핵심적인 뼈대라고 할 수 있겠다.
셋째, 이른바 중국의 ‘사대기서’라 불리는 소설의 태동과 관련된 중요성을 들 수 있겠다. <소설개벽>에 나열된 작품 가운데는 ≪수호전≫에 등장하는 인물인 <청면수(靑面獸)>·<화화상(花和尙)>·<무행자(武行者)> 등의 이름이 단일 제목으로 제시되어 있고, ≪삼국지≫의 중심인물이라 할 수 있는 ‘제갈량’이란 이름도 나온다. 또한 ≪서유기≫의 저본(底本)이라 할 수 있는 ≪대당삼장취경시화(大唐三藏取經詩話)≫도 송대에 나온 것인데, 이로부터 명대에 출현한 소설 대작들의 원시 형태는 이미 송대에 형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소설개벽>에 열거된 <홍지주(紅蜘蛛)>라는 작품은 송대의 다른 문헌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인데, 1979년 시안(西安)에서 원나라 판본인 <신편홍백지주소설(新編紅白蜘蛛小說)>이라는 제목을 단 책의 일부가 손상된 상태로 발견되었다. 이 문헌은 중국 소설 학계에서 “20세기 소설 자료상의 중대한 발견”이라며 주목을 받은 바 있다. ‘홍백지주’에 관한 이야기는 명말 풍몽룡이 편찬한 ≪성세항언(醒世恒言)≫ 31권 <정절사입공신비궁(鄭節使立功神臂弓)> 이야기의 전신인데, 중국 송원 소설의 전문 연구자인 청이중(程毅中)이란 학자는 ≪송원 소설 연구(宋元小說硏究)≫라는 저서에서 송원 시기에 화본 정리를 담당했던 ‘서회선생(書會先生)’들이 전한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고 보고 있는데, 그 근거는 바로 ≪취옹담록≫에 그 제목이 보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처럼 ≪취옹담록≫은 다른 소설 문헌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귀중한 기록들을 간직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 소설사를 연구하고 이해하는 데 절대 빼놓을 수 없는 문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목차

해설 ·······················7
엮은이에 대해 ··················15

소설인자(小說引子) ···············19
소설개벽(小說開闢) ···············26
사랑의 쟁취를 위한 젊은 남녀의 야반도주(張氏夜奔呂星哥) ·······················36
정녀와 진언신의 몰래 한 사랑(靜女私通陳彦臣) ···52
이어지는 판관 왕강중의 판결(憲臺王剛中花判) ···58
당나라 궁녀가 옷에 수놓은 시와의 인연(唐宮人製短袍詩) ························61
부부가 주고받은 애정 편지(王氏詩回吳上舍) ····63
출세하고서도 약혼녀를 바꾸지 않은 황계중(黃季仲不挾貴以易娶) ·····················65
양성(兩性)을 지닌 몸종(致妾不可不察) ·······70
모기가 호색한인 이유(嘲人好色) ··········73
눈썹이 존재하는 이유(嘲人不識羞) ·········75
못 말리는 술고래 남편(嘲人請酒不醉) ·······76
청동군을 아내로 맞이한 조욱(趙旭得靑童君爲妻) ··77
운용을 아내로 맞이한 설소(薛昭娶雲容爲妻) ····86
직녀를 아내로 맞이한 곽한(郭翰感織女爲妻) ····91
선녀의 당부를 따르지 않은 봉척(封陟不從仙妹命) ··98
동정호에서 용왕의 딸을 만난 유의(柳毅傳書遇洞庭水仙女) ······················104
천태산에서 선녀를 만난 두 남자(劉阮遇仙女于天台山) ·······················115
남교에서 운영을 만난 배항(裴航遇雲英于藍橋) ··118
배신한 애인 왕괴에게 복수한 계영(王魁負心桂英死報) ·······················125
붉은 비단 손수건에 얽힌 약속과 배신(紅?密約張生負李氏娘) ·····················137
무쌍과 왕선객의 행복한 결말(無雙王仙客終諧) ··157
정생을 배신하지 않은 이와(李亞仙不負鄭元和) ··164

옮긴이에 대해 ··················172

저자소개

엮은이 나엽 羅燁, 생몰연대 미상
≪취옹담록≫의 편찬자로 알려진 나엽의 생평에 대해서는 현재 거의 알려진 것이 없다. 다만 제1권 갑집(甲集)의 표제어 아래에 보이는 ‘여릉 나엽 편(廬陵羅燁編)’이라는 기록을 통해 그가 지금의 장시성(江西省) 지안(吉安) 사람이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을 뿐이다. 또한 이 책에 수록된 내용과 어투를 볼 때, 나엽이 주로 활동했던 시기는 송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취옹’이라는 두 글자는 원래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으로 잘 알려진 구양수(歐陽脩)의 호인데, 구양수 또한 북송 시기 여릉에서 주로 활동했기 때문에 나엽이 책 제목을 정하는 데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남송 시기에 중국 전설상의 역사적인 일들로부터 풍속과 지리 등을 논술한 ≪노사(路史)≫ 47권을 편찬했던 나필(羅泌)과 고향이 동일하다는 점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즉 여릉 지방에는 나씨(羅氏) 성을 가진 사람들이 많이 활동한 것으로 보이는데, 나엽은 비록 관직에 오르지 못해 정사(正史)를 비롯한 다른 문헌에 이름을 올리지는 못했지만, 집안 분위기와 주위 환경으로 인해 상당한 학식을 갖추지 않았을까 하는 추측이 가능하다. 당시 중국의 상층 문인들이 소설을 경시하는 풍조 속에서 나엽처럼 ≪취옹담록≫과 같은 통속적인 내용의 책을 자신의 이름을 걸고 편찬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본서의 서문에 해당하는 <소설인자>와 <소설개벽> 두 편의 글에서는 당시 소설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학식과 수준이 결코 낮지 않다는 것을 강조하는 대목이 도드라져 보인다.

역자 이시찬
이시찬(李時燦)은 중국 고전소설을 전공했다. 성균관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한 뒤 타이완 국립정치대학교에서 <취옹담록 연구(醉翁談錄硏究)>(2002)로 석사 학위를 받았고, 베이징대학교에서 <송원 소설가 화본 문헌 전승 연구(宋元小說家話本文獻傳承硏究)>(2007)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사상과 문화로 읽는 동아시아≫(공저,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9)와 ≪고대소설 관련 논문 목록≫(공저, 학고방, 2009)이 있으며, 그 외에 <명(明) 만력(萬曆) 시기소설 선집의출현과형식적특징>을 비롯한 10여 편의 연구 논문이 있다.
중국 역사상 각 시기의 문화적 배경과 해당 시기에 출현한 소설의 특징 및 관련성을 연구하는 데 집중하고 있으며, 중국 문학을 토대로 인문학의 지평을 넓혀 나가는 방법론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BK21 박사 후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강의와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도서소개

▶《 지식을만드는지식 천줄읽기》 는 오리지널 고전에 대한 통찰의 책읽기입니다. 전문가가 원전에서 핵심 내용만 뽑아내는 발췌 방식입니다.

『취옹담록』. 이 책은 송대에 출현한 소설 형식인 ‘화본’과 관련된 아주 중요한 서적으로서, 당시의 직업적 이야기꾼들과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는 문헌이다. 주로 당송 시기에 유행했던 전기소설 가운데 일부분 혹은 거의 대부분의 내용이 편집자의 의도에 따라 실려 있으며, 그 밖에 약간의 시와 사(詞) 그리고 콩트와 비슷한 잡다한 글들을 함께 수록하고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