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불가잡체시 연구

불가잡체시 연구

  • 배규범
  • |
  • 지만지
  • |
  • 2010-06-25 출간
  • |
  • 373페이지
  • |
  • 153 X 224 mm
  • |
  • ISBN 9788964064467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2,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불가 잡체시 연구≫는 그동안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불가 한시’에 대한 방대하고도 전문적인 연구서다. 한시 중에서도 ‘잡체시’에 초점을 맞추어 총망라해 분석하고, 그 유형과 특징을 사례별로 고찰했다. ‘시’로서의 문학성, ‘잡체’로서의 유희성, ‘불가’의 삶에 대한 성찰적 태도가 모두 녹아들어 있다. 이 책은 한국 고전문학을 기반으로 불가 한시를 전공한 저자의 오랜 연구의 결과물로, 불교 연구와 문학 연구 모두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 줄 초석이 될 것이다.

잡체시란?

한시(漢詩)는 지식인들의 지적 능력을 알게 해 주는 잣대였다. 끊임없이 발전해 온 한시의 창작 양상의 정점에 있었던 것이 극대화된 형식미의 근체시(近體詩)였다. 그런데 이런 근체시의 형식의 틀에서 조금씩 벗어나는 변이 형태도 꾸준히 추구되었는데, 이것이 ‘잡스러운 시체’로 창작되는, 바로 ‘잡체시(雜體詩)’다. 시를 한 줄로 배열해 바로 읽거나 거꾸로 읽거나 모두 자연스럽게 의미가 통하는 회문체(回文體), 앞 구의 끝 글자로 다음 구의 첫 글자를 제한하는 장두체(藏頭體), 1부터 10까지의 숫자가 시어로 사용되는 수시체(數詩體) 등이 잡체시의 한 종류다. 그렇다면 왜 ‘불가 잡체시’인가? 이 책에서는 불가 한시에서 왜 잡체시가 쓰였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연구를 진행한다.

장치와 해체의 시학, 불가 잡체시

한시의 형식미라는 ‘장치’의 시학과 잡체시라는 ‘해체’의 시학을 모두 살펴보며 장치와 해체의 시학에 대해 고찰한다. 근체시의 유형, 즉 장치에서 벗어나는 해체의 작업을 통해 성립된 잡체시를 유형별로 나누어 공통된 특징을 찾아내고, 다시 그 유형에서 벗어나 새로운 유형의 해체가 진행되는 순환의 과정을 통해 장치와 해체의 순환 구조를 밝힌다. 장치와 해체의 순환 고리에서 잡체시의 미적 가능성을 찾고, 불가 잡체시의 현황과 양상, 그 의미를 검토하는 것이 이 책의 연구 목적이다. 나아가 잡체시의 범주를 설정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패턴을 발견하고 새로운 불가 잡체시의 유형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이 책에서는 ≪한국불교전서(韓國佛敎全書)≫(전13책)에 수록된 불가 문집 103종 전체에서 잡체시의 범주에 드는 작품 모두를 선정하고, 이들을 22가지의 양상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불가의 시승(詩僧)들은 왜 잡체시를 향유했을까?

불가 잡체시 창작의 주된 배경은 교의적(敎義的) 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형식을 개발하는 과정, 그 자체에 있었다. 중세시대에 한시는 지성인들의 보편적인 소통 도구였다. 뛰어난 문학적 재능을 가진 시승들이 문학이 보편화된 시대에 그것을 도구로 삼아 자신의 이데올로기를 전개한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이었다. 잡체시의 실험성이 강한 형식적 특성과 불가 특유의 사유 체계가 결합하면서 불가 잡체시는 유희성을 넘어 종교문학 특유의 경지를 확보할 수 있었다.

목차

Ⅰ장 | 서언(序言)
1. 연구 목적
2. 연구 내용 및 방법

Ⅱ장 | 장치의 시학: 한시의 형식미
1. 운(韻)
2. 사성(四聲)
3. 압운(押韻)
4. 운서(韻書)와 시운(詩韻)
5. 평측(平仄)
6. 대장(對仗)
7. 대장(對仗)의 분류

Ⅲ장 | 해체의 시학: 잡체시의 범주
1. 일반적인 한시의 분류
1)근체시(近體詩)
2)고체시(古體詩)
2. 잡체시의 개념과 범위

Ⅳ장 | 불가 잡체시의 현황

Ⅴ장 | 불가 잡체시의 양상
1. 잡언시(雜言詩)
1) 작품 현황
2) 오칠잡언체(五七雜言體)
3) 삼오칠잡언체(三五七雜言體)
4) 일지십언체(一至十言體) 또는 보탑시(寶塔詩)

2. 회문체(回文體)
1) 기존 연구 점검
2) 작품 현황
3) 양식적 특성
4) 주제별 특성

3. 장두체(藏頭體: 連環體)
1) 작품 현황
2) 양식적 특성
3) 작품 양상

4. 건제체(建除體)
1) 작품 현황
2) 양식적 특성
3) 작품 양상

5. 요체(拗體)
1) 작품 현황
2) 양식적 특성
3) 작품 양상

6. 수시체(數詩體)
1) 작품 현황
2) 작품 양상

7. 굴곡체(屈曲體)
1) 작품 현황
2) 작품 양상

8. 동파체(東坡體)
1) 작품 현황
2) 작품 양상

9. 연아체(演雅體)
1) 작품 현황과 양식적 특징
2) 작품 양상

10. 측입체(仄入體)
1) 작품 현황
2) 작품 양상

11. 황산곡체(黃山谷體)
1) 작품 현황
2) 작품 양상

12. 팔음체(八音體)
1) 작품 현황과 양식적 특성
2) 작품 양상

13. 실염체(失粘體)
1) 양식적 특성
2) 작품 양상

14. 봉요체(蜂腰體)
1) 양식적 특성
2) 작품 양상

15. 절현체(絶絃體)
1) 양식적 특성
2) 작품 양상

16. 투춘체(偸春體)
1) 양식적 특성
2) 작품 양상

17.진퇴체(進退體)
1) 양식적 특성
2) 작품 양상

18. 간지체(干支體)
1) 양식적 특성
2) 작품 양상

19. 첩자격사체(疊字格寫體)
1) 양식적 특성
2) 작품 양상

20. 팔괘체(八卦體)
1) 양식적 특성
2) 작품 양상

21. 진간재체(陳簡齋體)
1) 양식적 특성
2) 작품 양상

22. 백수체(百愁體)

Ⅵ장 | 결언: 불가 잡체시의 의미
1. 불가 잡체시 창작의 배경
2. 불가 잡체시의 유형

저자소개

저자 배규범은 1998년 <임란기 불가문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경희대, 청주대, 동국대에서 학술연구교수를 거쳤고, 지금은 중국 대외경제무역대학교에서 국제교류재단 객원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 고전문학을 기반으로 불가 한시를 전공한 필자는 한자와 불교를 모티프로 한 동아시아문화론 수립과 확장에 뜻을 두고 있다. 아울러 한국학의 세계화 사업에도 관심을 쏟아 해외 한국어 및 한국문화 교육 현장에서 삶의 의미를 찾고 있다.
역·저서로는 ≪불가시문학론≫(집문당), ≪외국인을 위한 한국고전문학사≫(하우), ≪조선조불가문학연구≫(보고사), ≪요모조모 한국 읽기≫(보고사), ≪사명당≫(민족사), ≪역주 선가귀감≫(예문서원), ≪한글 세대를 위한 명심보감≫(한국학술정보), ≪한자로 배우는 한국어≫(유씨엘), ≪한어경무응용문(韓語經貿應用文)≫(대외경제무역대학출판부), ≪허정집≫(지식을만드는지식), ≪허응당집≫(지식을만드는지식), ≪청허당집≫(지식을만드는지식) 등이 있다.

도서소개

장치와 해체의 시학 『불가잡체시 연구』. 불가 잡체시 창작의 주된 배경은 교의적 내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여식을 개발하는 과정 그 자체에 있다. 이 책은 <한국불교전서>에 수록된 불가 문집 103종 전체에서 잡체시의 범주에 드는 작품을 선정하고 분석하였다. 잡체시의 실험성이 강한 형식적 특성과 불가 특유의 사유 체계가 결합하면서 유희성을 넘어 종교문학 특유의 경지를 확보한 불가 잡체시를 살펴볼 수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