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An Intellectual History of Seonbi in Korea

An Intellectual History of Seonbi in Korea

  • Han Young-woo
  • |
  • 지식산업사
  • |
  • 2014-09-22 출간
  • |
  • 472페이지
  • |
  • 152 X 225 mm
  • |
  • ISBN 9788942311750
판매가

35,000원

즉시할인가

35,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5,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2010년에 출간된 한영우 교수의 《한국선비지성사》의 영문판이다.
한영우 교수는 ‘선비’의 연원을 우리 고대인 고조선시대나 삼국시대에서 찾고 있다. 중국 사람들이 기록한 ‘仙人’ 또는 ‘先人’이 바로 우리말 ‘선비’ 또는 ‘선배’의 번역어로 보는 것이다.
그리고 저자는 단군신화에 나오는 삼신(三神)인 환인은 하늘의 신이요, 환웅은 땅의 신이며, 단군은 사람의 신을 말하는 것으로, 이는 곧 天?地?人 사상을 말하며, 홍익인간(弘益人間)은 우리 고유의 공동체정신을 말하는 것으로 본다.
따라서 한국 전통의 선비(엘리트)들은, 그 뒤 중국을 거쳐 들어온 불교와 유교를 받아들이면서도 우리 고유 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외래사상을 통합하여 사고하고 행동했다고 본다.
예컨대 고구려의 조의선인(早衣仙人)이나 신라의 화랑(花郞)으로 이어졌고 고려의 재가화상(在家和尙)?사장(社長)?향도(香徒) 등으로 전통의 엘리트들이 내려오면서 외래문화를 소화 내지는 체화(體化)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우리 선비정신은 무교(巫敎)에서 시작된 ‘홍익정신’을 바탕으로 불교와 접합되고, 뒤에는 유교와 접목되어 한국 선비의 독특한 ‘체질’을 형성했는데, 이는 달리 말하면 한국인의 ‘문화적 유전인자’(DNA)로 해석할 수 있다.
선비정신의 핵심은 천지인(天地人)을 하나로 보는 우주공동체 사상, 여기서 파생된 ‘생명존중’, ‘낙천성’, ‘신바람’, ‘흥’, ‘미소’, ‘해학’, ‘공동체정신’, ‘공익정신’, ‘민본정치’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예술문화는 다른 나라와 다른 독특한 개성과 체질을 지니게 되었다.
천지인 합일사상은 ‘셋’[三]에 대한 숭상과 ‘음양오행’사상으로도 나타나, 우리나라의 풍속과 언어생활 등에는 셋과 음양오행이 깊숙이 반영되어 있다. 음양오행사상에 바탕을 둔 ‘태극’(太極)에 대한 사랑이 나타나고, ‘태극기’가 조선시대에도 명나라와 청나라 사신을 맞이할 때 국기(國旗)처럼 사용된 것이다.
그리고 이 책에서는 이전에 유학자[士]로만 보아온 인물들이 유불무(儒佛巫)를 통합한 인간상으로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예를 들면, 강감찬은 유학자인 동시에 불교도요, 화랑도를 계승한 인물이다. 조선시대 대표적인 유학자들도 마찬가지로 유불무 곧 문무(文武)를 겸비한 인물로 볼 수 있다. 세종이나 정조 또한 이런 시각에서 해석된다. 이순신도 문무를 겸비하고 화랑정신을 계승하였고, 조식은 칼을 찬 선비이다. 조선 선비들이 왜란이나 한말의 국난을 당했을 때 의병장으로 등장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한편, 공동체적 종교단체이며 무사단체였던 화랑도는 고려시대에 재가화상(在家和尙), 사장(社長), 향도(香徒) 등으로 계승되고, 조선시대 이후로는 차츰 ‘두레패’와 ‘상두꾼’으로 진화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들의 종교적이고 군사적인 놀이문화가 국난을 당했을 때 의병(義兵)으로 표출된 것이다.
선비정신은 전통을 존중하면서 동시에 외래문화를 선별적으로 수용하는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정신으로 이어졌고, 이것이 개항기의 ‘동도서기’(東道西器), 대한제국의 ‘구본신참’(舊本新參)으로 계승되어 자주적인 근대화 지향의 정신을 낳았다. 일제시대의 민족주의와 민주주의 사상가들에게도 그대로 이어져 전통과 서양문화를 절충하는 한국적인 ‘신민주주의’(新民主主義)와 ‘신민족주의’(新民族主義)를 낳았다. 안재홍, 조소앙 등이 그런 인물이다.
결론적으로 이 책은 한국의 전통문화와 전통사상을 새로운 시각에서 해석하면서, 이런 전통을 미래의 신문명 건설에 지침으로 삼아야 한다는 강렬한 문제의식을 담고 있다.

목차

Introduction 011
1.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Cultural Temperament 012
2. The Long Duration of Culture 016
3. Traditional Values: Heaven, Earth, and Man as One 025
4. Evolution of the Seonbi Culture 033
5. Challenges for the Future 039

Chapter 1.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Seonbi Culture 043

Chapter 2.
The Origin of “Seonbi” and Terms for the “Seonbi Spirit” 055

Chapter 3.
Seonbi Culture from the Chinese Perspective:
Land of the Man of Virtue, Nation of Propriety in the East 063
1. The Meaning of Dongyi in Explanations of Writings and Letters 064
2. Confucius’ View of Dongyi: Land of the Man of Virtue 068
3. Seonbi Culture as Seen in Ancient Chinese Texts:
Classic of the Mountains and Seas, Classic of Divine Wonders , and
Biography of the Dongyi 070

Chapter 4.
Original Form of the Seonbi Culture:
Cosmology Reflected in the Dangun Myth 075
1. The Dangun Myth 076
2. Cosmology Reflected in the Dangun Myth (1):
Three Deities as One; Heaven, Earth and Man as One 082
1) Unity of heaven, earth and man: the cosmological community 082
2) Reverence for the number three 088
3) Filial piety and the meaning of death 092
4) Reverence for the brightness and east 095
5) Three deities as one reflected in the Korean language and the arts 098
3. Cosmology Reflected in the Dangun Myth (2):
Hongik Ingan and the Three Deities 106
4. Cosmology Reflected in the Dangun Myth (3):
Yin and Yang and the Five Elements 111

Chapter 5.
Seonbi Culture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123
1. Shamanic Seonbi Culture and Fusion with Buddhism and
Confucianism 124
2. The Seonbi Culture of Goguryeo 131
1) Seonbi warriors and rites to heaven 131
2) Seonbi culture in ancient tomb murals 137
3) Three-treatise School of Buddhism and Nation-protecting Buddhism 143
4) Eulji Mundeok and Confucianism 144
3. The Seonbi Culture of Silla 146
1) Hwarang , Seonnang and Hyangdo 146
2) Fusion of Hwarangdo with Buddhism and Confucianism 149
3) Community philosophy of Uisang and Wonhyo 152
4) Seonbi spirit reflected in hyangga 155
5) Palgwanhoe and the hwarang 158
4. The Seonbi Culture of Baekje 160
1) Heavenly rites of Baekje 160
2) Baekje Buddhism and the seonbi spirit 163
3) Baekje Confucianism and the seonbi spirit 167

Chapter 6.
Seonbi Culture of the Goryeo Dynasty 171
1. The Seonbi Spirit in the Ten Injunctions of Wang Geon 172
2. Jaega hwasang: Combination of Seonbi and Hwarang 174
3. Hyangdo: Remains of the Hwarang 179
4. Palgwanhoe: Remains of Traditional Rites to Heaven 182
5. Seonbi Culture Reflected in Confucianism 187
1) Seo Hui and Yi Ji-baek 188
2) Choi Seung-no 190
3) Choi Hang and Kang Gam-chan 192
4) Choi Chung and the twelve private schools of Gaegyeong 194
5) Deference to the Rites of Zhou 196
6. Seonbi Culture in Buddhism 198
1) Gyunyeo and Myocheong 198
2) The Jogye Order and communities of believers 201
3) Posthumous honor of Wonhyo and Uisang 203
7. Seonbi Spirit in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204
8. The Seonbi Spirit in Geomancy 207

Chapter 7.
Seonbi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215
1. Fusion of the Seonbi Culture and Neo-Confucianism 216
2. Rural Communities (1): Hyangdo 218
1) Positive evaluation of hyangdo 218
2) Negative views of hyangdo 223
3. Rural Communities (2): Geosa and Sajang 231
1) Criticism of sajang by Yang Seong-ji and Han Chi-hyeong 231
2) Protection of the sajang by King Sejong and King Sejo 236
3) Criticism of the sajang by the Sarim faction 237
4. Rural Confucian Communities: Hyangyak 243
1) Zhu Xi’s local community covenant 243
2) Yi Hwang’s hyangyak 244
3) Yi I’s hyangyak 246
4) Hyangyak in the late Joseon Dynasty 250
5. Rural Military Communities (1):
Righteous Armies in the Japanese Invasions 253
6. Rural Military Communities (2): Modern Righteous Armies 257
7. The Seonbi Spirit and Idealism 260
1) Public spirit (1): integrity and moderation 260
2) Public spirit (2): people-based politics and benevolent politics 265
3) Public spirit (3): pubilc land 268
4) Public spirit (4): public appointment 271
5) Public spirit (5): public opinion and public appeal 274
6) Public spirit (6): education, publication, and recording 275
8. Joseon Seonbi’s Deference to the Rites of Zhou 282
9. The Self-confident Spirit of Joseon Seonbi 288
10. Joseon Seonbi’s Philosophy of Peace and the Unity of Heaven,
Earth and Man 293
11. Reinterpretation of the Nobi System 296
12. Eminent Seonbi of the Joseon Dynasty 299
1) Jeong Do-jeon: revolutionary of minbon ideology 299
2) King Sejong: symbol of a seonbi king 305
3) Yang Seong-ji: patriotic historian and geographer 311
4) Jo Gwang-jo: an impatient idealist 320
5) Yi Hwang: crusader for Neo-Confucianism 325
6) Jo Sik: seonbi carrying a sword 331
7) Kim In-hu: Zhou Dunyi of Haedong, Confucius of the Honam region 335
8) Yi I: the great reformist 348
9) Yi Sun-sin: a hero skilled in the literary and military arts 354
10) Yi Su-gwang: silhak scholar and pioneer who rejected Sino-centrism 363
11) Hong Man-jong: philosopher who fused the three religions 370
12) Yu Su-won: pioneer of northern learning who resisted factional and family ties 381
13) Yi Ik: scholar and teacher of the Namin faction 387
14) Yi Jong-hwi: pioneering nationalist historian 393
15) Jeongjo: reformist king who dreamt of a people’s nation 401
16) Jeong Yak-yong: the man who synthesized Silhak 410

Chapter 8.
Modern Seonbi Culture 419
1. Theory of Eastern Ways, Western Technology in the Modern Period 420
2. Daehan Empire: Referring to the New Based on the Old 424
3. Seonbi Culture of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1): Nationalism 429
4. Seonbi Culture of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2):
Daedong Ideology and Anarchism 432
5. Seonbi Culture of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3):
Left-right Unity and the Principle of the Three Equalities 436
6. Seonbi Culture of the 1940s: Neo-Nationalism 440
7. Seonbi Culture after Liberation:
Emergence of a Distorted “Self-reliance” 444

Conclusion 446

Glossary 449

Chronology 472

저자소개

Han Young-woo gained his Ph.D. in Korean Histor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is currently Professor Emeritus at his alma mater. He has previously served as Director of the Ewha Woman’s University Ewha Academy for Advanced Studies, Dean of the College of Humaniti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Director of the Kyujanggak Archives, and Visiting Professor at Harvard University. His major publications include Jeong Do-jeon: Architect of the Joseon Dynasty (1973, 1999 revised), A Study on the Historiography of the Early Joseon Period (1981), A Study on the Socioeconomic History of the Early Joseon Period (1983), A Study on Korean Nationalist Historiography during the Modern Period(1994), A Study on the Status System during the Joseon Period (1997), A Review of Korean History (1997, 2004 revised), King Jeongjo’s Eight-day Procession to Hwaseong Fortress (1998), Empress Myeongseong: Founder of the Daehan Empire (2001), Book of Rites of the Joseon Period (2005), Yi Su-Gwang: Forerunner of the Silhak School (2007), Yang Seong-ji: An Advanced Intellect in the 15thCentury (2008), Kyujanggak: Source of Cultural Politics during the Joseon Period (2008), and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the Ladder of Success in Joseon Dynasty Vol. 1~4 (2013)

도서소개

[An Intellectual History of Seonbi in Korea- Korean Cultural DNA]는 2010년에 출간된 한영우 교수의 《한국선비지성사》의 영문판이다. 우리 선비정신은 무교(巫敎)에서 시작된 ‘홍익정신’을 바탕으로 불교와 접합되고, 뒤에는 유교와 접목되어 한국 선비의 독특한 ‘체질’을 형성했는데, 이는 달리 말하면 한국인의 ‘문화적 유전인자’(DNA)로 해석할 수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