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국불교사 연구 입문(상)

한국불교사 연구 입문(상)

  • 최병헌 (엮음)
  • |
  • 지식산업사
  • |
  • 2013-09-12 출간
  • |
  • 532페이지
  • |
  • 148 X 210 X 35 mm /908g
  • |
  • ISBN 9788942311668
판매가

30,000원

즉시할인가

30,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0,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한국문화의 주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전통문화의 큰 자산인 불교는 한국의 역사와 문화 발전 과정에서 큰 역할을 담당했으며, 그 위상의 크고 높음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이는 2013년 현재 국보와 보물로 지정된 국가 문화재 가운데 불교 관련 유적과 유물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한다는 사실이 증명해 준다.
현재 한국불교에 대한 연구는 민속학·신화학·문학·고고학·건축학·인류학·정치학·경제학·사회학·물리학 등 인접 분야로까지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연구주제도 불교교학과 교단에 대한 문헌 중심의 이해에서 벗어나 사회생활과 불교문화의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일본과 서양학계에서 훈련받은 젊은 학자들이 신선한 바람을 일으키고 있으며, 외국학계와의 학문 교류도 더욱 활발해져 공동연구가 추진되는 단계에 진입하고 있다.
이 책은 한국불교사 연구의 문제점에 대한 비판과 반성에서 출발했으며, 불교사 연구의 환경 변화에 상응하여 새로운 연구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한국불교사에 대한 개괄적인 소개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그동안의 연구성과를 반성하면서 향후 연구 방향을 조망하는 연구입문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불교사상과 역사를 비롯한 불교문화를 총체적으로 서술한 《한국불교사 연구 입문》은 지금까지의 한국불교사 연구를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연구 경향을 가늠하는 데 좋은 길잡이가 될 것이다.

목차

머리말 5


제1부 한국불교사의 새로운 이해


근대 한국불교사학의 전통과 불교사 인식 최병헌
1. 18~19세기의 전통적인 불교사서와 근대 불교사학 / 19
2. 일제강점기의 한국불교사 연구 / 25
3. 민족해방 이후의 한국불교사 연구 / 55

한국불교사의 체계적 인식과 이해방법론 최병헌
1. 한국불교의 역사적 성격론의 연원과 의의 / 85
2. 회통불교론의 의미와 문제점 / 91
3. 호국불교론의 의미와 문제점 / 94
4. 기복적 불교론의 의미와 한국불교사의 이해 / 98
5. 맺음말: 한국불교사에서 아시아불교사로 / 102

한국의 역사와 불교 ― 사회전환과 불교변화 최병헌
1. 고대불교(372~935) / 107
2. 고려불교(935~1392) / 116
3. 조선불교(1392~1876) / 123
4. 근대불교(1876~1945) / 127
5. 현대불교(1945~현재) / 137

제2부 고대불교

불교 수용 이전과 한국의 종교전통 나희라
1. 한국불교사 연구와 불교 수용 이전의 종교전통 / 147
2. 한국 고대의 종교 연구동향 / 148
3. 한국 고대의 종교전통에 대한 연구성과와 과제 / 156

한국의 토착종교와 불교 서영대
1. 머리말 / 175
2. 한국 토착종교의 현상現狀 / 178
3. 한국 토착종교의 역사 / 184
4. 토착종교와 불교의 만남 / 192

고대의 불교와 국가 신동하
1. 연구 의의 / 205
2. 인도, 중국의 불교와 국가 / 207
3. 불교수용과 국가 / 213
4. 교단체제와 국가권력 / 224
5. 연구과제 / 229

원효의 생애와 사상 남동신
1. 개관: 근대적 원효상의 성립 / 234
2. 연구성과 / 241
3. 전망과 과제 / 268

화엄사상 정병삼
1. 화엄사상의 형성과 한국불교사적 의의 / 280
2. 화엄사상의 연구동향과 성과 / 290
3. 신라 화엄사상 연구의 과제와 전망 / 305

신라 유식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최연식
1. 신라 불교와 유식학 / 313
2. 신라 유식학 연구의 전개 과정 / 325
3. 신라 유식학 연구의 쟁점과 과제 / 344
4. 맺음말 / 348

발해불교 송기호
1. 개관 / 360
2. 연구성과와 쟁점 / 362
3. 과제와 전망 / 369

제3부 고려불교Ⅰ

고려시대 법상종의 연구동향 토니노 푸지오니
1. 머리말 / 377
2. 고려 초기 법상종과 연구동향 / 381
3. 고려 중기 법상종의 흥성과 그 연구의 문제점 / 384
4. 무신집권기 법상종 교단의 성격 / 394
5. 원간섭기 법상종의 재등장과 연구과제 / 400
6. 앞으로의 과제 / 409

고려 후기의 신앙결사 채상식
1. 개관 / 413
2. 연구동향과 성과 / 416
3. 과제와 전망 / 436

고려 후기의 임제종 수용과 간화선 인경
1. 불교사적 의의 / 440
2. 연구동향과 성과 / 445
3. 과제와 전망 / 450

원간섭기 고려불교에 대한 이해 ― 고려와 원의 불교 교류 강호선
1. 개관: 고려·원 불교 교류의 한국불교사적 의의 / 456
2. 고려·원 불교 교류의 연구동향과 성과 / 458
3. 고려·원 불교 교류 연구의 과제와 전망 / 474

고려대장경 박상국
1. 서문 / 481
2. 대장경에 대한 이해 / 483
3. 초조대장경 / 496
4. 해인사 고려대장경판 / 505
5. 마무리 / 527

저자소개

저자 최병헌은 1943년 충남 출생.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수료. 한국불교사·사상사 전공.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교수 역임. 한국사연구회 회장 역임.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도쿄대학 인도철학과에서 불교학 연구·베이징대학 사학과에서 한국고대사 강의. ?고려불교사연구?·?신라하대 선종구산파의 성립? 등 저서와 논문 다수.

도서소개

『한국불교사 연구 입문(상)』은 한국불교사 연구의 문제점에 대한 비판과 반성에서 출발했으며, 불교사 연구의 환경 변화에 상응하여 새로운 연구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된 책이다. 한국불교사에 대한 개괄적인 소개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반성하면서 향후 연구 방향을 조망하는 연구입문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