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국불교사 연구 입문(하)

한국불교사 연구 입문(하)

  • 최병헌 (엮음)
  • |
  • 지식산업사
  • |
  • 2013-09-12 출간
  • |
  • 545페이지
  • |
  • 148 X 210 X 35 mm /928g
  • |
  • ISBN 9788942311675
판매가

30,000원

즉시할인가

27,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7,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한국문화의 주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전통문화의 큰 자산인 불교는 한국의 역사와 문화 발전 과정에서 큰 역할을 담당했으며, 그 위상의 크고 높음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이는 2013년 현재 국보와 보물로 지정된 국가 문화재 가운데 불교 관련 유적과 유물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한다는 사실이 증명해 준다.
현재 한국불교에 대한 연구는 민속학·신화학·문학·고고학·건축학·인류학·정치학·경제학·사회학·물리학 등 인접 분야로까지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연구주제도 불교교학과 교단에 대한 문헌 중심의 이해에서 벗어나 사회생활과 불교문화의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일본과 서양학계에서 훈련받은 젊은 학자들이 신선한 바람을 일으키고 있으며, 외국학계와의 학문 교류도 더욱 활발해져 공동연구가 추진되는 단계에 진입하고 있다.
이 책은 한국불교사 연구의 문제점에 대한 비판과 반성에서 출발했으며, 불교사 연구의 환경 변화에 상응하여 새로운 연구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한국불교사에 대한 개괄적인 소개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그동안의 연구성과를 반성하면서 향후 연구 방향을 조망하는 연구입문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불교사상과 역사를 비롯한 불교문화를 총체적으로 서술한 《한국불교사 연구 입문》은 지금까지의 한국불교사 연구를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연구 경향을 가늠하는 데 좋은 길잡이가 될 것이다.

목차

제4부 고려불교Ⅱ


고려시대 불교사서와 불교사 인식 김상현
― 《해동고승전》과 《삼국유사》를 중심으로
1. 개관 / 13
2. 연구동향과 성과 / 17
3. 과제와 전망 / 29

사원경제 이병희
1. 개관 / 35
2. 연구사 검토 / 41
3. 과제와 전망 / 79

고려불교와 여성 김영미
1. 개관 / 92
2. 연구동향과 성과 / 103
3. 연구과제와 전망 / 115
제5부 조선불교


조선시대 불교사의 특성 김용태
1. 들어가는 말 / 127
2. 조선시대 불교사 연구의 흐름 / 129
3. 조선시대 불교사의 쟁점과 과제 / 141

조선 후기 진언집과 불교의식집의 간행 남희숙
1. 머리말 / 161
2. 다라니경·진언집의 내용과 간행 주체 / 164
3. 불교의식집의 간행과 불교 대중화 / 179
4. 맺음말 / 191

조선 후기 사기私記의 불교학적 의미 이정희
1. 서언 / 198
2. 사기의 의의와 현존 사기 / 200
3. 사기 출현의 배경 / 206
4. 조선 후기 사기의 특징 / 213
5. 각종 사기와 그 교학적 의미 / 218
6. 결어 / 236

조선시대 불교조각 송은석
1. 개관 / 243
2. 연구동향과 성과 / 245
3. 연구과제와 전망 / 261
제6부 근현대불교


일제 침략과 식민지불교 최병헌
1. 일제日帝의 한국 침략과 일본불교의 침투 / 271
2. 일제의 한국강점과 한국불교 병합 / 280
3. 조선총독부의 식민지불교정책과 본말사제도本末寺制度 / 287
4. 조선총독부의 황민화정책皇民化政策과 조계종曹溪宗의 창립 / 295
5. 맺음말 ― 식민지불교의 잔재와 청산과제 / 307

근대 불교 종단 성립 김순석
1. 근대 불교 종단 성립의 의의 / 317
2. 근대 불교 종단 성립의 연구동향과 그 성과 / 329
3. 근대 불교 교단 성립에 관한 연구과제와 전망 / 333

해방공간의 불교 김광식
1. 개관 / 339
2. 연구동향과 성과 / 341
3. 과제와 전망 / 349

근현대 불서간행 윤창화
1. 개관 / 356
2. 불서간행의 시대별 동향과 성과 / 359



제7부 외국 학계의 한국불교사 연구


일본 메이지시기 불교의 전개와 근대불교학의 성립 이태승
1. 들어가는 말 / 395
2. 메이지 초기 폐불훼석과 불교계의 대응 / 397
3. 국가주의 불교와 교단별 해외포교 / 405
4. 근대불교학의 성립과 전개 / 412
5. 근대 불교의 연구 전망과 중요 인물 / 422

일본 학계의 한국 화엄학 연구동향 김천학
1. 개관: 일본 학계의 한국불교에 대한 주요 연구 / 430
2. 일본 학계 화엄학 연구의 주요 흐름 / 435
3. 일본 학계의 한국 화엄학 연구동향과 성과 / 443
4. 과제와 전망 / 449

일본 학계의 조선시대 불교사 연구 오시카와 노부히사
1. 머리말 / 454
2. 1945년 이전의 연구 / 455
3. 다카하시 토오루의 연구 / 459
4. 에다 토시오의 연구 / 462
5. 1945년 이후의 연구 / 464
6. 맺음말 / 471



천주교 선교사들의 한국불교 인식 윤선자
1. 머리말 / 478
2. 쇠락한 한국불교사 서술 / 481
3. 윤회설 비판 / 491
4. 불교 승려들의 생활 경외 / 504
5. 맺음말 / 512

서양 학계의 한국불교사 연구 판카즈 모한
1. 들어가면서 / 516
2. 1910년대에서 1970년대까지 해외학자의 연구성과 / 520
3. 1980년대 서양에서 한국 고대불교 전공자들의 등장 / 526
4. 21세기의 한국불교사 연구동향 / 533
5. 결론 / 537

편집 후기 545

저자소개

저자 최병헌은 1943년 충남 출생.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수료. 한국불교사·사상사 전공.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교수 역임. 한국사연구회 회장 역임.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도쿄대학 인도철학과에서 불교학 연구·베이징대학 사학과에서 한국고대사 강의. ?고려불교사연구?·?신라하대 선종구산파의 성립? 등 저서와 논문 다수.

도서소개

『한국불교사 연구 입문(하)』은 한국불교사 연구의 문제점에 대한 비판과 반성에서 출발했으며, 불교사 연구의 환경 변화에 상응하여 새로운 연구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된 책이다. 한국불교사에 대한 개괄적인 소개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반성하면서 향후 연구 방향을 조망하는 연구입문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