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부처님의 생애

부처님의 생애

  •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부처님의 생애 편찬위원회
  • |
  • 조계종출판사
  • |
  • 2010-01-22 출간
  • |
  • 468페이지
  • |
  • 153 X 224 X 30 mm /944g
  • |
  • ISBN 9788993629361
판매가

24,000원

즉시할인가

21,6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1,6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 우리도 부처님처럼
불교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입니다.
불자는 부처님의 삶을 본받아 부처님처럼 살아가기를 서원한 사람들입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르고 부처님의 삶을 바르게 본받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이 부처님의 생애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입니다. 부처님의 삶 속에는 불교의 위대한 사상과 가르침 그리고 우리가 본받아야 할 거룩한 삶의 표본이 녹아 있기 때문입니다.

◎ 종단본《부처님의 생애》

부처님의 삶에 관한 수많은 책들이 있습니다.
《불소행찬》이나《불본행집경》등의 한문본 경전을 번역한 책이나 외국학자들이 쓴 저작물을 번역한 책이 주를 이루다가 최근에 들어 우리나라 학자와 스님들이 쓴 부처님의 일대기가 출판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개인 저작물이라는 점에서 보편적 입장을 대변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하여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원 불학연구소에서는 종단적 차원에서 부처님의 생애를 조명하기로 하고 불타론 관련 전공학자 일곱 분을 편찬위원으로 위촉하여 종단본《부처님의 생애》를 편찬하게 되었습니다. 종단본《부처님의 생애》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첫째, 감동적으로 부처님의 삶을 전달

《부처님의 생애》는 총 10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탄생과 성장부터 마지막 유행(遊行)과 입적에 이르는 전 과정을 전기적 서술양식으로 상세하게 기술하였습니다. 학술적이고 전문적인 내용보다 부처님의 삶을 감동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학문의 대상으로서의 부처님이 아니라 귀의 대상으로서의 부처님을 발견하고 불자가 지향해야 할 삶의 사표(師表)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둘째,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다

부처님의 삶을 평이한 문체와 이야기 형식으로 기술하여 독자들이 흥미를 가지고 읽을 수 있습니다. 전문적인 내용도 이야기 속에 자연스레 풀어 놓아 독자들이 부처님의 사상과 가르침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셋째, ‘불타론’ 전공자들의 공동작업으로 편찬

《부처님의 생애》는 국내외에서 불타론을 전공한 전문학자들을 중심으로 편찬위원회를 구성하여 공동 작업을 통해 편찬되었습니다. 개인적 사견은 최대한 배제하고 학계에서 통용될 수 있는 보편적 내용을 담았습니다. 이를 위해 지난 2년 동안 10여 차례에 걸친 편찬 회의와 두 차례에 걸친 워크숍을 통해 부처님의 발자취를 집대성하였습니다.

넷째, 내용의 정확성과 풍성함을 위해 여러 불전 문헌을 참조

부처님의 삶을 정확하게 담아내기 위해 《불소행찬》과 《불본행집경》 같은 한문 불전은 물론 빨리본과 싼스끄리뜨본 등 다양한 원전과 최근에 발간된 단행본까지 폭넓게 참조하였습니다. 동일한 사안에 대해서 여러 불전의 기록이 상이할 경우 편찬회의를 통해 토론과 학술적 검증을 거쳐 부처님의 삶을 가장 정확하게 드러낼 수 있는 내용을 선택하였습니다.

다섯째, 싼스끄리뜨어 및 빨리어 발음표기와 대조표를 부록으로 작성

《부처님의 생애》는 인명과 지명 등의 고유명사는 가능한 원래 음가대로 표기하기 위해 산쓰끄리뜨어와 빨리어 발음을 중심으로 표기하였는데, 특히 싼스끄리뜨어 표기는 2005년 한국불교학회에서 제정한 싼스끄리뜨 표준 표기법을 따랐습니다. 기존 한문 번역어에 익숙한 독자들을 위해 한문표기도 병기하였으며, 특히 부록에는 〈인명?지명 대조표〉를 수록하여 본문에 등장하는 모든 인명과 지명을 편리하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여섯째, 풍부한 부록

본문 중에 나오는 여러 인물들의 가족 관계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부처님의 가계도〉를 실었으며, 연대기적으로 〈부처님의 일생 연표〉를 정리하여 한 눈에 부처님의 생애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나아가 〈부처님 재세 시 16국과 설법 장소〉와 〈부처님 재세 시 강가강 유역〉, 〈부처님의 안거 장소〉 등과 관련된 지도와 정보를 상세하게 게재하여 부처님 재세 시 인도의 정치적 상황과 부처님의 수행 및 교화 활동을 일목요연하게 알 수 있습니다. 인도불교사에 대한 전체적 정보를 위해 〈불기(佛紀) 산정 기준〉과 〈인도불교사 연표〉도 함께 수록하여 불교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있습니다.

일곱째, 비주얼한 편집 구성

《부처님의 생애》는 본문 요소요소에 부처님의 생애를 생생히 표현한 불전도를 수록하였고 다시 부록에서 불전도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첨부하여 내용의 이해를 돕고 사실성을 부각시켰습니다.

◎ 부처님의 삶을 바르게 이해하는 길잡이

지난 2년 동안 10차에 걸친 편찬 회의와 두 차례에 걸친 워크숍을 통해 크게는 부처님의 발자취를 집대성하고 작게는 글자 한 자 한 자까지 세심하게 살피며 인간적이면서 초인간적인 부처님의 모습을 담아낸 《부처님의 생애》는 부처님의 삶을 바르게 이해하는 길잡이가 될 것입니다.

목차

서문

제1장 탄생과 성장

이 땅에 오시기까지 14 ◎ 하늘나라 도솔천 21 ◎ 거룩한 탄생 25 ◎ 선인의 예언 33 ◎ 태자 싯닷타 36 ◎ 잠부나무 아래에서의 선정 39 ◎ 태자비 야소다라 42 ◎ 호화로운 궁중 생활과 성문 밖의 고통 48 ◎ 새로운 희망과 라훌라의 탄생 54

제2장 구도의 길

집을 나서다 60 ◎ 슬픔에 젖은 까삘라왓투 65 ◎ 숫도다나왕의 설득 68 ◎ 스승을 찾아 웨살리로 71 ◎ 빔비사라왕의 제안 77 ◎ 사문들의 도시 라자가하 79 ◎ 고행의 길 85 ◎ 고행을 버리다 92

제3장 가장 높고 바른 깨달음

수자따의 우유죽 96 ◎ 보리수 아래에서 98 ◎ 마라의 유혹과 위협 100 ◎ 깨달음 107 ◎ 천인들의 축복 110 ◎ 성도 후 49일 113 ◎ 범천의 권청 117

제4장 전법의 길

와라나시로 가는 길 124 ◎ 녹야원의 다섯 수행자 127 ◎ 야사의 귀의 135 ◎ 법을 전하라 140 ◎ 깟사빠 삼형제의 제도 144 ◎ 가야산 꼭대기에서 150

제5장 교화의 터전 라자가하

죽림정사 154 ◎ 사리뿟따와 마하목갈라나의 귀의 160 ◎ 시기와 질투 165 ◎ 마하깟사빠의 귀의 169 ◎ 계율의 제정 173

제6장 고향에서의 전법

부왕의 초대 180 ◎ 다시 찾은 까삘라왓투 186 ◎ 고향에서의 걸식 191 ◎ 야소다라와의 재회 194 ◎ 난다의 출가 197 ◎ 라훌라의 출가 201 ◎ 왕자들의 출가 204

제7장 교단의 성장

사왓티의 상인 수닷따 210 ◎ 기원정사의 건립 215 ◎ 빠세나디왕의 귀의 220 ◎ 웨살리 재앙의 퇴치 229 ◎ 사꺄족과 꼴리야족의 물싸움 234 ◎ 숫도다나왕의 임종과 비구니 승가의 탄생 242 ◎ 왕비 케마의 출가 250 ◎ 꼬삼비의 세 정사 257 ◎ 남쪽 아완띠까지 262

제8장 지혜와 자비의 가르침

붉은 옷을 입은 찐짜 266 ◎ 악기를 연주하듯 273 ◎ 과거생의 부모님 274 ◎ 꼬삼비 분쟁 281 ◎ 마음 밭의 경작 287 ◎ 웨란자에서의 안거 292 ◎ 소치는 다니야 296 ◎ 행복과 파멸의 문 301 ◎ 죽은 아들과 겨자씨 304

제9장 평화와 평등의 가르침

시자 아난다 312 ◎ 진리의 어머니 위사카 316 ◎ 사리뿟따의 사자후 321 ◎ 살인자 앙굴리말라 326 ◎ 통을 지던 니디 338 ◎ 누더기를 걸친 마하깟사빠 342 ◎ 시체를 태우는 막대기들 346 ◎ 데와닷따의 반역 349 ◎ 아자따삿뚜의 참회 358

제10장 마지막 유행

파멸하지 않는 일곱 가지 법 370 ◎ 강가강을 건너 웨살리로 373 ◎ 벨루와에서의 안거 377 ◎ 마지막 공양과 마지막 가사 382 ◎ 두 그루 살라나무 아래에서 388 ◎ 마지막 제자 수밧다 392 ◎ 등불은 꺼지고 396 ◎ 다비와 불사리탑 400 ◎ 인류의 영원한 스승 408

미주 415

부록
부처님 가계도 422 ◎ 부처님 일생 연표 424 ◎ 부처님 재세 시 16국과 설법 장소 426 ◎ 부처님 재세 시 강가강 유역 428 ◎ 부처님 안거 장소 430 ◎ 불기 산정 기준 432 ◎ 인도불교사 연표 433 ◎ 인명·지명 대조표 436 ◎ 불전도 해설 448 ◎ 참고자료 459

색인 463 방함록 470

저자소개

정인스님
ㆍ일본 아이치가쿠인(愛知學院)대학에서 원시불교를 전공했으며 사회복지법인 승가원 이사, 중앙종회의원을 역임했다. 논문으로 〈부처님이 사용하신 언어〉, 〈시자 아난다〉, 〈초기 불교의 승가와 계율〉, 〈불타교화지역에 대한 고찰〉 등이 있다. 현재 중앙승가대 불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해주스님
ㆍ동국대학교에서 화엄사상을 전공했으며 중앙종회의원, 불교학연구회 회장, 동학사 강주, 기초교육개혁위원, 조계종 역경위원을 역임했으며 저서로 《의상화엄사상사연구》 등이 있다. 현재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김용표
ㆍ미국 템플대학교에서 종교학을 전공했다. 논문으로 〈붓다의 교육원리와 수기적 교수법〉, 〈불교계 종립학교와 종교교재〉 등이 있고 저서로는 《불교와 종교철학》, 《경전으로 본 세계 종교》 등이 있다. 현재 한국종교교육학회 회장과 BK21세계화시대 불교학교육연구단장이며,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박경준
ㆍ동국대학교에서 불교사회사상을 전공했다. 불교대학원 교학부장 및 불교문화연구원장을 역임했으며 논문으로 〈원시불교의 사회·경제 사상 연구〉, 〈초기불교의 연기상의설 재검토〉, 〈대승경전관 정립을 위한 시론〉 등이 있다. 현재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조준호
ㆍ인도 델리대학교에서 불타론을 전공했다. 논문으로 〈초기불교 중심교리와 선정수행의 제문제〉, 〈초기경전에 나타난 재가자의 위상과 신행생활〉, 〈석가족의 인도-유럽인설에 대한 반박〉 등이 있다. 현재 고려대 철학과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며 《부처님의 생애》에서 부록 집필을 담당했다.

유근자
ㆍ동국대학교에서 불교미술사학을 전공했다. 박사학위 논문으로 〈간다라 불전 도상의 연구〉가 있으며 《간다라에서 만난 부처》를 공동 집필했다. 현재 동국대 예술대학에 출강하고 있으며 《부처님의 생애》에서 사진 자료와 해설을 담당했다.

성재헌
ㆍ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했다. 현재 동국대 역경원 역경위원이자 집필위원으로 《청소년 불교입문》을 공동 집필했다. 《부처님의 생애》 편찬위원으로 초고 집필을 담당했다.

도서소개

우리도 부처님처럼

부처님의 생애를 올바르게 계승하기 위해 빨리본, 산쓰끄리뜨본, 한문본 경전 등을 근본 자료로 하고 인도고대사를 참조하여 검증된 학술적 내용을 바탕으로 한 불교입문서『부처님의 생애』. 이 책은 개인적인 저술에서 벗어나 불타론 관련 전공 학자들이 공동으로 엮었다. 부처님의 발자취를 집대성하고, 글자 한 자 한 자 세심하게 살피며 인간적이면서 초인간적인 부처님의 모습을 담았다. 부처님의 삶과 깨달음, 전법의 가르침 속에서 진한 감동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부처님의 생애』를 소개하는 동영상 바로가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