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두기
편역주자 해설
第一部(『竹嶋紀事』卷1-2)
大綱九段(元祿六年十一月)
쓰시마사자의 파견
접대비의 문제
역관을 접한 사자의 보고
동해의 양도 인식
회담 이전의 상황
쓰시마의 지시와 역관의 정보
회담의 정보와 동해의 상황
박동지와 안용복
임진왜란의 정통성
안용복의 독도경험
지봉유설
주(절영도, 초량화관, 어치주, 접위관, 박동지, 여지승람, 차례, 지봉유설)
大綱十段(元祿六年十一月①)
회담의 개시
향응연의 준비
안용복의 양도
회담에 참가한 인사
송환의 경위
도해금지의 요구
접위관의 답변
영토의 변화
조선의 해금정책
향응연의 거절
주(대청, 홍문관, 교리, 의례의 식전, 요코메, 대관)
大綱十一段(元祿六年十一月②)
봉진연석
숙배의례
봉진물의 수납의례
연회의 내용
평좌회담
주(숙배소, 사카노시타, 4배반, 술의 7배)
大綱十二段(元祿七年十一月①)
도성의 반답
박동지와 귀양
박동지의 충성맹세
접위관의 위치
조선관리의 울릉도 인식
안용복의 처지
여지승람
울릉도 언급에 대한 반응
반답의 추정
의죽도와 울릉도
과거의 사실
반한에 대한 반응
어렵문제와 영토문제
울릉도 기재의 경위
중국과 체면
영토의 변화
에도막부의 빙자
선호하는 문언
박동지의 평가
참판과 참의의 반답
동래부사와 첨사의 반납
주(차비관, 이조좌랑, 7~80년 전, 카라쿠니)
大綱十三段(元祿七年十一月②)
반한에 대한 쓰시마의 대책
실리와 명목
아비루의 일시 귀국
향응연을 거절하는 이유
大綱十四段(元祿七年十二月①)
송환의 성신
어민의 표류
재차 파견되는 아비루
쓰시마의 지시내용
울릉도 기재의 위험성
쓰시마의 중립
막부의 죽도인식
역관들의 자세
장군과 쓰시마
침략의 가능성
반한의 개서요구
자료 및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