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죽도기사 1 3

죽도기사 1 3

  • 권오엽
  • |
  • 한국학술정보
  • |
  • 2011-09-05 출간
  • |
  • 469페이지
  • |
  • 148 X 210 mm
  • |
  • ISBN 9788926825594
판매가

29,000원

즉시할인가

26,1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6,1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죽도기사』는 쓰시마가 막부의 명을 왜곡하여 울릉도를 침탈하려다 실패한 경험을 상세히 기록한 자료다. 죽도(울릉도)에서 어렵하는 안용복과 박어둔을 일본인들이 납치하여 그 처벌을 요구한다는 사실을 톳토리(鳥取) 번주가 막부에 보고하자, 막부는 쓰시마 번에 조선인을 조선에 송환하고, 조선인의 죽도 도해금지를 조선에 요구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그러자 울릉도를 의죽도, 죽도 등으로 칭하며 그것을 침탈하려 했던 쓰시마는, 그것은 숙원을 달성할 수 있는 기회로 삼으려 했다. 그러나 조선이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는 반론을 제기하여 조일 양국 간의 영토분쟁으로 커지고 말았다. 그 후 막부는 객관적인 사실을 조사하여 일본인의 죽도도해를 금하는 방법으로 죽도의 조선영유를 인정하고, 그 사실을 조선에 알릴 것을 쓰시마 번에 명했다. 1696년 1월 28일의 일이었다. 그러나 쓰시마는 그 사실을 조선에 알리지 않았고, 그 사이에 안용복은 쓰시마의 비리를 소송하기 위해 1696년(숙종 22년) 5월에 톳토리 번을 방문하였다. 당시 안용복은 오키에서「조선팔도지도」를 보이며 “‘다케시마(竹島)’는 울릉도이고, 마쓰시마(松島)는 자산(松島 당시 독도의 조선명)으로 모두 강원도에 속한 섬”이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이러한 안용복의 활동으로 쓰시마 번은 어쩔 수 없이 막부의 결정을 조선에 알렸다.

1693년부터 1969년 사이에 일어난 이 일련의 사건들을 기록한 『죽도기사』는 독도에 관련된 고문서 중 가장 자세하고 중요한 자료다. 하지만 양이 많고 내용도 어려워 지금까지 그 전모가 일반에 소개되는 일이 없었다. 그러나 독도 문제에 대해 이야기할 때 이 자료를 언급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

우리는 종종 이미 확보한 자료를 연구하는 것보다 새로운 자료의 출현을 기대하는 경향이 크다. 『삼국사기』의 우산국의 의미나 『숙종실록』이 전하는 내용이 사실에 근거한다는 것을 입증했다면, 독도에 대한 우리의 역사적 정통성에 아무도 의문을 제기할 수 없었을 것이다. 논문 등에 일본자료의 인용이 많은데 이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다. 원문을 확인하지 않고 일본이 편의적으로 인용한 것을 여과 없이 재인용하기 때문이다. 자주 인용되는 것이 『은주시청합기』, 『죽도고』, 『원록각서』, 『죽도기사』 등인데, 특히 민족주의자가 편찬한 『죽도고』의 인용에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 조선과 일본이 상대의 자료를 객관적으로 인지하는 과정을 거친 다음에 논쟁을 전개하는 것이 올바르다.

『죽도기사』는 사건에 따라 진행되는 과정은 물론 결과까지 구체적으로 기록하고 있어 독도에 관한 모든 기록의 종합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의 발간으로 독도에 대한 우리의 정통성이 강화되어 더는 불필요한 논쟁이 없길 바란다.

목차

일본고문서와 독도
편주역자의 서문
죽도기사 1-3의 해설

1694년 2월 9일
「박동지의 구상에 정관이 답하는 구상」
「박동지가 구상으로 전하는 접위관의 반답」
「정관의 반답」

2월 14일1
「정관이 쓰시마에 보낸 서장」

7년 2월 18일
2월 21일

「2월 18일 쓰시마의 서장」

7년 2월 22일
7년 2월 25일

「와니우라에 제출한 서장」

7년 2월 27일
「중간보고하는 정관」

7년 2월 28일
7년 2월 29일
7년 3월
7년 5월 5일
7년 윤 5월 13일
7년 7월 21일

「쓰시마 에도 루이스의 구상서」
「구상서」

7년 8월 9일
7년 8월 3일
7년 8월 4일
7년 8월 5일

「양 치주(박동지ㆍ박첨지)와 재판과 도선주의 상담」
「정관의 반박」

7년 8월 6일
「양 치주가 재판과 도선주에게」
「재판과 도선주의 반론」

7년 8월 7일
「양 치주가 도선주와 재판에게」
「도선주와 재판이 양 치주에게」
「양 치주의 답」
「역관의 의견을 전해들은 정관」

7년 8월 8일
「정관이 양 치주와 재판과 도선주에게」
「박동지의 답」
「정관과 헤어지고 재판 댁에 들려 나눈 의견」
「정관의 말을 전하는 도선주와 재판」

8월 9일
「정관의 구상」
「접위관 및 동래부사의 반답」
「정관의 반답」
「적위관 동래부사의 반답」
「정관의 구상」
「접위관 동래부사의 반답」
「정관 구상」
「접위관 및 동래부사」

8월 11일
「박동지ㆍ박첨지와 재판과 도선주의 면담」
「박첨지」
「정관」
「정관의 말을 들은 접위관」
「정관」
「기록자의 의견」

大綱一五段(元祿七年二月②)
大綱一六段(元祿七年二月③)
大綱一七段(元祿七年二月④)
大綱一八段(元祿七年三月)
大綱一九段(元祿七年閏五月)
大綱二○段(元祿七年七月)
大綱二一段(元祿七年八月①)

[참고사항]

저자소개

저자 권오엽은 忠南大學校 人文大學 명예교수. 1945년 全北 井邑 생. 群山高等學校, 서울敎育大學校, 國際大學校, 北海道大學校, 東京大學校 學術博士(廣開土王碑文과 東아시아의 天下思想). 일본의 가요, 한일건국신화, 광개토왕비문에 관한 논문 다수. 『日本漫想』, 『廣開土王碑文의 世界』, 『隱州視聽合紀』, 『元綠覺書』, 『독도와 안용복』. 『控帳』, 『古事記』(上·中·下), 『好太王碑論爭의 解明』, 『廣開土王碑文의 硏究』, 『獨島』, 『獨島와 竹島』, 『古事記와 日本書紀』, 『日本의 獨島論理』, 『일본은 독도를 이렇게 말한다』, 『岡嶋正義古文書』, 『竹島渡海由來記拔書控』(상·하), 『죽도 및 울릉도』

도서소개

독도자료가 담긴 일본고문서를 연구하는 「일본고문서 독도자료 총서」제7권 『죽도기사 1』제3권. 이 책은 우리가 몰랐던 일본고문서의 역사적 사실들을 통해 독도의 본질을 들여다본다. 쓰시마가 막부의 명을 왜곡하여 울릉도를 침탈하려다 실패한 경험을 상세히 기록한 자료를 담고 있다. 1693년부터 1969년 사이에 일어난 이 일련의 사건들을 기록한 <죽도기사>는 독도에 관련된 고문서 중 가장 자세하고 중요한 자료로 취급된다. 사건에 따라 진행되는 과정은 물론 결과까지 구체적으로 기록하고 있는 독도에 관한 모든 기록의 종합편을 만나볼 수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