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유병학의 통시적 PSAT 1

유병학의 통시적 PSAT 1

  • 유병학
  • |
  • 이담북스
  • |
  • 2013-09-16 출간
  • |
  • 725페이지
  • |
  • 188 X 257 mm
  • |
  • ISBN 9788926846018
판매가

48,000원

즉시할인가

43,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3,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과거 인재의 중요성을 강조한 무수한 사상가들이 존재했지만 오늘날처럼 강조된 적은 없다. 이러한 현상은 단지 경쟁에서의 비교우위 확보를 위한 차원에서만 기인되는 것은 아니다. 인간 존엄성이 실현되고 나아가 인류번영이라는 바람직한 상태를 이루는 데 결국 인간이 중요하다는 것을 새삼 인식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공공부문에서도 공공업무에 적합한 사유능력과 사고방식을 평가하여 인재를 선발하고 있다. 선발하는 정부의 입장에서 공공업무수행에 적합한 인재와 관련하여 ‘어떤 것을, 어떠한 방법으로 측정할 것인가?’라는 측정대상과 도구에 대한 적절성과 타당성이 고민될 수 있지만, 이는 생략하고 시험을 대비하는 수험생의 입장에서 어떤 문제유형이 출제되어도 사유능력(생각하는 힘)과 사유방식(생각하는 방식)에 초점을 둔 측정이라는 점을 우선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따라서 업무수행에 요구되는 사유능력을 함양하고, 올바른 사유방식을 체득하는 데 전략을 가지고 효과적 . 체계적으로 준비 할 필요가 있다.

본서에서 채택된 내용들은 다음의 영역별 측정(평가) 요소에 기초하여 이루어졌다. 언어논리영역의 경우, 문자(text)를 중심으로 한 진술을 토대로 그것을 이해하고 결론을 추론할 수 있는 논리적 사고력을 측정한다. 자료해석영역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조사방법론과 통계적 기법에 의해 생산 또는 수집된 자료와 텍스트를 대상으로 자료에 대한 해석능력과 정보처리능력에 평가의 초점이 두어진다. 마지막으로 상황판단영역은 정부의 역할과 관련하여 정책의 형성과 집행에 관련되어 직면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합리적 대응 또는 문제해결을 위한 선택?결정의 판단능력을 측정한다.

목차

서문(序文)

제1편 PSAT의 개요

제1장 PSAT의 핵심적 사유

제1절 PSAT의 영역
Ⅰ. 생각의 중요성
Ⅱ. PSAT의 좌표

제2절 일반원리(객관성과 필연성)
Ⅰ. 객관성과 필연성 원리의 필요성
Ⅱ. 객관성과 필연성의 의미
1. 객관성(objectivity)
2. 필연성(inevitability)
Ⅲ. 객관성과 필연성의 확보

제3절 파생원리
Ⅰ. 추론의 원리
1. 추론의 의의
2. 추론에서 가지는 오류
Ⅱ. 부합(附合)과 적절(適切)의 원리
1. 부합의 원리
2. 적절의 원리
Ⅲ. 타당(妥當)의 원리

제2장 상황판단과 자료해석 및 언어논리
제1절 상황판단

Ⅰ. 상황판단의 의미
Ⅱ. 상황
Ⅲ. 판단

제2절 자료해석
Ⅰ. 자료해석의 의미
Ⅱ. 자료
Ⅲ. 해석

제3절 언어논리
Ⅰ. 언어논리의 의미
Ⅱ. 언어
1. 언어의 개념
2. 기초적 용어들의 정리
Ⅲ. 논리
1. 로고스(logos) 개념과 변천
2. 논리에 대한 현대적 패러다임(paradigm)
3. 언어적 관점에서의 기초적 개념들과 논리

제2편 올바른 사유에 대한 제설(諸說)

제1장 사실적 접근: 대상(문제) 중심

제1절 존재론적 논의
Ⅰ. 존재에 대한 헬라스적 사유
1. 플라톤의 이원론(Platonic Dualism)
2. 아리스토텔레스의 생성주의(Hylozoism)
Ⅱ. 오늘날의 존재에 대한 사유

제2절 분석
Ⅰ. 분석(分析)의 의의(意義)
Ⅱ. 원형(原形): 종합주의와 개체주의
Ⅲ. 분석을 실현하는 수단
1. 분석적 사고가 요구되는 상황과 적용
2. 분석의 수단(means)
Ⅳ. 분석에서 가지는 문제들
1. 진실성과 유효수준
2. 분석단위
3. 분석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 및 노력
4. 자료수집의 중단과 결정
5. 분석가의 윤리

제3절 모형
Ⅰ. 모형의 의의
1. 모형의 의미
2. 모형의 성격
Ⅱ. 모형(model)의 원형: 이데아적 형상주의
Ⅲ. 모형이 요구되는 상황
1. 상황모형
2. 이론모형
Ⅳ. 모형구축에의 논리적 절차와 원칙들
1. 논리적 절차(節次)
2. 원칙(原則)들

제4절 현상(phenomenon)과 본질(substance)
Ⅰ. 존재와 경험적 세계
Ⅱ. 현상과 본질의 개념
1. 현상(phenomenon)
2. 본질(substance)
Ⅲ. 본질에 대한 견해
1. 성질설(性質說)
2. 조건설(條件說)
Ⅳ. 본질에 대한 사유의 경향과 이해(설명)
1. 경향(傾向)
2. 이해(설명)

제2장 전략적 접근: 인식자 중심
제1절 인식론적 논의

Ⅰ. 인식론의 의의(意義)
Ⅱ. 인식의 개념
1. 의미
2. 성질
Ⅲ. 인식의 구조
Ⅳ. 인식과 지식의 관계
1. 지식은 인간의 창조물인가 발견물인가?
2. 지식의 생성 메커니즘
3. 참된 지식의 판별에 대한 제(諸) 견해들
Ⅴ. 과학적 인식
1. 과학적 인식의 의의
2. 과학의 변천(물리학 중심)
3. 과학적 인식의 불완전성
4. 과학적 인식물과 신뢰
Ⅵ. 언어적 인식
1. 인식론의 흐름과 언어적 인식론의 등장
2. 기초 개념
3. 언어적 인식의 과정
4. 언어적 인식의 오류

제2절 심리와 인식
Ⅰ. 심리의 의의
Ⅱ. 심리정보의 산출
1. 투사 기법
2. 언어심리기법(언어를 통한 심리정보의 산출)
3. 기타 기법
Ⅲ. 성격(personality)
1. 성격이란?
2. 프로이트(S. Freud)와 분석심리학
3. 심리교류분석론의 자아
Ⅳ. 비정상심리
1. 정상과 비정상의 판별기준
2. 비정상심리의 분류
3. 이상심리(異常心理)

Ⅴ. 심리적 효과와 인식의 오류
1. 바넘 효과(Barnum effect)
2. 기본적 귀인 오류(fundamental attribution error)
3. 과잉확신편향(hindsight bias & foresight bias)

제3절 게임과 인식
Ⅰ. 경쟁적 상황과 게임이론
Ⅱ. 게임(game)의 개념
1. 게임의 구성요소
2. 균형(均衡: equilibrium)
Ⅲ. 게임모형의 분류
1. 경기자 모형(players style)
2. 전략 모형(strategy style)
3. 보수 모형(payoff style)
4. 균형 모형(equilibrium style)
Ⅳ. 균형
1. 우월전략균형
2. 내시 균형(Nash equilibrium)
3. 정보의 비대칭과 전략의 선택(혼합전략과 균형)
4. 위험 회피적 전략의 선택(최소극대화전략과 균형)
5. 반복적 게임(repeated game)과 순차적 게임(sequential game)
Ⅴ. 게임이론의 응용과 한계
1. 용의자의 딜레마(suspect’ dilemma)
2. 법정 딜레마(The dilemma of the court)
3. 과당경쟁과 정부의 개입
4. 무역협정에서의 적용

제3장 확인적 접근
제1절 논리학적 논의

Ⅰ. 논의를 들어가며
Ⅱ. 논리학의 기초
1. 논의들의 변천
2. 기본용어들의 정리
3. 생각하는 방식으로서의 논리적 사유의 준칙(準則)

제2절 형식논리학
Ⅰ.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식논리학
1. 명제와 논증의 의미
2. 아리스토텔레스의 삼단논법
Ⅱ. 명제논리학
1. 기본 아이디어
2. 명제의 종류, 논리기호와 진리 값의 계산(처리)
3. 논증과 타당한 형식
Ⅲ. 술어논리학(양화논리학)
1. 기본 아이디어
2. 내용
3. 타당성 평가의 방식

제3절 비형식논리학
Ⅰ. 의의
Ⅱ. 일상의 논증과 분류(유형)
1. 분류방법
2. 유형
Ⅲ. 논증의 정당성
1. 논증의 정당성과 두 가지 요건
2. 논증의 정당성 요건 충족의 한계와 현실
Ⅳ. 논증과 설득력
1. 설득력 논의의 배경
2. 설득력의 의의
3. 설득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설득의 기술(技術)
Ⅴ. 추론(推論)과 오류
1. 추론의 개념
2. 추론의 방식과 유형
3. 추론의 오류

제4절 논증으로의 전환과 평가
Ⅰ. ‘논증으로의 전환’이란?
Ⅱ. 논증으로의 전환과 평가
1. 글의 이해와 요약
2. 논증의 추출
3. 논증의 평가

제4장 가치적 접근
제1절 가치론적 논의

Ⅰ. 가치론의 배경
Ⅱ. 가치(價値)의 의의(意義)
Ⅲ. 가치의 분류(分類)
1. 물질적 가치와 정신적 가치
2. 본래적 가치와 도구적 가치
3. 보편적 가치와 특수적 가치
4. 심미적 가치와 도덕적 가치
Ⅳ. 가치평가의 원칙
1. 진실의 원칙
2. 상위가치의 원칙
3. 위험비례의 원칙

제2절 규범론과 정의론
Ⅰ. 규범론
1. 규범의 의의
2. 규범의 기원
3. 규범의 정당성 근거에 대한 문제
4. 도덕적 판단과 검사
Ⅱ. 정의론
1. 정의의 의의
2. 경제적 정의론(공정과 공평)
3. 형사적 정의론(처벌)

참고문헌

저자소개

저자 유병학은
약력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 졸업
제38회 행정고등고시 합격
농림축산식품부 농업정책과 정보화진흥담당관실 재직
온라인 공동체(NGO) 시민단체 초대 대표
정책학 강사(태학관, 기관 등 강의)

주요 저서
《현대사회의 재조명》
《크게 보는 고급 논술》
《정책학 원론》
《허죽과 베드로가 함께 찾아가는 세계》
등 다수

도서소개

『유병학의 통시적 PSAT』 제1권. PSAT에 대한 입문 차원에서ㅓ 개괄적 이해를 위한 개요를 서술한다. PSAT의 영역별 각론 차원에서 해석과 합리적 판단, 그리고 불확실성 상황이란 주제를 다루고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