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계원류도」와 관음존상권 해설
편자의 서 : 마음의 병을 치유하는 좋은 약
『반야심경』의 구성에 대한 분석도
제1장 『반야심경』의 유래와 요지
1 『반야심경』의 기원
2 『반야심경』과 『대반야경』 두 경전 사이의 관계
3 『반야심경』의 첫 번째 한역본의 역자 : 구마라집
4 가장 광범위하게 유통된 한역본 : 현장법사와 『반야심경』의 인연
5 『반야심경』의 7개의 한역본 : 두 개의 약본과 다섯 개의 광본
6 두 종류의 『반야심경』: ‘광본’과 ‘약본’의 구별
7 『반야심경』의 반야사상의 핵심적 요지 : 공(空)
8 『반야심경』의 정신 : 집착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타파
9 『반야심경』에 담긴 불법의 도리 : 인연소생법
10 『반야심경』의 인생관 : 인생은 고(苦)
제2장 『반야심경』과 관계된 일련의 문제
1 『반야심경』의 인물의 탐구 : 『반야심경』에서의 부처님의 역할
2 『반야심경』의 설법성회 : 법회에 참여한 인물들
3 『반야심경』의 설법 장소 : 부처님과 관자재보살의 설법 장소
4 왕사성 : 불교사에 있어서 차지하는 비중
5 『반야심경』의 청중 : 세 종류의 대상
6 『반야심경』의 성질 : ‘경전’과 ‘주문’
7 밀교의 반야불모와 반야심경여신 : 동일인인가?
8 깊은 선정의 관수 상태 : 관자재보살의 설법
9 『반야심경』에 대한 대중의 사랑 : 자구의 단순성, 심오한 의미
10 『반야심경』의 응용 : 자신의 마음에 대한 탐색
11 『반야심경』의 문자 : 『대반야경』의 정수
12 『반야심경』의 유통분 : 일반 경전과의 차이
13 아제아제, 바라아제 : 『반야심경』의 주문의 출처
14 『대반야경』의 설법 장소 : 사처(四處)
제3장 『반야심경』의 이해를 위한 전제 조건
1 불교의 전문적 용어의 이해 : 『반야심경』의 세계에 대한 올바른 이해
2 불교 용어의 원어인 범어에 대한 이해 : 『반야심경』의 경문의 진의에 대한 파악
3 약본과 광본을 함께 읽기 : 『반야심경』에 대한 전면적이고 정확한 인식
4 『반야심경』의 수행 단계에 대한 이해 : 문자반야, 관조반야, 실상반야
5 반야바라밀다심경 : 이 여덟 개 문자에 대한 정확한 이해
6 반야와 지혜 : 현장법사의 경명 번역의 의미
7 『반야심경』에 대한 기본적 이해 : 문자적인 의미에 있어서의 『반야심경』의 개요
8 밀교 『반야심경』의 수지법 : 일일념(日日念), 경상념(經常念)
9 밀교 『반야심경』의 수주법 : 늘 몸에 가까이 하면 일체의 악에 물들지 않는다
10 밀교 『반야심경』의 염송법 : 진언을 바르게 염송하는 규정
11 밀교의 『반야심경』의 공양법 : 신단을 설치하는 표준적 양식
12 밀교의 『반야심경』의 필사 : 자아를 계발하는 묘법
제4장 『반야심경』의 경문 해설
1 경전의 명칭 : 반야바라밀다심경
2 반야지혜로 이미 도달한 자재의 경지 : 관자재보살
3 반야바라밀다의 수행 : 행심반야바라밀다시
4 오온의 관조와 공무실체 : 조견오온개공
5 이타, 구세, 중생의 이익 : 도일체고액
6 지혜제일의 불제자 : 사리자
7 색과 공의 상호 의존성 : 색불이공, 공불이색
8 물질 현상과 공 : 색즉시공, 공즉시색
9 심리적 측면에서의 사온 : 수상행식역부여시
10 일체법의 공성 : 사리자시제법공상
11 불교의 우주관 :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
12 ‘공’과 오온 : 시고공중무색무수상행식
13 육근의 공성, 육진으로 부터의 자유 : 무안이비설신의, 무색성향미촉법
14 세간의 일체 현상과 공성 : 무안계내지무의식계
15 십이인연의 공성 : 무무명역무무명진, 내지무노사역무노사진
16 사제의 초월 : 무고집멸도
17 개념이나 명상(名相)에 대한 집착의 타파 : 무지역무득
18 반야의 깊은 지혜에 의지하여 얻는 공성에 대한 깨달음 : 이무소득고보리살타의
반야바라밀다고심무괘애
19 생사를 두려워하지 않으니 자연히 어떠한 두려움도 없다 : 무괘애고무유공포
20 불합리한 사상과 행위의 극복 : 원리전도몽상
21 일체 번뇌의 멈춤 : 구경열반
22 삼세에 출현하는 일체의 부처 : 삼세제불
23 반야바라밀다의 인도 : 의반야바라밀다고
24 완전한 정각보리 : 득아뇩다라삼막삼보리
25 반야의 위대한 역량에 대한 찬탄 : 고지반야바라밀다시대신주
26 위대한 신주 반야바라밀다 : 시대명주, 시무상주, 시무등등주
27 이고득락, 열반의 증득 : 능제일체고, 진실불허
28 주문과 경문의 분수령 : 고설반야바라밀다주, 즉설주왈
29 가자! 도달하자! : 아제아제
30 공성에 대한 직접적인 깨달음 : 바라아제
31 함께 피안으로 가자! : 바라승아제
32 원만한 지혜의 성취 : 모지사바하
제5장 불교의 기본적 용어와 개념의 해설
1 법(法) : 일체사물, 우주만유
2 불(佛) : 자각, 각타, 각행원만
3 삼보(三寶) : 불, 법, 승
4 열반(涅槃) : 불생불멸, 영원한 안락의 경지
5 연기(緣起) : 일체법과 인연화합
6 십이연기(十二緣起) : 인생의 고통의 근원에 대한 탐구
7 심성(心性) : 심식(心識)의 불변성
8 무아(無我) : 자아의 비실재성
9 무상(無常) : 존재의 비항상성
10 인과(因果)의 상속 : 인과의 연속성
11 유루개고(有漏皆苦) : 고(苦)의 연기에 대한 불교의 해석
12 삼계유심(三界唯心) : 일체의 현상과 마음
13 발보리심(發菩提心) : 상구불도, 하도중생의 서원
14 대승(大乘) : 대중의 이익을 중시하는 행위
15 오승(五乘)의 교법 : 불교 수행에 있어서 다섯 종류의 교의 체계
16 보살(菩薩) : 자신과 중생의 동반 해탈
17 사섭(四攝) : 중생을 불도로 인도하기 위한 네 가지 조건
18 팔종(八宗) : 중국 불교의 팔대종파
부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