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환생 이순신, 다시 쓰는 징비록

환생 이순신, 다시 쓰는 징비록

  • 김동철
  • |
  • 한국학술정보
  • |
  • 2016-07-27 출간
  • |
  • 342페이지
  • |
  • 152 X 225 X 18 mm /507g
  • |
  • ISBN 9788926875063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2,5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장군은 왜 417년만에 깨어났는가?
동북아안보, 북핵비상, 정치무능, 방산비리,
양극화 심화, 인성교육 실종, 귀족노조의 횡포 …
임진왜란 때 기시감(旣視感)의 재확인!

혼용무도(昏庸無道)의 한국 사회


혼용무도(昏庸無道). ‘온 세상이 마치 암흑에 뒤덮인 것처럼 어지럽고 무도하다’는 이 말은 힌재 한국사회에 대한 적절한 표현일 것이다. 19세기와 20세기 초 한국이 겪었던 어려움들은 21세기 새로운 시대가 도래했음에도 그 모습을 바꾸어 여전히 우리에게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금수저’와 ‘흙수저’로 대변되는 양극화와 빈부격차, 정치권과 재벌을 포함한 기득권층의 갑질, 북한과 중국, 러시아, 일본, 미국 사이에서 살얼음같이 흘러가는 동북아 정세까지, 도무지 어디하나 마음 편한 곳이 없다.

이러한 상황은 그러나 역사적으로 낯설지만은 않다. 과거 16세기 후반 명나라와 왜국은 조선땅에서 전쟁을 치렀고, 구한말에도 청나라, 일본, 러시아, 미국, 그 외의 다른 유럽 국가들까지 다 쓰러져가는 조선땅을 삼키기 위해 갖가지 분쟁을 일으키곤 했다. 기술은 눈부시게 발전됐고 물질은 풍요로워졌다지만 이 땅에서 일어나는 갖가지 현상을 보건대 언젠가 어디에서 본 듯한 느낌, 기시감(旣視感)에 문득 놀랄 수밖에 없다. 어찌 보면 이는 중국 대륙과 태평양을 잇는, 동북아와 세계를 잇는 창구로서 열강들의 주목을 받는 우리의 지정학적 숙명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대륙과 해양세력의 발판으로서 한국은 끊임없이 고통 받았고, 그 고통은 물론 고스란히 평범한 사람들에게까지 미치곤 했다.

더구나 오늘날 동북아시아는 세계의 화약고가 되어가는 형세다. 경제를 바탕으로 대륙굴기(大陸?起)하는 중국은 군사 부분에서 미국과 맞짱을 뜰 기세로 달려들고 있다. 중국과 일본과의 군사적 마찰, 중국을 방어하고 북핵 공포를 없애겠다는 일본은 해외 군사작전을 할 수 있는 군대를 가지게 되었다. 내부의 혼란과 외부의 압력 앞에서 우리는 또다시 굴복하고 고통받을 것인가? 같은 잘못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선 과거를 먼저 살피고 그로부터 교훈을 얻어야 한다. 반성하고 자강(自强)하려는 의지를 확고히 갖지 않는 이상, 슬픈 역사가 반복될 뿐이다.

되살아난 이순신, 다시 찾는 징비(懲毖) 정신

다행히 그 힘겨웠던 시간들 속에 오롯이 슬픔과 고통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모든 역사의 한 자락에는 시대의 무게와 괴로움을 견디고―설령 잠시나마일지라도―시대의 변화를 이끌었던 이들이 존재했다. 그 가운데 우리에게 가장 친숙하고, 아마도 가장 위대한 인물은 임진왜란의 영웅 이순신일 것이다.

시체가 산더미처럼 쌓이고 유혈이 바다를 이뤘던 대참극의 임진왜란 시대, 명나라와 왜국의 전장이 되어버린 조선반도에서 이순신 장군이 이룬 23전 23승의 불패신화는 그야말로 오랜 가뭄 끝의 단비 같은 낭보(朗報)가 아닐 수 없었다. 이는 단순히 전투의 승리가 아니며, 남해안의 제해권을 지킴과 더불어 왜군의 서해진출, 한강, 임진강, 평양의 대동강으로의 침입을 막는, 외세로부터 조선이 살아남았을 수 있었던 유일무이한 성과였다. 실로 전행(天幸), 아니 준비된 자에게 하늘이 내려준 은혜로운 자비(慈悲)였다. 당시 ‘전시재상’ 겸 도체찰사로 조선 8도를 누빈 류성룡 대감은 7년 전쟁을 반성하는 회고록인 『징비록』(懲毖錄)에서 징비의 뜻을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예기징이비후환(豫其懲而毖後患)
미리 (전날을) 징계하여 후환을 경계하고
지행병진(知行竝進)
알면 행하여야 한다
즉 유비무환 (卽 有備無患)
그것이 곧 유비무환 정신이다.


류성룡의 징비정신은 이순신 장군의 필사즉생(必死卽生)의 유비무환으로 오롯이 승화되었으며, 임전무퇴(臨戰無退), 선공후사(先公後私), 살신성인(殺身成仁)의 정신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하지만 이 징비(懲毖)정신은 채 30년도 안 되어 잊혀졌다. 이후 후금(이후 청나라)이 조선을 공격했고, 곧이어 청나라도 조선을 짓밟았다. 남한산성에서 빠져나온 인조는 송파 삼전도에서 청태종에게 굴욕적인 항복의 예를 올렸다. 냄비처럼 들끓다가 이내 잊어버리는 급망증으로 나라의 안위는 무너졌고, 그 여파는 구한말의 처참함으로, 일제식민치하로 이어지게 된다.

역사에 가정은 없다지만, 이순신 그리고 류성룡의 재조산하(再造山河)의 뜻이 이뤄졌다면, 최소한 그들의 뜻을 귀 기울이고 이어갈 수 있었다면, 많은 것이 달라졌을 것이다. 게다가 이순신은 단순히 뛰어난 무인에 그치지 않는다. 용의주도한 전략전술, 공정하고 확고한 인간관계, 둔전경영에서 발견할 수 있는 애민(愛民) 정신과 『난중일기』와 시조가락에서 살필 수 있는 문무겸전(文武兼全)의 섬세한 감수성까지… 이순신의 업적과 그 성과를 이룰 수 있었던 인성(人性)의 핵심 DNA는 우리에게 새로운 길을 살필 방향성을 제시해 줄 것이다.

한국 사회의 현재를 되짚는 역사적 다큐멘터리

물론 이순신 장군이 뛰어난 인물이라는 사실에 우리는 매우 익숙하다. 그의 영웅담은 그의 필체로, 때로는 소설이나 드라마로, 최근에는 영화로까지 회자되고 있으며 또 많은 공감을 얻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그의 기록과 발자취로부터 현재 우리 사회를 직접적으로 대면하려는 시도는 없었다. 그렇기에 이 책은 과거를 위한 기록이나 영광으로서의 『징비록』이 아닌, 현재와 미래를 위한 계기로서 새로이 만들어가는 『다시 쓰는 징비록』이다.

이순신 장군이 광화문 거리에 되살아나 우리 사회를 보았을 때, 그의 눈에 비친 한국 사회는 어떤 모습일까? 그는 자신의 시대였던 임진왜란의 혼란을 그대로 느끼는 것은 아닐까? 이 독특하면서도 흥미로운, 동시에 서늘하고 슬픈 가정에서 시작되는 이야기는 단순한 위인전이나 복기서가 아니다. 이는 현시대의 사회적 비판을 수용하는 역사적 다큐멘터리라 할 수 있겠다. 국내 유일무이의 이순신 전문 연구 포럼 대표로서 저자는 7년 동안의 계획과 3년간의 사적답사와 문헌 탐색을 통해 이순신 리더십을 연구했고, 그 결과물을 원고와 사진으로 엮어 한 권의 책으로 만들었다.

이 책은 좀 더 넓은 시야로 우리나라와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지정학적 환경을 이해하려는 사람들에게 반드시 필요할 정치, 인문, 역사책이라 할 것이다. 40여 개의 주제들 속에서 저자는 기록과 분석ㆍ비판을 오가며 과거의 지혜를 발견함으로써 현재의 우리가 나아갈 길을 제시하려 한다. 평생을 전문 기자이자 편집자로서 활동한 저자의 분명하고 열정적인 어조는, 과거 문헌에서부터 실 사적지와 미디어 자료까지 활용하는 다양성과 깊이와 더불어 한국사회에 대한 성역 없는 반성에 호소력을 더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추천사

1. 환생(還生)
2. 임진왜란과 4국 전쟁
3. 달빛 젖은 ‘우수(憂愁)의 시인(詩人)’
4. 아! 어머니
5. 탐관오리(貪官汚吏)와 전관예우(前官禮遇)
6. 천행(天幸), 명량대첩(鳴梁大捷)
7. 통곡(慟哭)
8. 불멸의 기록, 23전 23승
9. 장군의 인맥(人脈)
10. 이순신(李舜臣)과 원균(元均)의 갈등
11. 선조와 이순신의 애증(愛憎)
12. 아! 치욕의 명령서, 금토패문(禁討牌文)
13. 진린(陳璘)의 ‘갑질’
14. 장군의 죽음
15. 이순신 죽음의 미스터리
16. 진실게임, 부산 왜영(倭營) 방화(放火)사건
17. 두 자루의 칼
18. 이순신의 창의력(創意力), 격물치지(格物致知)
19. 명-왜 강화협상과 조선분할론
20. 선조의 피난길 밥상
21. ‘군량미(軍糧米) 공급책’ 류성룡
22. ‘농사꾼’ 이순신의 둔전(屯田) 경영
23. ‘사업가’ 이순신의 자급자족(自給自足) 경영
24. 무항산(無恒産) 무항심(無恒心)
25. 이순신의 애민(愛民) 정신
26. 백성은 군왕(君王)을 버릴 수 있다
27. 매국노(賣國奴) 순왜(順倭)
28. 반간(反間) 요시라와 항왜(抗倭) 사야가
29. 망국병(亡國病) 붕당(朋黨)정치
30. 정여립(鄭汝立)의 난과 기축옥사(己丑獄事)
31. 의병(義兵)의 궐기
32. 내시보다 못한 의병(義兵)
33. 얼레빗과 참빗
34. 백의종군(白衣從軍) 천리길
35. 임진왜란은 종교전쟁이었다
36. 임진왜란은 노예전쟁이다
37. 이순신을 사랑한 사람들
38. 勝者(승자)와 敗者(패자)

이충무공 연보
참고자료
영문 요약

저자소개

저자 김동철은 교육학박사(청소년심리상담)
이순신 인성리더십 포럼 대표
성결대 파이데이아학부 강의교수
전 중앙일보 기자-월간중앙 기획위원
베이비타임즈 주필
전성기 뉴스 취재위원
부모교육 인성멘토 1기(문화체육관광부)
청소년 인성 상담교육 멘토(멘토링 코리아)
경복고-한국외국어대학교-
연세대 언론홍보대학원-명지대 대학원 졸업

도서소개

『환생 이순신, 다시 쓰는 징비록』의 저자는 7년 동안의 계획과 3년간의 사적답사와 문헌 탐색을 통해 이순신 리더십을 연구했고, 그 결과물을 원고와 사진으로 엮었다. 이 책은 40여 개의 주제들 속에서 저자는 기록과 분석ㆍ비판을 오가며 과거의 지혜를 발견함으로써 현재의 우리가 나아갈 길을 제시하려 한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