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불교사회사상의 이해

불교사회사상의 이해

  • 이병욱
  • |
  • 운주사
  • |
  • 2016-05-04 출간
  • |
  • 364페이지
  • |
  • 152 X 225 X 30 mm /668g
  • |
  • ISBN 9788957464571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7,1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7,1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불교사상은 현대 한국사회에 어떤 유의미성이 있는가? 이 책은 불교사회사상의 이론적 토대, 한국에서의 변천 과정, 그리고 그 구체적 적용으로서 불교의 평화관, 폭력관, 자연관, 문화관, 통일관 등을 고찰하여 불교사상의 현대적, 한국적 지평을 본격적으로 연 최초의 책이다.

1.
흔히 불교는 비非 사회적 종교로 비춰지곤 한다. 한국 근현대의 역사 속에서 사회적 역할을 소홀히 해온 탓이다. 수행과 깨달음을 강조하는 풍토도, 얼핏 허무주의적으로 오해받는 교리도 그런 평가에 일조했을 것이다. 정말 그런가? 불교는 개인적 깨달음만을 강조하고, 현실에 안주하는 종교인가?
붓다는 혁명적이었다. 그는 당대의 모든 기득권과 관습을 타파하고 새로운 사상체계, 새로운 세계관, 새로운 종교관을 열어보였다. 그리고 그 바탕에는 이고득락離苦得樂, 즉 모든 존재들이 고통을 여의고 영원한 행복을 얻는 것이 궁극적 목적으로 내재되어 있다. 이런 바탕 하에 불교사상은 각각의 지역과 시대, 민족의 사상들을 포용하면서 변화, 발전해 왔다.
이 책은 오늘날 한국 사회의 지배적 사상인 서구 철학의 관점에서 불교사상을 성찰해보려는 시도이다. 아울러 불교사상 속에 내재되어 있는 사회사상적 요소를 이끌어내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즉 현재 한국 사회에서 불교사상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이자 성찰인 것이다. 이를 통해 불교학 연구의 지평이 좀더 넓어지기를 기대한다.

2.
4부 9장으로 이루어진 이 책의 주요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제도로서의 ‘불교의 사회사상’에 대해 살펴보는데, 불교가 그 초기부터 자유와 평등, 민주주의를 추구하였음을 밝힌다. 그리고 그 배경에는 공과 중도의 관점이 자리하고 있음도 밝힌다.
2장에서는 한국 근현대 불교의 사회참여사상의 변화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있는데, 신라의 의상, 고려의 의천, 조선의 서산과 사명, 근대의 만해 한용운, 현대의 민중불교운동, 도법과 법륜 등이 이에 해당한다.
3장에서는 평화학의 창시자라고 불리는 요한 갈퉁의 평화개념을 빌려와 불교의 평화관에 대해 살펴본다. 즉 폭력과 전쟁을 반대한다는 당위적 선언을 넘어서 군사적 폭력, 구조적 폭력, 문화적 폭력 등에 대한 불교적 관점을 살펴본다.
4장에서는 불교의 폭력관에 대해 좀더 상세히 살펴본다. 물론 불교에서는 기본적으로 폭력에 반대하지만, 한편으로 폭력을 예외적으로 인정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는 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조명하고 있다.
5장에서는 불교의 자연관에 대해 검토한다. 불교의 자연관은 불교사상에서 자신과 산하대지가 하나라고 말하는 것에서 잘 나타난다. 이러한 불교의 자연관을 허응당 보우의 사상과 전통사찰의 구조와 역할을 통해 살펴보고 있다. 이를 심층생태학과 연관지어 설명하고 있다.
6장에서는 현대 한국 사회의 시류 중 ‘경제지상(물신)주의’와 ‘속도지상주의’에 대한 대안으로 불교사상에 근거한 자발적 가난과 느림의 삶에 대해 고찰한다. 여기에는 마조의 즉심즉불과 화엄종의 일즉일체 사상이 토대가 된다.
7, 8, 9장은 불교의 통일관을 다루고 있는데, 먼저 원효의 화쟁사상에 근거해서 남한과 북한의 사상을 통합하는 길을 모색한다. 그리고 북한의 불교학계를 대표하는 학자인 최봉익의 저서를 중심으로 북한학계의 불교학 연구를 검토하고, 그의 불교관의 특징도 살펴본다.

목차

머리말ㆍ5

서론 15

1부 불교의 사회사상 29

1장 불교사회사상의 현재적 의미ㆍ31
1. 서론ㆍ31
2. 민주주의 이념ㆍ34
1) 나라가 발전하는 방법으로서 민주주의 원리를 제시함ㆍ34
2) 승가의 운영원리로서 민주주의ㆍ38
3. 평등의 이념ㆍ43
1) 초기불교의 평등의 이념ㆍ44
2) 한국불교에 나타난 평등의 이념ㆍ51
3) 암베드카르의 불교관에 나타난 평등의 이념ㆍ54
4) 오노 신조의 불교와 민주적 사회주의의 결합ㆍ56
4. 중도와 방편과 조화의 길ㆍ59
1) 중도의 길ㆍ59
2) 방편의 길ㆍ62
(1) 역사에 대한 절대비판과 상대비판의 접목ㆍ63
(2) R. 풀리간드라와 K. 프라하의 영구혁명철학ㆍ64
(3) 방편을 통한 목적과 수단의 통합ㆍ66
(4) 한용운의 종교관: 시대와 근기에 맞추어서 중생을 구원하는 것ㆍ68
3) 조화(화쟁)의 길ㆍ70
5. 결론ㆍ72

2장 근현대 한국불교의 사회참여사상의 변화ㆍ76
1. 서론ㆍ76
2. 근대시기 이전의 한국불교의 사회참여: 의상, 의천, 조선시대 승병활동ㆍ80
3. 근대 한국불교의 사회참여사상: 한용운과 그 계열의 인물ㆍ83
4. 현대 한국불교의 사회참여사상ㆍ88
1) 1980년대 민중불교운동ㆍ88
2) 1990년대 ‘선우도량’과 ‘정토회’의 사회참여사상ㆍ93
(1) 도법의 선우도량의 관점ㆍ94
(2) 법륜의 ‘정토회’의 관점ㆍ97
5. 결론ㆍ99

2부 불교의 평화관과 폭력관 105

3장 불교의 평화관ㆍ107
1. 서론ㆍ107
2. 불교문화 속에 나타난 평화관의 현주소ㆍ110
3. 소극적 평화에 대한 불교의 입장ㆍ114
1) 전쟁의 원인에 대한 불교의 입장ㆍ114
2) 불교의 평화관과 전쟁관ㆍ118
(1) 불교의 평화관: 전쟁반대 입장ㆍ118
(2) 불교의 전쟁관: 방편의 입장ㆍ122
4. 적극적 평화에 대한 불교의 입장ㆍ131
1) 구조적 폭력에 대한 불교의 입장ㆍ131
2) 문화적 폭력에 대한 불교의 입장ㆍ135
(1) 이데올로기에 관한 불교의 입장ㆍ136
(2) 한국의 사회문화적 재구성에 대한 불교의 입장: 평화실현을 위한 관점에서ㆍ141
5. 결론ㆍ146

4장 불교의 폭력관ㆍ149
1. 서론ㆍ149
2. 폭력의 정당성 검토ㆍ152
3. 폭력에 대한 불교의 기본적 관점ㆍ158
4. 폭력에 대한 불교의 예외적 관점ㆍ166
1) 높은 수행 경지의 사람의 폭력은 인정함ㆍ167
(1) 원효의 무애행의 근거ㆍ168
(2) 선종에 나타난 폭력관ㆍ169
2) 폭력이 수용되는 객관적 상황 -『열반경』을 중심으로-ㆍ171
5. 결론ㆍ177

3부 불교의 자연관과 자본주의 문화 비판 181

5장 불교의 자연관ㆍ183
1. 서론ㆍ183
2. 한국불교문화의 자연관의 현주소ㆍ185
1) 한국사찰의 환경파괴 사례: 부정적 모습ㆍ185
2) 자연친화적인 불교전통문화ㆍ188
(1) 채식문화: 불살생不殺生의 생명운동ㆍ189
(2) 발우공양: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해결ㆍ190
(3) 해우소: 생태적 삶의 순환고리ㆍ193
(4) 방생법회: 생명살림의 기원ㆍ195
3. 불교사상에 나타난 자연관: 허응당 보우의 사상을 중심으로ㆍ196
4. 한국전통사찰의 자연조화의 측면ㆍ204
1) 전통사찰의 생태계 조화 측면: 경관생태학적 측면ㆍ204
2) 전통사찰 건축에 나타난 자연조화의 측면과 상징적 요소ㆍ209
(1) 전통사찰과 물의 관계ㆍ210
(2) 전통사찰과 산의 관계ㆍ212
(3) 전통사찰과 길의 관계ㆍ213
3) 전통사찰의 조경문화: 청평산 문수원을 중심으로ㆍ214
5. 결론: 근본생태론과 불교자연관의 조화ㆍ217

6장 불교의 자본주의 문화 비판ㆍ227
1. 무엇을 이야기할 것인가ㆍ227
2. 천민자본주의와 가치의 다원화, 불교문화의 현주소ㆍ229
3. 즉심즉불卽心卽佛의 해석ㆍ234
4. 해석학의 문제: 천 원을 만 원처럼 쓰는 지혜ㆍ238
5. 느림의 삶: 일즉일체一卽一切의 원리ㆍ243
6. 팔정도의 재해석ㆍ248
7. 정리하면서ㆍ253

4부 불교의 통일관 257

7장 남북한 사상의 조화ㆍ259
1. 서론: 남한과 북한의 문화ㆍ사상교류ㆍ259
2. 한국불교사상의 전개ㆍ265
3. 원효의 화쟁사상-『법화종요』를 중심으로-ㆍ272
1) 『대승기신론』의 일심이문ㆍ272
2) 일심이문에 근거한 원효의 회통ㆍ274
3) 법상종과 삼론종의 『법화경』 견해에 대한 원효의 회통ㆍ275
(1) 법상종과 삼론종의 『법화경』에 대한 견해ㆍ275
(2) 법상종과 삼론종의 『법화경』 견해에 대한 원효의 회통ㆍ277
(3) 법상종과 삼론종의 『법화경』 견해에 대한 구체적 화해방식ㆍ278
4. 결론: 남북한 사상의 조화의 근거로서 원효사상ㆍ279

8장 북한의 불교학 연구에 대한 재검토ㆍ283
1. 서론: 북한의 전통철학 연구의 개관ㆍ283
2. 북한 불교계의 모습ㆍ287
1) 북한 불교계의 변화과정ㆍ287
2) 북한 불교계의 한 단면ㆍ289
3. 북한의 불교연구의 원칙에 대한 재검토ㆍ291
1) 북한의 불교연구의 3가지 원칙ㆍ291
2) 북한의 불교연구 원칙의 타당성 검토ㆍ295
4. 북한의 불교 비판에 대한 재검토ㆍ297
1) 정치적 측면에서 불교 비판ㆍ300
(1) 무아설無我說에 대한 비판과 그 타당성 검토ㆍ300
(2) 인과보응설에 대한 비판과 그 타당성 검토ㆍ303
(3) 천당설과 지옥설에 대한 비판과 그 타당성 검토ㆍ306
2) 경제적 측면에서 불교비판ㆍ308
(1) 창조적인 생산활동을 방해했다는 비판과 그 타당성 검토ㆍ309
(2) 생산발전을 저해하고 나라의 재정을 낭비했다는 비판과 그 타당성 검토ㆍ311
3) 민족문화의 측면에서 불교비판ㆍ314
5. 결론ㆍ317

9장 최봉익 불교관의 특징ㆍ321
1. 서론ㆍ321
2. 중국학계의 불교관 소개: 변증법적 유물론과 사적 유물론의 관점에서 본 불교연구ㆍ323
1) 중국불교의 역사적 위치와 사회적 역할ㆍ325
2) 중국불교의 철학적 내용 소개ㆍ327
3) 중국학계의 중국불교연구에 대한 평가ㆍ331
3. 북한학계의 불교관의 변천ㆍ332
1) 『조선철학사연구』(1960)에 나타난 불교관ㆍ332
2) 최봉익, 『봉건시기 우리나라에서의 불교철학의 전파와 그 해독성』의 불교관ㆍ335
3) 최봉익, 『조선철학사개요』의 불교관ㆍ338
4. 결론: 최봉익 불교관의 특징과 의의ㆍ344

참고문헌ㆍ347 / 논문의 출처ㆍ358 / 찾아보기ㆍ359

저자소개

저자 이병욱은 1961년 서울에서 출생.
고려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천태지의 철학사상 논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 중앙승가대, 동국대 평생교육원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 『천태사상연구』, 『고려시대의 불교사상』, 『에세이 불교철학』, 『인도철학사』, 『천태사상』, 『한국불교사상의 전개』, 『한권으로 만나는 인도』 등이 있다.

도서소개

『불교사회사상의 이해』의 저자는 불교사상은 현대 한국사회에 어떤 유의미성이 있는가?에 대하여 질문하며 불교사회사상의 이론적 토대, 한국에서의 변천 과정, 그리고 그 구체적 적용으로서 불교의 평화관, 폭력관, 자연관, 문화관, 통일관 등을 고찰하여 불교사상의 현대적, 한국적 지평을 본격적으로 연 최초의 책이라고 설명한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