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대지도론 세트

대지도론 세트

  • 용수
  • |
  • 운주사
  • |
  • 2016-02-12 출간
  • |
  • 4000페이지
  • |
  • 152 X 225 X 80 mm /7200g
  • |
  • ISBN 9788957464465
판매가

270,000원

즉시할인가

256,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56,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대지도론』은 후대에 미친 영향이 지대하여 여덟 종파(八宗)의 조사라 불리는 용수보살의 대표적 저서 중 하나이다. 용수 이전의 불교의 다양한 사상과 학설을 아우르고 있고, 초기경전부터 대승경전까지 폭넓게 인용하고 있으며, 불교의 역사와 설화는 물론, 인도의 일반사상과 문화까지 아우르고 있어 가히 ‘불교대백과전서’로 불리면서, 대승불교의 가장 중요한 논서 중 하나로 꼽힌다.

1.
실존 인물이면서도 ‘보살’이라는 칭호를 받을 정도로 뛰어난 업적을 남긴 용수보살은 ‘제2의 석가모니’ 혹은 ‘대승불교의 아버지’라고 칭해질 만큼 대승불교 사상의 정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는 소승과 대승의 경전과 학설, 수행 등을 섭렵한 후 뛰어난 저서들을 남겼는데, 그중 『대지도론』은 『대품반야경』을 주석한 논서로서 『지론』, 『대론』, 『석론』 등으로도 불린다.
불교의 지혜를 의미하는 ‘반야’는 대승불교의 가장 중요한 개념으로, 대승불교의 시작이자 완성이라고 할 수 있다. 『대지도론』에서는 ‘반야’의 중요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한다.

“반야가 세상에 있다면 부처님이 계시는 것이다. 왜냐하면 반야바라밀은 시방 삼세의 모든 부처님의 어머니이기 때문이다. 모든 부처님은 법을 스승으로 한다. 법이란 바로 반야바라밀이다. …… 또 법보는 불보를 떠나지 않는다. 법보를 얻었기 때문에 이름이 부처님이고, 법보는 바로 반야바라밀이다.”

용수 이후의 대승불교 종파들은 그의 사상적 영향을 강하게 받았는데, 용수가 시조이거나 그로부터 발원한 종파들이 여덟 종파에 이르러 그를 ‘팔종八宗의 조사祖師’라고 일컫는다. 중국과 한국에서도 천태종과 화엄종은 물론이고 정토종과 선종에 이르기까지 그의 사상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2.
불교는 종교이면서 철학으로 불린다. 그만큼 불교사상은 깊고 넓다.
단순히 신앙으로서만 불교를 받아들이고 이해한다면, 혹은 가지 하나만을 부여잡고 불교라고 여긴다면, 불교는 단순하고 쉽다.
하지만 좀 더 깊게 우주 삼라만상의 진리를 통찰하고자 한다면, 불교라는 거대한 사유체계를 이해하고자 한다면, 불교는 끝도 없는 망망대해를 연상시킨다.
『대지도론』은 이런 방대한 불교사상의 바다를 헤쳐 나가는 길잡이의 역할을 한다. 하지만 범어(산스크리트)본은 현재 전하지 않고, 구마라집이 한역漢譯한 100권이 전한다.
구마라집은 전체 90품 중 초품만 완역하고, 나머지 89품은 초역하여 100권으로 엮었다고 한다. 초품의 한역이 100권 중 34권까지이니, 용수보살 원본 분량은 실로 방대했을 것이다. 전하기로는 1,000여권에 이르는 대작과 300권으로 이루어진 약본이 있었다고 한다.
『대지도론』은 어떤 책인가? 내용이나 형식에 있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을 꼽을 수 있다.
첫째, 용수 이전 모든 불교사상의 흐름을 집대성하고 있는 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원시불교, 부파불교, 초기대승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사상과 학설들을 종합하고, 역사적 사실뿐만 아니라 설화와 전설까지 아우르며, 초기경전과 대승경전을 폭넓게 넘나들고, 인물과 지리, 인도사상과 문화를 총체적으로 담아내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불교의 기초 개념, 대승불교의 주요 개념, 불교철학의 기본 범주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불교개념사전’의 역할을 한다. 주로 초품인 34권까지에서 보살, 삼매, 방광,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반야의) 육바라밀, 37품, 3삼매, 4선정, 8배사, 9상, 8념, 10상, 11지, 10력, 4무외, 4무애지, 18불공법, 대자대비, 6신통, 수희심, 회향, 선근공양, 18공, 4연 등의 의미를 상세히 설해준다. 35권부터는 『대품반야경』의 제2 보응품부터 제90 촉루품까지의 해석으로, 초품에서 제기된 문제들에 대한 폭넓고 상세한 설명과 실천에 대한 모색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일관되게 반야般若와 공空 사상을 천명하고 있다. 이를 통해 대승의 주류로 중관학과 공사상을 확고하게 정립시켰으며, 이는 유식사상과 유가행파의 형성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또한 『대지도론』의 불신관佛身觀과 법신관法身觀은 밀교를 형성시키는 기반이 되기도 하였다.
넷째, 대승불교의 인생관과 세계관에 대한 강조이다. 즉 대승사상에 대해 단순히 이론적, 사상적 논리전개에 그치지 않고, 대승의 보살행이나 육바라밀 등 실천수행을 강조하고 있다. 자리自利적 측면이 강하고 너무 번쇄하게 흘러 대중과 유리된 소승이나 부파불교의 문제점들에 대한 극복 내지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다섯째, 묻고 답하는 형식으로, 마치 대화를 하듯 복잡하고 난해한 교리들을 비교적 쉽게 설명하고 있다. 더불어 다양한 설화나 전설, 역사와 인물, 경전 인용 등을 통해 이해를 돕고 있는 점도 특징이다.
다섯째, 용수보살은 처음에 소승의 경전과 교학을 공부한 후 대승의 경전과 사상을 접하고 대승으로 전향(?)한다. 따라서 그는 『대지도론』에서 소승의 교설을 폭넓게 인용하면서도 시종일관 소승에 대한 대승의 사상적, 실천적 우위를 드러내고 있다.

3.
대승불교가 태동한 이래 2천여 년이 흐르는 동안 불교에는 수많은 종파와 학설들이 등장하는데, 그 대부분은 대승이라는 사상의 우산 속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이런 대승의 교의를 확립시킨 대표적 인물이 바로 용수이다.
『대지도론』은 용수의 주요 저서 중 하나로, ‘반야’와 ‘공’이라는 대승불교의 사상적, 철학적 교의를 확고하게 다진 저술이다.
따라서 『대지도론』은 ‘논서 중의 왕’으로 불린다. 후대에 끼친 영향이 그만큼 크다는 말이다.
중국과 한국불교의 천태, 화엄, 정토, 선에 이르기까지, 얼핏 전혀 다른 사상체계를 가진 것처럼 보이는 다양한 종파들이 모두 『대지도론』에서 깊은 영향을 받았으니, 가히 불교사상사에서, 나아가 불교역사에서 용수와 『대지도론』이 가지는 역할과 위상을 짐작해볼 수 있다.
이번 전5권의 우리말 『대지도론』이 나오기까지 10여년이 걸렸다. 역자는 원래 〈신수대장경〉에 수록된 원문을 저본으로 1차 번역을 하였으나, 뒤늦게 대만에서 유통되고 있는 〈고간본〉 대지도론과 한자 표기에서 많은 차이가 있음을 발견, 이 2본을 하나하나 대조하면서 다시 번역을 하였기 때문이다.
아무쪼록 이 논서가 대승불교의 가치를 지향하는 모든 이들에게, 대승불교의 사상적 토대를 뿌리까지 이해하고, 믿음을 확고히 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역자 서문ㆍ5
일러두기ㆍ16
해제ㆍ17

대지도론 1
제1권 1. 서분序分 연기론ㆍ29
2. 초품 중에 여시아문일시 설명ㆍ63
제2권 1. 초품 중에 총설로 여시아문을 설명ㆍ84
2. 초품 중에 바가바婆伽婆 설명ㆍ110
제3권 1. 초품 중에 왕사성에 머무르다 설명ㆍ142
2. 초품 중에 대비구승과 함께하시다 설명ㆍ165
3. 초품 중에 4중의四衆義?별도 해석ㆍ196
제4권 초품 중에 보살 설명ㆍ199
제5권 1. 초품 중에 마하살타 설명ㆍ253
2. 초품 중에 보살공덕 설명ㆍ263
제6권 1. 초품 중에 열 가지 비유 설명ㆍ304
2. 초품 중에 의무애意無? 설명ㆍ335
제7권 1. 초품 중에 부처님세계를 발원함 설명ㆍ346
2. 초품 중에 삼매 설명ㆍ364
3. 초품 중에 방광 설명ㆍ375
제8권 초품 중에 방광의 나머지 설명ㆍ385
제9권 1. 초품 중에 보신의 현현을 설명ㆍ425
2. 초품 중에 시방의 모든 보살이 오다 설명ㆍ439
제10권 초품 중에 시방의 모든 보살이 온 나머지 일 설명ㆍ461
제11권 1. 초품 중에 사리불의 인연 설명ㆍ512
2. 초품 중에 보시바라밀의 의미 설명ㆍ531
3. 초품 중에 보시바라밀의 의미 찬탄 설명ㆍ537
4. 초품 중에 보시의 상[檀相] 의미 설명ㆍ541
5. 초품 중에 보시바라밀 중 법시法施 설명ㆍ560
제12권 초품 중에 보시바라밀 중 법시의 나머지 설명ㆍ569
제13권 1. 초품 중에 시라바라밀 의미 설명ㆍ617
2. 초품 중에 계상戒相의 의미 설명ㆍ626
3. 초품 중에 시라바라밀 의미 찬탄 설명ㆍ666
제14권 1. 초품 중에 시라바라밀 의미의 나머지 설명ㆍ673
2. 초품 중에 인욕바라밀 의미 설명ㆍ686
제15권 1. 초품 중에 인욕바라밀의 법인 의미 설명ㆍ711
2. 초품 중에 정진바라밀 의미 설명ㆍ737
제16권 초품 중에 정진바라밀 의미의 나머지 설명ㆍ751

대지도론 2
제17권 초품 중에 선정바라밀 설명ㆍ7
제18권 1. 초품 중에 반야바라밀 설명ㆍ69
2. 초품 중에 반야상般若相의 의미 설명ㆍ76
제19권 초품 중에 37품 설명ㆍ114
제20권 1. 초품 중에 3삼매三三昧ㆍ4선四禪의 의미 설명ㆍ164
2. 초품 중에 4무량심ㆍ4무색정 설명ㆍ181
제21권 1. 초품 중에 8배사八背捨의 의미 설명ㆍ210
2. 초품 중에 9상九想의 의미 설명ㆍ223
3. 초품 중에 8념八念의 의미 설명ㆍ235
제22권 초품 중에 8념의 의미 나머지 설명ㆍ250
제23권 1. 초품 중에 10상十想 설명ㆍ298
2. 초품 중에 11지十一智 설명ㆍ322
제24권 초품 중에 10력十力 설명ㆍ336
제25권 초품 중에 4무외四無畏ㆍ4무애지四無?智 설명ㆍ372
제26권 초품 중에 18불공법十八不共法 설명ㆍ406
제27권 초품 중에 대자대비는 반야바라밀을 학습하고 행해야 함을 설명ㆍ458
제28권 1. 초품 중에 6신통六神通 등 설명ㆍ500
2. 초품 중에 수희심隨喜心 설명ㆍ530
제29권 1. 초품 중에 수희심의 나머지 설명ㆍ535
2. 초품 중에 회향 설명ㆍ539
제30권 1. 초품 중에 선근善根공양 설명ㆍ568
2. 초품 중에 모든 부처님은 그의 이름을 찬탄함 설명ㆍ603
제31권 초품 중에 18공十八空 설명ㆍ616
제32권 초품 중에 4연四緣의 의미 설명ㆍ679
제33권 1. 초품 중에 피안에 도달하다 등 설명ㆍ714
2. 초품 중에 일체 부처님세계를 보다 설명ㆍ735
제34권 1. 초품 중에 일체 부처님세계를 보다의 나머지 의미 설명ㆍ746
2. 초품 중에 믿고 지니며 3독이 없음을 설명ㆍ768

대지도론 3
제35권 1. 제2 보응품報應品 해석ㆍ7
2. 제3 습상응품習相應品의 1 해석ㆍ34
제36권 제3 습상응품의 2 해석ㆍ52
제37권 제3 습상응품의 3 해석ㆍ93
제38권 제4 왕생품往生品의 1 해석ㆍ128
제39권 제4 왕생품의 2 해석ㆍ164
제40권 1. 제4 왕생품의 3 해석ㆍ192
2. 제5 탄도품歎度品 해석ㆍ222
3. 제6 설상품舌相品 해석ㆍ230
제41권 1. 제7 3가품三假品 해석ㆍ234
2. 제8 권학품勸學品 해석ㆍ256
제42권 제9 집산품集散品 해석ㆍ273
제43권 1. 제9 집산품의 나머지 해석ㆍ306
2. 제10 행상품行相品 해석ㆍ316
제44권 1. 제11 환인무작품幻人無作品 해석ㆍ339
2. 제12 구의품句義品 해석ㆍ360
제45권 1. 제13 마하살품摩訶薩品 해석ㆍ375
2. 제14 단견품斷見品 해석ㆍ386
3. 제15 대장엄품 해석ㆍ393
제46권 1. 제16 승승품乘乘品 해석ㆍ412
2. 제17 무박무탈품無縛無脫品 해석ㆍ417
3. 제18 마하연(대승)품 해석ㆍ433
제47권 제18 마하연(대승)품의 나머지 해석ㆍ451
제48권 제19 4념처품 해석ㆍ485
제49권 제20 발취품發趣品 해석ㆍ524
제50권 1. 제20 발취품의 나머지 해석ㆍ561
2. 제21 출도품出到品 해석ㆍ580
제51권 1. 제22 승출품勝出品 해석ㆍ593
2. 제23 함수품含受品 해석ㆍ606
제52권 1. 제24 회종품會宗品 해석ㆍ633
2. 제25 10무품十無品 해석ㆍ637
제53권 제26 무생품無生品 해석ㆍ666
제54권 제27 천주품天主品 해석ㆍ701
제55권 1. 제28 환인청법품幻人廳法品 해석ㆍ734
2. 제29 산화품散華品 해석ㆍ747

대지도론 4
제56권 1. 제30 고시품顧視品 해석ㆍ7
2. 제31 멸쟁난품滅諍亂品 해석ㆍ23
제57권 1. 제32 보탑교량품寶塔校量品 해석ㆍ39
2. 제33 술성품述成品 해석ㆍ59
제58권 1. 제34 권수지품勸受持品 해석ㆍ63
2. 제35 범지품梵志品 해석ㆍ73
3. 제36 아난칭예품阿難稱譽品 해석ㆍ80
제59권 제37 교량사리품?量舍利品 해석ㆍ98
제60권 제38 교량법시품?量法施品 해석ㆍ128
제61권 제39 수희회향품隨喜廻向品 해석ㆍ151
제62권 1. 제40 조명품照明品 해석ㆍ195
2. 제41 신방품信謗品의 상 해석ㆍ217
제63권 1. 제41 신방품信謗品의 하 해석ㆍ233
2. 제42 탄정품歎淨品의 상 해석ㆍ251
제64권 1. 제42 탄정품의 하 해석ㆍ268
2. 제43 무작실상품無作實相品의 상 해석ㆍ276
제65권 1. 제43 무작실상품無作實相品의 하 해석ㆍ300
2. 제44 모든 바라밀품波羅蜜品 해석ㆍ317
제66권 제45 신행찬탄품[歎信行品]의 상 해석ㆍ338
제67권 제45 신행찬탄품의 하 해석ㆍ364
제68권 1. 제46 마사품摩事品 해석ㆍ392
2. 제47 양불화합품兩不和合品의 상 해석ㆍ413
제69권 1. 제47 양불화합품의 하 해석ㆍ423
2. 제48 불모품佛母品의 상 해석ㆍ444
제70권 1. 제48 불모품의 하 해석ㆍ459
2. 제49 문상품問相品 해석ㆍ475
제71권 1. 제50 대사기품大事起品 해석ㆍ502
2. 제51 비유품譬喩品 해석ㆍ515
3. 제52 선지식품善知識品 해석ㆍ525
4. 제53 취일체지품趣一切智品 해석ㆍ544
제72권 제54 대여품大如品 해석ㆍ552
제73권 1. 제55 아비발치품阿?跋致品 해석ㆍ592
2. 제56 전부전품轉不轉品의 상 해석ㆍ616
제74권 1. 제56 전부전품의 하 해석ㆍ629
2. 제57 등주심오품燈炷深奧品의 상 해석ㆍ645
제75권 1. 제57 등주심오품의 하 해석ㆍ668
2. 제58 몽중입삼매품夢中入三昧品 해석ㆍ684
3. 제59 강가데바품恒伽提婆品 해석ㆍ703
제76권 1. 제60 학공부증품學空不證品 해석ㆍ709
2. 제61 몽중부증품夢中不證品의 상 해석ㆍ722
제77권 1. 제61 몽중부증품의 하 해석ㆍ742
2. 제62 동학품同學品 해석ㆍ762
3. 제63 등학품等學品 해석ㆍ774

대지도론 5
제78권 1. 제64 원락품願樂品 해석ㆍ7
2. 제65 칭양품稱揚品의 상 해석ㆍ29
제79권 1. 제65 칭양품의 하 해석ㆍ38
2. 제66 촉루품囑累品 해석ㆍ52
제80권 1. 제67 무진방편품無盡方便品 해석ㆍ76
2. 제68 6도상섭품六度相攝品의 상 해석ㆍ89
제81권 제68 6도상섭품의 하 해석ㆍ101
제82권 제69 대방편품大方便品의 상 해석ㆍ134
제83권 1. 제69 대방편품의 하 해석ㆍ171
2. 제70 3혜품三慧品의 상 해석ㆍ182
제84권 제70 3혜품의 하 해석ㆍ203
제85권 1. 제71 도수품道樹品 해석ㆍ237
2. 제72 보살행품菩薩行品 해석ㆍ253
3. 제73 종선근품種善根品 해석ㆍ267
제86권 1. 제74 변학품遍學品 해석ㆍ273
2. 제75 3차제학품三次第學品의 상 해석ㆍ303
제87권 1. 제75 3차제학품의 하 해석ㆍ312
2. 제76 일심구만행품一心具萬行品 해석ㆍ334
제88권 1. 제77 6유품六喩品 해석ㆍ355
2. 제78 4섭품四攝品의 상 해석ㆍ369
제89권 1. 제78 4섭품의 하 해석ㆍ402
2. 제79 선달품善達品 해석ㆍ419
제90권 제80 실제품實際品 해석ㆍ445
제91권 제81 조명품照明品 해석ㆍ479
제92권 제82 청정불국토품[淨佛國土品]의 상 해석ㆍ508
제93권 1. 제82 청정불국토품의 하 해석ㆍ529
2. 제83 필정품畢定品의 상 해석ㆍ547
제94권 1. 제83 필정품의 하 해석ㆍ560
2. 제84 4제품四諦品 해석ㆍ576
제95권 1. 제85 7유품七喩品 해석ㆍ593
2. 제86 평등품平等品 해석ㆍ607
제96권 1. 제87 열반여화품涅槃如化品 해석ㆍ630
2. 제88 살타파륜품薩?波崙品의 상 해석ㆍ644
제97권 제88 살타파륜품의 중 해석ㆍ660
제98권 제88 살타파륜품의 하 해석ㆍ679
제99권 제89 담무갈품曇無竭品의 상 해석ㆍ714
제100권 1. 제89 담무갈품의 하 해석ㆍ744
2. 제90 촉루품 해석ㆍ761

저자소개

저자 용수(龍樹, 150~250년경)는 남인도 출생. 어려서부터 매우 총명하여 브라만교, 소승불교, 대승경전을 폭넓게 섭렵하고 대승의 교리를 체계화하였기 때문에 ‘대승불교의 아버지’로 불린다. 그가 『중론』에서 전개한 공空 사상은 중도적 입장을 취했기 때문에 후세에 중관파中觀派라고 불렸으며, 이후의 모든 불교사상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때문에 그는 여덟 종파의 조사로 추앙받는다. 저서로 『대지도론』과 『중론』 외에, 『회쟁론』, 『광파론』, 『십주비바사론』, 『공칠십론』 등이 있다.

도서소개

『대지도론』은 여덟 종파(八宗)의 조사라 불리는 용수보살의 대표적 저서 중 하나이다. 용수 이전의 불교의 다양한 사상과 학설을 아우르고 있고, 초기경전부터 대승경전까지 폭넓게 인용하고 있으며, 불교의 역사와 설화는 물론, 인도의 일반사상과 문화까지 아우르고 있는 대승불교의 중요한 논서 중 하나로 꼽힌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