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삼계교 사상 연구

삼계교 사상 연구

  • 법공
  • |
  • 운주사
  • |
  • 2014-12-20 출간
  • |
  • 420페이지
  • |
  • 152 X 225 X 21 mm /769g
  • |
  • ISBN 9788957464106
판매가

23,000원

즉시할인가

20,7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0,7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삼계교 사상 연구』
- 신행의 사상과 실천, 신라불교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중국 남북조 시대에서 수나라 시대에 걸쳐 활동한 신행의 사상과 그 실천을 바탕으로 하여, 정토종 및 선종과 함께 일어난 혁신적인 불교종파로 민중불교의 첨단을 걸었던 삼계교의 사상과 역사를 만난다!


1.
불교 역사 속에서는 세상이 불안정하고 어지러울 때마다 말법사상末法思想이 유행했던 적이 있었다. 특히 중국의 수당 시기에는 말법시대라는 위기의식이 강하게 표출되면서 새로운 불교가 탄생하였는데, 그 중 하나가 수隋나라 때 신행(信行, 540∼594년)에 의해서 창시된 삼계교三階敎이다.
이 책은 삼계종三階宗이라 불러도 무리가 없을 정도로 교학과 실천을 겸비한 뛰어난 종파였던 삼계교의 역사와 사상, 그리고 실천에 대해 사상사적으로 비교 검토하고 연구한 결과물이다. 특히 삼계교를 창시한 신행의 사상과 실천 및 활동이 후대까지 미치게 되었던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면서, 민중의 구제를 목적으로 한 실천행으로서 무진장원을 설립한 배경과 활동, 그리고 이러한 민중을 위한 혁신적 열풍이 자장과 신방에 의해 신라로 입수되어 어떻게 당시 한반도의 정치와 종교, 사회적 지형에 파급효과를 낳았는가에 주목하였다. 또한 그 민중성으로 인해 탄압을 받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삼계교가 당시의 문학과 예술, 특히 소설이나 미술사적인 분야에 영향을 끼쳤는가를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

2.
모두 8장으로 구성된 이 책의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 ?삼계교와 정토교?에서는 우선 신행과 교류했다고 추정되는 도작 시대의 배경을 고찰하고 있다. 정토종을 정립한 도작은 신행과 같은 스승 밑에서 공부했기에 그의 약시피기約時被機 사상이 신행과 모종의 관계가 있다고 보았으며, 역시 신행의 근기(機)에 대한 견해를 회감의 『군의론』과 관계가 있음을 논증한다. 제2장 ?삼계교와 지장신앙?에서는 왜 삼계교가 ‘지장교’로까지 불리어졌던가를 개교 이래의 경전인 『지장십륜경』과 관련지어 살펴보고 있다. 그리하여 삼계교가 원하던 ‘말법관’에 의한 악중생을 구제한다고 하는 종치宗致가 『십륜경』의 이념과 합치됨을 확인한다. 여기서 특히 삼계사三階師인 신라 신방과의 관계를 『삼국유사』 등의 자료를 통해 깊게 고찰함으로써 신라불교에 끼친 삼계교의 영향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 인상적이다.
제3장 ?『상법경』과 삼계교 사상의 전개?에서는 먼저 삼계교에서 중시하는 『상법경』에 대한 제가諸家의 인식과 그 파급력을 살펴보고, 『상법경』과 『수원왕생경』의 관계를 검토하여 경전의 사상적 의의를 규명하며, 나아가 『상법경』의 새로운 전개로서의 『유가법경경』의 제작 동기를 찾고 그 원인을 고찰하고 있다.
제4장 ?삼계교와 『유마경』 사상?에서는 먼저 신행에 의한 『유마경』 계보의 관계를 지론종 남도파와의 계보로 파악하고 있다. 또한 『유마경』 ?문수사리문질품?의 상악아정常樂我淨이 신행의 『신행유문』에서도 사용되고 있음을 들어, 그것이 실천적인 ‘무진장행’ 사상을 불러일으킨 전제 조건이 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아울러 삼계교의 정토를 ?불국품?의 사상과 연결하고 있는 점도 특징적이다.
제5장 ?삼계교와 무진장원?에서는 삼계교 사상의 가장 대중적인 특징이자 불교 사회복지 운동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무진장원의 설립과 활동, 그리고 폐쇄되기까지의 경위를 당시 사회경제적 배경과 상황과 관련하여 추적하고 있다.
제6장 ?불교의 성명과 삼계교의 『칠계불명경』?에는 인도불교와 중국불교에서 음악의 역할을 검토하고, 불교의례의 하나로서 불경을 예송하고 죄과를 고백하는 참회의 의식이 삼계교에 어떻게 영향을 끼쳤는가를 『칠계불명경』을 중심으로 살피면서, 삼계교가 다양한 불교의례를 통해 민중들과 어떻게 친숙하려 했던가에 대한 방법들을 고찰하고 있다.
제7장 ?신라불교와 삼계교?에서는 신라의 원광, 의상, 원효, 경흥 등의 활동을 통해서 신라불교에 끼친 삼계교의 영향을 사상적, 역사적으로 심도 있게 파고들고 있다. 먼저 원광과 신행과의 직접적인 영향이라 할 수 있는 ‘점찰보’를 통해 신라불교가 삼계교 교의의 실천장으로서 활약한 것을 사상사적으로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의상과 삼계교의 경우는 지론종 상주 남도파의 계보를 고찰하면서 그 연관성의 실마리를 찾아내고 있으며, 원효의 경우는 그의 『금강삼매경』의 사상이 출가와 환속을 상관하지 않음과 더불어 삼계교의 보경설普敬說의 영향을 조심스레 검토하고 있으며, 원효의 『유심안락도』에 일천제의 극락왕생을 인정한다는 것에서 삼계교의 영향이 있었을 것이라는 주장을 소개하고 있다.
제8장 ?불교문학사상에 나타나있는 삼계교 사상?에서는 『명보기』와 『영이기』를 통하여 삼계교의 근본 사상인 ‘보경普敬?인악認惡’ 사상 및 깊은 말법관에 의한 근기의 인식인 대근기행법과 함께, 인과응보 사상에 편승한 민중의 위기의식을 강조하고 있다.

3.
이 책의 가장 독창적인 부분 중 하나는 한국불교사와의 관련으로, 신라불교가 삼계교와 관련된 것에 본격적으로 주목하였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신라불교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 보다 넓은 역사적, 사상적 지평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 이 책의 미덕이다.
삼계교는 한국불교계에선 이름조차 다소 낯설어 보이지만, 중국불교사 속에서 최초로 민중을 지향하고 불교의 이념을 실천적 행동으로 실현하고자 노력한 점만으로도 오늘날 우리가 주목할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고 하겠다. 아울러 이는 현대 한국불교가 깊이 주목하고 고민해야 할 부분일 것이다.

목차

추천사 5
서문 9
서장 19

제1장 삼계교와 지장신앙 25
1. 서론 25
2. 불교의 지옥관 27
1) 초기불전에 나타나 있는 지옥관 27
2) 대승경전에 나타난 지옥관 31
3. 삼계교와 지장신앙의 발전 33
1) 삼계교와 지장삼부경 33
2) 『점찰경』과 그 영향 48
4. 결론 66

제2장 삼계교와 정토종의 관계 69
1. 서론 69
2. 도작의 교의와 혜찬慧瓚 71
1) 도작의 시대적 배경 71
2) 혜찬과 그의 제자 76
3) 도작의 교의敎義 81
3. 신행의 수행과 영유靈裕 87
1) 신행의 수행 87
2) 영유의 사상과 업적 90
4. 신행과 회감 98
1) 회감과 『군의론』 98
2) 『군의론』과 역방취제 103
5. 결론 117

제3장 『상법결의경』과 삼계교 사상의 전개 119
1. 서론 119
2. 경록의 문제 121
3. 수?당 제가諸家에 나타난 『상법경』관 123
1) 천태종의 『상법경』관 124
2) 삼론 길장의 『상법경』관 130
3) 화엄종의 『상법경』관 134
4) 정토종?선종의 『상법경』관 136
5) 삼계교의 『상법경』관 140
4. 『상법경』과 『수원왕생경』과의 관계 143
5. 『상법경』에 대한 『유가법경경』의 특징 147
6. 결론 150

제4장 삼계교와 『유마경』 사상 153
1. 서론 153
2. 『유마경』 사상의 발전과 삼계교 154
1) 신행에 의한 『유마경』의 계보 154
2) 『유마경』과 여래장 사상 156
3. 『유마경』의 사상과 삼계교 162
1) 『유마경』의 종지와 삼계교의 보살행 162
2) 『유마경』의 발보리심과 삼계교의 보리심 167
3) ?불국품?의 사상과 삼계교의 정토관 173

4. 결론 188
제5장 삼계교와 무진장원 191
1. 서론 191
2. 중국사회와 사원의 경제관 192
1) 남북조 시대의 사회 경제관 192
2) 당대 사원의 경제개념 206
3. 삼계교와 무진장행법 211
1) 무진의 기원과 목적 211
2) 삼계교도의 무진장행시施 219
3) 『신행유문』에 보이는 무진장법행 224
4) 돈황 자료 『대승법계무진장법석』의 내용 231
4. 무진장원의 탄압 238
1) 무진장원의 폐쇄 원인 238
2) 무진장원의 폐쇄 연대 244
3) 무진장원 폐쇄 이후의 동향 246
5. 결론 248

제6장 불교의 성명聲明과 삼계교의 『칠계불명경』 253
1. 서론 253
2. 불전상의 의식작법 254
1) 불전상의 음악론 254
2) 베단타학파의 의례 부정의 논리 258
3. 의례 음악의 발전과 인도의 의식작법 262
1) 불교의례의 음악화로서의 발전 262
2) 인도의 의식작법 264
4. 중국의 의례수용과 삼계교의 『칠계불명경』 272
1) 중국의 의례수용과 정착 272
2) 삼계교의 『칠계불명경』의 근원과 영향 273
3) 『칠계불명경』과 『예시작법』 282
4) 『예시작법』과 『서방참회법』 289
5. 결론 294

제7장 신라불교와 삼계교 297
1. 서론 297
2. 원광과 삼계교 299
1) 원광과 점찰보의 개시 299
2) 원안?소우와 삼계교 302
3) 승옹?자장과 삼계교 306
3. 의상과 삼계교 309
1) 의상과 지론종 상주남도파 309
2) 종남산 지상사와 삼계교의 탑비 311
3) 의상의 귀국과 부석사 314
4. 원효와 삼계교 316
1) 원효의 삼계교 접근 317
2) 원효의 전기 자료 고찰 321
3) 원효의 천제불성론과 삼계교 332
4) 원효의 『유심안락도』와 삼계교 339
5) 원효의 복전福田과 삼계교 343
5. 경흥과 삼계교 351
1) 경흥의 전기와 저작 351
2) 경흥의 『연의술문찬』에서의 삼계교 비판논리 355
6. 결론 363

제8장 불교 문학 사상사에 나타나 있는 삼계교 사상 365
1. 서론 365
2. 『명보기』의 내용과 삼계교 366
1) 당림?고경 및 신행의 관계 366
2) 『명보기』의 구성내용에 보이는 삼계교 신앙 368
3. 『영이기』와 삼계교 사상 371
1) 『영이기』를 주로 한 삼계교의 연구사 371
2) 『영이기』와 삼계교에서 본 걸식승 등의 활동 373
4. 『명보기』와 『영이기』의 관계 382
1) 『명보기』의 성격과 삼계교 사승師僧 382
2) 『명보기』와 『영이기』에 의한 저자의 의식 390
5. 미술사에서 볼 수 있는 삼계교의 지옥변상도 396
1) 지옥변상도사地獄變相圖史의 전개와 삼계원의 지옥변 396
6. 결론 399

결론 401
참고문헌 413

저자소개

저자 법공法空은 1979년에 출가하여, 1980년 은사 임도문 화상에게 사미계를, 1983년 범어사에서 자운 화상에게 비구계를 수지하였다. 1984년에 해인사 승가대학을 졸업하고, 이후 1990년까지 해인사, 봉암사, 통도사, 용화선원, 용주사, 수도암, 칠불선원, 천왕사 등 제방선원을 참방하였다. 1991년 일본 임제종파의 대학인 화원대학花園大學에 입학, 1997년에 석사과정을 졸업하였다. 1997년에는 역시 일본의 불교대학 박사과정에 입학, 2002년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06년 동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과정을 졸업하였다.
현재 동국대학교(경주) 선학과 겸임교수, 대한불교조계종 교수아사리를 역임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지장사상과 삼계교?, ?『금강삼매경』과 삼계교?, ?위앙종의 신라승 順之의 고찰? 등이 있다.

도서소개

이 책은 삼계종三階宗이라 불러도 무리가 없을 정도로 교학과 실천을 겸비한 뛰어난 종파였던 삼계교의 역사와 사상, 그리고 실천에 대해 사상사적으로 비교 검토하고 연구한 결과물이다. 특히 삼계교를 창시한 신행의 사상과 실천 및 활동이 후대까지 미치게 되었던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면서, 민중의 구제를 목적으로 한 실천행으로서 무진장원을 설립한 배경과 활동, 그리고 이러한 민중을 위한 혁신적 열풍이 자장과 신방에 의해 신라로 입수되어 어떻게 당시 한반도의 정치와 종교, 사회적 지형에 파급효과를 낳았는가에 주목하였다. 또한 그 민중성으로 인해 탄압을 받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삼계교가 당시의 문학과 예술, 특히 소설이나 미술사적인 분야에 영향을 끼쳤는가를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